1. 황세익소장 호구단자1(1861-01-01) 1861년(철종 12)에 43세의 유학 黃仁浩(황인호)가 작성하여 관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당시 황인호는 49세의 처 朴氏(이씨)와 함께 살고 있었다. 죽은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22765
-
1831년
-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 황세익소장 호구단자1(1861-01-01) 1861년(철종 12)에 43세의 유학 黃仁浩(황인호)가 작성하여 관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당시 황인호는 49세의 처 朴氏(이씨)와 함께 살고 있었다. 죽은노...
1. 황세익소장 호구단자1(1861-01-01)
1861년(철종 12)에 43세의 유학 黃仁浩(황인호)가 작성하여 관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당시 황인호는 49세의 처 朴氏(이씨)와 함께 살고 있었다. 죽은노와 도망노 2구를 기재하고 있다.
2. 황세익소장 호구단자2(1864-01-01)
1864년 (고종 1) 갑자년에 57세의 유학 黃有成(황유성)이 작성하여 관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당시 황유성은 51세의 처 李氏(이씨)와 함께 살고 있었다.
3. 황세익소장 호구단자3(1864-01-01)
1864년 (고종 1) 갑자년에 39세의 유학 黃斗星(황두성)이 작성하여 관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당시 황두성은 39세의 처 黃氏(황씨)와 함께 살고 있었다. 당시 장인 崔昌祚(최창조)는 생존해 있었다.
4. 황세익소장 호구단자4(1852-01-01)
1852년 (철종 3) 51세의 忠翊(충익) 黃桂云(황계운)이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당시 황계운은 41세의 처 申氏(신씨)와 19세 된 딸 岳只(악지)와 함께 살고 있었다.
5. 황세익소장 호구단자5(1864-01-01)
1864년 (고종 1)에 46세의 유학 黃仁浩(황인호)가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황인호의 아버지는 황춘경이며 당시 52세의 처 朴氏(박씨)와 함께 살고 있었다.
6. 황세익소장 호구단자6(1867-01-01)
1867년 (고종 3)에 49세의 유학 黃仁浩(황인호)가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황인호의 아버지는 황춘경이며 당시 55세의 처 朴氏(박씨)와 함께 살고 있었다.
7. 황세익소장 호구단자7(1831-01-01)
1831년 (순조 31)에 75세의 유학 黃春慶(황춘경)이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황춘경의 아버지는 黃泰興(황태흥)이며 당시 75세의 처 朴氏(박씨)와 함께 살고 있었다. 죽은노 1구를 기재하고 있다.
8. 황세익소장 호구단자8(1861-01-01)
1861년 (철종 12)에 36세의 유학 黃斗星(황두성)이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황두석의 아버지는 黃仁喆(황인철)이며 당시 장인 崔昌祚(최창조)는 생존해 있었고 36세의 처 崔氏(최씨)와 함께 살고 있었다. 황두성은 아버지 황인철의 죽자 호주가 되었다.
9. 황세익소장 호구단자9(1879-01-01)
1879년 (고종 16)에 62세의 유학 黃仁喆(황인철)이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당시 52세의 처 安氏(안씨)와 함께 살고 있었다.
10. 황세익소장 호구단자10(1858-01-01)
1858년 (철종 9)에 40세의 유학 黃仁浩(황인호)가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황인호의 아버지는 황춘경이며 당시 46세의 처 朴氏(박씨)와 함께 살고 있었다. 죽은노와 도망노, 2구를 기재하고 있다.
11. 황세익소장 호구단자11(1885-01-01)
1885년 (고종 22)에 67세의 유학 黃仁浩(황인호)가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당시 황인호는 상처하여 혼자 살고 있었다.
12. 황세익소장 호구단자12(1786-01-01)
1786년 (정조 10)에 80세의 유학 黃泰三(황태삼)이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당시 황태삼은 64세의 처 河氏(하씨)와 15세와 12세 된 두 딸과 살고 있었으며 호적을 작성할 즈음 52세의 아들 춘경과 39세의 며느리 김씨를 호적에 올렸다. 출가한 딸과 죽은 딸도 문서에 기재하였다.
13. 황세익소장 호구단자13(1852-01-01)
1852년 (철종 3)에 30세의 유학 黃仁浩(황인호)가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황인호의 아버지는 黃春慶(황춘경)이며 당시 40세의 처 朴氏(박씨)와 함께 살고 있었다.
14. 황세익소장 호구단자14(1858-01-01)
1858년 (철종 9)에 65세의 유학 黃仁喆(황인철)이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황인철은 당시 55세의 처 安氏(안씨)와 33세의 아들 斗星(두성), 며느리 崔氏(최씨)와 함께 살았다.
15. 황세익소장 호구단자15(1861-01-01)
1861년 (철종 12)에 54세의 유학 黃有成(황유성)이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황유성의 아버지는 黃得龍(황득용)이며 당시 48세의 처 李氏(이씨)와 함께 살고 있었다.
16. 황세익소장 호구단자16(1879-01-01)
1879년 (고종 16)에 61세의 유학 黃仁浩(황인호)가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황인호의 처 박씨는 3년 전의 호구단자에는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후 작고한 것으로 보인다.
17. 황세익소장 호구단자17(1888-01-01)
1888년 (고종 25)에 70세의 홀아비인 유학 黃仁浩(황인호)가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황인호는 당시 36세의 아들 在斗(재두)와 39세의 며느리 金氏(김씨)와 함께 살고 있었다.
18. 황세익소장 호구단자18(1882-01-01)
1882년 (고종 19)에 64세의 홀아비인 유학 黃仁浩(황인호)가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황인호는 당시 자신만을 문서에 기재한 것으로 보아 혼자 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19. 황세익소장 호구단자19(1876-01-01)
1876년 (고종 13)에 58세의 유학 黃仁浩(황인호)가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황인호는 당시 64세의 처 朴氏(박씨)와 함께 살고 있었다.
20. 황세익소장 호구단자20(1873-01-01)
1873년 (고종 10)에 55세의 유학 黃仁浩(황인호)가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황인호는 당시 61세의 처 朴氏(박씨)와 살고 있었다.
21. 황세익소장 호구단자21(1891-01-01)
1891년 (고종 28)에 39세의 유학 黃在斗(황재두)가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황재두는 아버지 黃仁浩(황인호)가 죽자 뒤를 이어 호주가 되었으며 당시 42세의 처 김씨와 살고 있었다.
22. 황세익소장 호구단자22(1879-01-01)
1879년 (고종 16)에 76세의 寡婦 安氏(과부 안씨)가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23. 황세익소장 호구단자23(1834-01-01)
1834년 (순조 34)에 78세의 유학 黃春慶(황춘경)이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황춘경의 아버지는 黃泰興(황태흥)이며 당시 78세의 처 金氏(김씨)와 함께 살고 있었다.
24. 황세익소장 호구단자24(1834-01-01)
1834년 (순조 34)에 37세의 유학 黃仁浩(황인호)가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황인호의 아버지는 黃春慶(황태흥)이며 43세의 처 朴氏(박씨)와 함께 살고 있었다. 모시던 어머니 김씨는 작고하였다.
25. 황세익소장 호구단자25(1873-01-01)
1873년 (고종 10)에 30세의 한량 黃稀成(황희성)이 작성하여 진주목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황희성의 아버지는 黃桂云(황계운)이며 당시 장인 姜致甲(강치갑)은 생존하였고 29세의 처 姜氏(강씨)와 함께 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