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공연계에는 서양 고전작품이나 번안된 원작들을 소재로 한 뮤지컬이나 영화, 국악, 창극 등의 형태로 매체의 경계를 넘나들며 재창조하는 새로운 도전과 실험적인 무대가 계속되고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917659
2016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21-232(12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공연계에는 서양 고전작품이나 번안된 원작들을 소재로 한 뮤지컬이나 영화, 국악, 창극 등의 형태로 매체의 경계를 넘나들며 재창조하는 새로운 도전과 실험적인 무대가 계속되고 있...
최근 공연계에는 서양 고전작품이나 번안된 원작들을 소재로 한 뮤지컬이나 영화, 국악, 창극 등의 형태로 매체의 경계를 넘나들며 재창조하는 새로운 도전과 실험적인 무대가 계속되고 있다. 최근 들어 주목할만한 현상은 그동안 한국무대에 많이 소개되고 재해석된 작품이 아닌 국내에 처 음 소개되는 신작(新作)과 脫브로드웨이 뮤지컬의 선택 등 무대화의 방식을 좀 더 다양한 작품들로 확대해나가고 있다는 점이다. 그동안 연극계의 자생적인 발전과 함께 2000년대 들어 나타난 한류의 확산은 공연콘텐츠 분야에 있어서 질적, 양적 팽창을 가져왔으며 대기업들의 공연사업진출, 극단의 자생력을 위한 새로운 원작 레파토리 창출과 국내창작 뮤지컬 개발 등은 국내 연극계에도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그 중에서 프랑스 작가 마르셀 에메의 <벽을 뚫는 남자>의 국내 무대 뮤지컬 흥행 전략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브로드웨이 라이센스 뮤지컬과 창작 뮤지컬 일변도에 있었던 공연계에 프랑스 뮤지컬의 작은 움직임과 그 성과에 주목하는데 이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또한 2006년 초연 이후 10년 동안 5회의 공연을 거치며 꾸준하게 관객이 찾게 만드는 스테디셀러 공연이 될수 있었던 성공 요인 분석과 대형 라이센스 뮤지컬이 아닌 프랑스 뮤지컬의 국내공연 성공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공연콘텐츠의 원천 소스의 무대화가 웹툰, 연극, 영화, 웹드라마 등 다양한 장르로 확장되는 현시점에서 한국 공연콘텐츠의 다양성 확보를 전망해보는 것에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두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in the performing arts in Korea, experimental works are staged continuously that were re-created fromWestern classics or adaptations of original works in the form of musical, film,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opera across ...
Recently in the performing arts in Korea, experimental works are staged continuously that were re-created fromWestern classics or adaptations of original works in the form of musical, film,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opera across the boundaries of media. A notable phenomenon among these is that various original works can be put on the stage such as non-Broadwaymusicals and theworks newto Korea instead of the ones that previously reproduced and performed many times in the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French writer Marcel Aymé"s original short story of 〈Le Passe Muraille, the man who walked through walls〉 which i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fantasy literature and the numbers of the re-created sung-through musical according to Korean sentiment and also to examine the reasons the musical has received positive response for a long time as a small-scaled performance in the circumstancesweighted towards licensed and originalmusicals.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o increase the diversity and possibility of performing arts contents in the future through media transformation into transmedia when the source of the contents are adopted fromvarious genres includingwebtoon, novel,movies andwebdrama.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공연계에는 서양 고전작품이나 번안된 원작들을 소재로 한 뮤지컬이나 영화, 국악, 창극 등의 형태로 매체의 경계를 넘나들며 재창조하는 새로운 도전과 실험적인 무대가 계속되고 있...
최근 공연계에는 서양 고전작품이나 번안된 원작들을 소재로 한 뮤지컬이나 영화, 국악, 창극 등의 형태로 매체의 경계를 넘나들며 재창조하는 새로운 도전과 실험적인 무대가 계속되고 있다. 최근 들어 주목할만한 현상은 그동안 한국무대에 많이 소개되고 재해석된 작품이 아닌 국내에 처 음 소개되는 신작(新作)과 脫브로드웨이 뮤지컬의 선택 등 무대화의 방식을 좀 더 다양한 작품들로 확대해나가고 있다는 점이다. 그동안 연극계의 자생적인 발전과 함께 2000년대 들어 나타난 한류의 확산은 공연콘텐츠 분야에 있어서 질적, 양적 팽창을 가져왔으며 대기업들의 공연사업진출, 극단의 자생력을 위한 새로운 원작 레파토리 창출과 국내창작 뮤지컬 개발 등은 국내 연극계에도 다양한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그 중에서 프랑스 작가 마르셀 에메의 <벽을 뚫는 남자>의 국내 무대 뮤지컬 흥행 전략에 대해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브로드웨이 라이센스 뮤지컬과 창작 뮤지컬 일변도에 있었던 공연계에 프랑스 뮤지컬의 작은 움직임과 그 성과에 주목하는데 이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또한 2006년 초연 이후 10년 동안 5회의 공연을 거치며 꾸준하게 관객이 찾게 만드는 스테디셀러 공연이 될수 있었던 성공 요인 분석과 대형 라이센스 뮤지컬이 아닌 프랑스 뮤지컬의 국내공연 성공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공연콘텐츠의 원천 소스의 무대화가 웹툰, 연극, 영화, 웹드라마 등 다양한 장르로 확장되는 현시점에서 한국 공연콘텐츠의 다양성 확보를 전망해보는 것에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두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in the performing arts in Korea, experimental works are staged continuously that were re-created fromWestern classics or adaptations of original works in the form of musical, film,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opera across ...
Recently in the performing arts in Korea, experimental works are staged continuously that were re-created fromWestern classics or adaptations of original works in the form of musical, film,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Korean traditional opera across the boundaries of media. A notable phenomenon among these is that various original works can be put on the stage such as non-Broadwaymusicals and theworks newto Korea instead of the ones that previously reproduced and performed many times in the coun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French writer Marcel Aymé"s original short story of 〈Le Passe Muraille, the man who walked through walls〉 which i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fantasy literature and the numbers of the re-created sung-through musical according to Korean sentiment and also to examine the reasons the musical has received positive response for a long time as a small-scaled performance in the circumstancesweighted towards licensed and originalmusicals.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o increase the diversity and possibility of performing arts contents in the future through media transformation into transmedia when the source of the contents are adopted fromvarious genres includingwebtoon, novel,movies andwebdrama.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전병준, "흥행불확실성에 따른 국내 뮤지컬산업의 흥행전략" 17 : 111-139, 2010
2 동아일보, "프랑스 뮤지컬 <벽을 뜷는 남자> 국내초연"
3 Lotte Card Life Square, "평범한 이들을 위한 찬가"
4 마르셀에메, "벽으로 드나드는 남자" 문학동네 2002
5 노승국, "뮤지컬 더블캐스팅에 대한 소비자 구매의도 연구: 스타선호도, 지식 수준,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경제학회 18 (18): 199-211, 2015
6 폴리뉴스, "뮤지컬 <벽을 뚫는 남자> 장수 뮤지컬 생존법"
7 뉴스컬쳐, "뮤지컬 <벽을 뚫는 남자> 김동완 회차 전석매진 기록"
8 "뮤지컬 <벽을 뚫는 남자> (2015), Guide Book" 2015
9 여석기, "드라마, 번역, 번안" 25 (25): 27-31, 2007
10 김성수, "글로컬 문화콘텐츠 전략" 한국외국어대학교 48-50, 2012
1 전병준, "흥행불확실성에 따른 국내 뮤지컬산업의 흥행전략" 17 : 111-139, 2010
2 동아일보, "프랑스 뮤지컬 <벽을 뜷는 남자> 국내초연"
3 Lotte Card Life Square, "평범한 이들을 위한 찬가"
4 마르셀에메, "벽으로 드나드는 남자" 문학동네 2002
5 노승국, "뮤지컬 더블캐스팅에 대한 소비자 구매의도 연구: 스타선호도, 지식 수준,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경제학회 18 (18): 199-211, 2015
6 폴리뉴스, "뮤지컬 <벽을 뚫는 남자> 장수 뮤지컬 생존법"
7 뉴스컬쳐, "뮤지컬 <벽을 뚫는 남자> 김동완 회차 전석매진 기록"
8 "뮤지컬 <벽을 뚫는 남자> (2015), Guide Book" 2015
9 여석기, "드라마, 번역, 번안" 25 (25): 27-31, 2007
10 김성수, "글로컬 문화콘텐츠 전략" 한국외국어대학교 48-50, 2012
11 심재민, "공연예술에서의 번역 및 번안의 문제" 25 (25): 32-40, 2007
12 스포츠 동아, "고창석 뮤지컬 <벽을 뚫는 남자> 재도전, 감칠맛 살린다"
13 월간 미술세계, "Culture Performance, 11월호"
중국 웨딩소비자들의 웨딩문화의 변화가 한국 웨딩산업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Utilitarian Value and Hedonic Value of Mobile Service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8-04-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문화무역학회 -> 한국문화산업학회영문명 : Korea Society Of Culture And International Trade -> Korea Society of Culture Industry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8 | 0.88 | 0.9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86 | 0.83 | 1.366 | 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