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위에서 아래로의 유아교육 질 향상에 대한 우려 = 영국유아교육개혁의 교훈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61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80년대 대처정권부터 ‘지방분권식’ 교육전통을 벗어나 ‘중앙집권식’ 질 향상을 도모하는 교육개혁을 펼치고자 해온 영국유아교육의 최근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 제고와 재구조화 과정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 유아교육에 줄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방법을 통해 지난 20년간의 전반적인 영국교육정책의 변화 경향을 살펴보고 이어서 영국유아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및 교육과정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정부주도형 개혁이 유아교육의 질에 미치는 역기능을 살펴보았다. 대처주의식 영국 교육개혁은 위에서 아래로 이루어지며 국가수준 교육과정 수립, 전국단위 학력평가 실시와 같은 수월성과 성과주의를 내세운 결과로 인해 교육의 양극화와 아동빈곤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렇듯 최근 20년간 이루어진 영국 교육개혁의 역사는 확고한 비전이나 현장교사와 관련전문가의 의견은 배제된 채 정치적 결정에 의존하는 국가주도형 개혁은 유아교육의 질을 오히려 경직화시키고 퇴보시킬 수 있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 글은 민간의 자율성과 국가의 공공성이 균형감 있게 공존할 수 있는 우리나라 유아교육정책 수립과정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1980년대 대처정권부터 ‘지방분권식’ 교육전통을 벗어나 ‘중앙집권식’ 질 향상을 도모하는 교육개혁을 펼치고자 해온 영국유아교육의 최근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

      1980년대 대처정권부터 ‘지방분권식’ 교육전통을 벗어나 ‘중앙집권식’ 질 향상을 도모하는 교육개혁을 펼치고자 해온 영국유아교육의 최근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의 질적 수준 제고와 재구조화 과정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 유아교육에 줄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방법을 통해 지난 20년간의 전반적인 영국교육정책의 변화 경향을 살펴보고 이어서 영국유아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및 교육과정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정부주도형 개혁이 유아교육의 질에 미치는 역기능을 살펴보았다. 대처주의식 영국 교육개혁은 위에서 아래로 이루어지며 국가수준 교육과정 수립, 전국단위 학력평가 실시와 같은 수월성과 성과주의를 내세운 결과로 인해 교육의 양극화와 아동빈곤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렇듯 최근 20년간 이루어진 영국 교육개혁의 역사는 확고한 비전이나 현장교사와 관련전문가의 의견은 배제된 채 정치적 결정에 의존하는 국가주도형 개혁은 유아교육의 질을 오히려 경직화시키고 퇴보시킬 수 있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이 글은 민간의 자율성과 국가의 공공성이 균형감 있게 공존할 수 있는 우리나라 유아교육정책 수립과정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recent changes in British early childhood education, shifting from the localized voluntary educational tradition to the increased national control, since the 1980s driven by Thatcher administration. From this, we hope to glean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and restructuring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a literature analysis methodology, we examined the overall changes in the British educational policies over the last 20 years, followed by the analysis of the British early childhood policies and curriculum, and explored possible side-effects of national quality improvements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Thatcherian educational reform took the top-down approach, represented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and standardized achievement test. The results of this top-down British educational reform inclu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reconstruction have created a severe polarizat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child poverty. This 20 years’ history of British educational reform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reconstructing process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if policy makers do not take the visions and suggestions of early childhood experts’ and practitioners seriously,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will be trapped in the cycles of perpetual change that lead nowher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recent changes in British early childhood education, shifting from the localized voluntary educational tradition to the increased national control, since the 1980s driven by Thatcher administration. From this, we hope t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recent changes in British early childhood education, shifting from the localized voluntary educational tradition to the increased national control, since the 1980s driven by Thatcher administration. From this, we hope to glean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and restructuring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a literature analysis methodology, we examined the overall changes in the British educational policies over the last 20 years, followed by the analysis of the British early childhood policies and curriculum, and explored possible side-effects of national quality improvements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Thatcherian educational reform took the top-down approach, represented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and standardized achievement test. The results of this top-down British educational reform includ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reconstruction have created a severe polarization of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child poverty. This 20 years’ history of British educational reform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current reconstructing process of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if policy makers do not take the visions and suggestions of early childhood experts’ and practitioners seriously,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will be trapped in the cycles of perpetual change that lead nowhe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 Ⅱ. 영국교육개혁의 보수적 근대화
      • Ⅲ. 영국유아교육정책 및 교육과정의 변화
      • Ⅳ. 국가주도 교육개혁의 역기능
      • Ⅴ. 나가는 말
      • Ⅰ. 들어가는 말
      • Ⅱ. 영국교육개혁의 보수적 근대화
      • Ⅲ. 영국유아교육정책 및 교육과정의 변화
      • Ⅳ. 국가주도 교육개혁의 역기능
      • Ⅴ.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