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에 소재하는 청소년지원센터에 의뢰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544190
2013
Korean
600
학술저널
95-168(7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에 소재하는 청소년지원센터에 의뢰된 ...
본 연구는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에 소재하는 청소년지원센터에 의뢰된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 가운데 해당기관 사회복지사의 추천과 학교생활 부적응 검사 척도 50~70미만으로 부모의 동의를 받은 남아 4명이다. 연구는 2009년 9월 첫째 주부터 2009년 12월 마지막 주까지 주1회, 50~90분간 경기도 K시에 소재한 청소년지원센터의 미술치료실에서 실시하였다. 본 미술치료는 도입단계(1~3회기), 실행단계(4~13회기), 종결단계(14~15회기)로 3단계를 총 15회기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학교생활부적응 아동들의 사회성 척도의 사전, 사후 검사를 검증한 결과를 살펴보면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에 비해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므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상 아동들은 사회적 기술훈련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함께 그림 그리기, 돌려 그리기, 공동화 등을 하며 함께하는 즐거움과 상호작용을 알고, 규칙을 지키고 결과를 받아들이며, 친구와 이야기하고 발표함, 경청하는 과정을 통해 친구와 교류하는 방법을 알 수 있었다. 갈등다루기와 배려하기 등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습득하게 되었다. 따라서 아동들은 친구를 놀리거나 다투는 등, 친구들과의 교류보다는 혼자 맴돌던 행동이 많이 줄고 공동화, 돌려 그리기 등 서로 협동하는 작업도 잘 수행하는 모습들을 보이게 된 것으로 보아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생활 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론은 Yale의 행동평가척도 중 주의력결핍의 7문항의 하위영역의 사전, 사후 점수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사전에 비해 점수가 높아졌으므로 주의집중력의 유의미한 수준으로 향상된 것을 통해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생활부적응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상아동들은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활동 과정에서 집중하기, 피드백을 통한 통찰, 인지행동 치료기법을 통한 수정 및 통제 훈련을 받으며 친구의 말에 끼어든다거나, 방해한다거나, 책상 밑으로 기어 들어가는 등 과제를 중도에 포기하고 산만한 행동을 보이는 부적절한 행동 빈도가 줄어들었다. 또한 치료시간 동안에 집중하여 과제를 마치고 친구의 이야기를 적극 경청하며 끼어들지 않으며 배려하는 마음이 생긴 것으로 보아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부적응 아동의 주의집중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론에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사회성 및 주의집중력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본 연구가 단일사례이며 대상아동 선정에서 성별이 남아에게 치우쳐 있었기 때문에 한계점을 갖고 있으므로 여아를 포함한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의 효율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후속연구로 지속되길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how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affect on improving sociality and concentrati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in school.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called in ...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how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affect on improving sociality and concentration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in school.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called in the Youth support center located in city K. those four children were recommended by social workers of the center and their parents agreed to the research. All the children showed under school life maladjustment test scale 50~90. The research took place once a week for 50-90 minutes each session from first week of September 2009 to the last week of December 2009 at the art therapy room in Youth support center located in city K. This art therapy were composed of 15 sessions of 3 stages: Introduction stage(1~3 sessions), Practice state(4~13 sessions), Termination stage (14~15 session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ociality of a maladjusted child. The result examining sociality measure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research shows that the score from post-research is improved significantly. It means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on improving sociality of a maladjusted child. The children participated in social skill training art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painting, painting in turn, collaborative painting together. They acquired pleasure of collaboration and interaction as well as learning how to interact with friends by abiding rules, accepting the results, talking with friends and making presentation and listening attentively. Thus, with the result showing reduction on the behavior of wondering about by oneself rather than interacting with friends such as teasing and arguing with friends such as teasing and arguing with friends as well as improvement on conducting co-operative tasks such as collaborative painting and painting in turn, it can be concluded that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ociality of the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Secondly,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d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concentra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on the subcategory of 7 questions on inattention of Yale's Child Behavior Checklist between pre-research and post-research show significant improvement on atten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on improving atten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During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the children received amendment and control training by concentration, insight from feedback, cognitive-behavioral therapy tools. They showed the reduction of frequency of the negative behaviors which include quitting tasks midway and showwing inattentive behavior such as interrupting friends talking, distracting others, crawling under the desks. In addition, they were able to finish assignments with concentration during the sessions and also able to listen actively with attentive attitude, not interrupting. This shows that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atten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Thes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the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has effects on improving sociality and concentration of maladjusted children within school. But, This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with the research being a single case and the selection of the subjects biased to male children. Thus, it is expected to be extended to be follow-up research by developing efficient cognitive-behavioral program which including female children as subjects.
미술치료를 활용한 집단 따돌림 피해 여고생 집단상담 사례 연구
뚜렛장애아동의 불안감소 및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예술치료 사례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