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매설 배관의 타공사 손상 조기 검출에 대한 실험적 검증 = Experimental Verification on Early Detection of Third-Party Interference Damage in Buried Pipelin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534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mage to buried pipelines caused by third-party interference can lead to explosions, environmental pollution, ground settlement as well as economic losses. To prevent such damages, early detection technologies are required for identifying third-party interference that could affect these pipelines. Accordingly, vibration-based monitoring techniques have been extensively researched, and source localization based on the time difference of arrival have gained attention due to their effectiveness. This study aims to detect third-party interference to buried pipelines at an early stage to prevent pipeline damage. The accelerometers were attached to in-service waterwork pipelines with a diameter of 2,200 mm, a total length of 255 m, and an installation depth of 3 m to detect signals of third-party interference. The optimal frequency band for calculating the source location was determined by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Our empirical research yielded the early detection of third-party interference in the tested pipeline, which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cavation position.
      번역하기

      Damage to buried pipelines caused by third-party interference can lead to explosions, environmental pollution, ground settlement as well as economic losses. To prevent such damages, early detection technologies are required for identifying third-party...

      Damage to buried pipelines caused by third-party interference can lead to explosions, environmental pollution, ground settlement as well as economic losses. To prevent such damages, early detection technologies are required for identifying third-party interference that could affect these pipelines. Accordingly, vibration-based monitoring techniques have been extensively researched, and source localization based on the time difference of arrival have gained attention due to their effectiveness. This study aims to detect third-party interference to buried pipelines at an early stage to prevent pipeline damage. The accelerometers were attached to in-service waterwork pipelines with a diameter of 2,200 mm, a total length of 255 m, and an installation depth of 3 m to detect signals of third-party interference. The optimal frequency band for calculating the source location was determined by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is. Our empirical research yielded the early detection of third-party interference in the tested pipeline, which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cavation posi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타공사에 의한 매설 배관 파손 사고는 대량을 누출로 인한 폭발, 환경오염, 지반 침하 그리고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타공사에 의한 배관 파손 징후를 조기에 검출 가능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진동 신호를 이용한 매설 배관의 모니터링 기술은 오랫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며, 파동의 도달 시간차에 기반한 손상 위치 표정 기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주목 받아 왔다. 본 연구에서는 배관이 매설된 지반 위에서 수행하는 타공사를 조기에 검출하여 배관 파손을 예방하고자 한다. 관경 2,200 mm, 총 연장 255 m 그리고 매설 심도 3 m로 구성된 실제 운용중인 용수공급관로에 진동 가속도계를 부착하여 타공사 신호를 검출하였다. 특히, 손상 위치표정을 위해 주파수 분석을 통하여 최적 주파수 대역을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실험적으로 타공사 조기 검출이 가능함을 검증하였으며, 실제 굴착 위치와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번역하기

      타공사에 의한 매설 배관 파손 사고는 대량을 누출로 인한 폭발, 환경오염, 지반 침하 그리고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타공사에 의한 배관 파손 징후를 조...

      타공사에 의한 매설 배관 파손 사고는 대량을 누출로 인한 폭발, 환경오염, 지반 침하 그리고 경제적 손실을 초래한다.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타공사에 의한 배관 파손 징후를 조기에 검출 가능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진동 신호를 이용한 매설 배관의 모니터링 기술은 오랫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며, 파동의 도달 시간차에 기반한 손상 위치 표정 기법이 효과적인 것으로 주목 받아 왔다. 본 연구에서는 배관이 매설된 지반 위에서 수행하는 타공사를 조기에 검출하여 배관 파손을 예방하고자 한다. 관경 2,200 mm, 총 연장 255 m 그리고 매설 심도 3 m로 구성된 실제 운용중인 용수공급관로에 진동 가속도계를 부착하여 타공사 신호를 검출하였다. 특히, 손상 위치표정을 위해 주파수 분석을 통하여 최적 주파수 대역을 선정하였다. 이를 통해 실험적으로 타공사 조기 검출이 가능함을 검증하였으며, 실제 굴착 위치와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섭 ; 윤동진, "주파수 대역 변화를 이용한 배관의 누수지점 추정 개선 연구" 한국비파괴검사학회 34 (34): 44-52, 2014

      2 J. M. Muggleton, "Wavenumber prediction and measurement of axisymmetric waves in buried fluid-filled pipes : Inclusion of shear coupling at a lubricated pipe/soil interface" 332 (332): 1216-1230, 2013

      3 S. Folkman, "Water main break rates in the USA and Canada : A comprehensive study" 2018

      4 H. V. Fuchs, "Ten years of experience with leak detection by acoustic signal analysis" 33 (33): 1-19, 1991

      5 H. Ali, "Risk prediction of sinkhole occurrence for different subsurface soil profiles due to leakage from underground sewer and water pipelines" 12 (12): 310-, 2019

      6 E. S. Cole, "Methods of leak detection : an overview" 71 (71): 73-75, 1979

      7 Y. S. Jang, "Measurements of ultrasonic velocity and attenuation by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in time and frequency domains" 19 (19): 118-128, 1999

      8 A. Fentiman,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cultural erosion in Ogoniland : a case study of the oil spills in Bodo" 2 (2): 615-624, 2015

      9 P. Russo, "Derivation of risk areas associated with high-pressure natural-gas pipelines explosions including effects on structural components" 36 : 2014

      10 C. R Fuller, "Characteristics of wave propagation and energy distributions in cylindrical elastic shells filled with fluid" 81 (81): 501-518, 1982

      1 이영섭 ; 윤동진, "주파수 대역 변화를 이용한 배관의 누수지점 추정 개선 연구" 한국비파괴검사학회 34 (34): 44-52, 2014

      2 J. M. Muggleton, "Wavenumber prediction and measurement of axisymmetric waves in buried fluid-filled pipes : Inclusion of shear coupling at a lubricated pipe/soil interface" 332 (332): 1216-1230, 2013

      3 S. Folkman, "Water main break rates in the USA and Canada : A comprehensive study" 2018

      4 H. V. Fuchs, "Ten years of experience with leak detection by acoustic signal analysis" 33 (33): 1-19, 1991

      5 H. Ali, "Risk prediction of sinkhole occurrence for different subsurface soil profiles due to leakage from underground sewer and water pipelines" 12 (12): 310-, 2019

      6 E. S. Cole, "Methods of leak detection : an overview" 71 (71): 73-75, 1979

      7 Y. S. Jang, "Measurements of ultrasonic velocity and attenuation by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in time and frequency domains" 19 (19): 118-128, 1999

      8 A. Fentiman,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cultural erosion in Ogoniland : a case study of the oil spills in Bodo" 2 (2): 615-624, 2015

      9 P. Russo, "Derivation of risk areas associated with high-pressure natural-gas pipelines explosions including effects on structural components" 36 : 2014

      10 C. R Fuller, "Characteristics of wave propagation and energy distributions in cylindrical elastic shells filled with fluid" 81 (81): 501-518, 198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