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타 배우들의 영화 출연 구조가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 -2008년~2017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137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08-2017년 동안 1백편의 국내 흥행영화 주인공들의 출연 빈도를 측정함으로써 영화에 투입된 인적 자원의 속성과 그 성과들을 살펴보고자 했다. 주요 연구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는 2008-2017년 동안 1백편의 국내 흥행영화 주인공들의 출연 빈도를 측정함으로써 영화에 투입된 인적 자원의 속성과 그 성과들을 살펴보고자 했다. 주요 연구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인공 역할별로 살펴볼 때 주인공 역할 1에 출연하는 배우들의 평균적인 출연 빈도는 4.61회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주인공 2는 3.32회, 주인공 3은 2.97회로 나타났다. 출연 빈도가 높은 배우들은 주인공 역할 1이나 2 등 주요 배역에 집중적으로 캐스팅되는 전형적인 스타 시스템 구조가 나타났다. 둘째, 감독별, 영화 장르별로 스타 배우들의 흥행영화 출연 빈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2편 이상 영화를 연출한 감독일수록 1회 연출 감독보다 스타급 배우들을 활용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는 흥행성이 입증된 감독일수록 그에 맞는 스타급 배우들을 선호한다는 것이다. 장르별 차이는 주인공 역할 2의 출연 빈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사극 장르에서 가장 출연 경험이 많은 배우 캐스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주인공 출연 빈도가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영화 매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인공 역할 1에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는 영화의 원탑 배우가 실질적으로 영화 흥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추가로 5명의 스타 배우들을 모두 통합해 그 출연 빈도를 살펴볼 경우, 이들의 흥행영화 출연 빈도가 높을수록 영화 흥행 매출도 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effects of movie stars on box-office performances. Using credit information based on the KMDB movie database, it calculate the frequency of movie occurrences for movie stars from 2008 to 2017 in 100 Korean movies. Th...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effects of movie stars on box-office performances. Using credit information based on the KMDB movie database, it calculate the frequency of movie occurrences for movie stars from 2008 to 2017 in 100 Korean movie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movie stars with the higher frequency of movie occurrences tended to play in the first or second roles in the movie. That is, a few movie stars dominated the major roles for the movies. Secondly, movie directors with a lot of experience for making movies tended to use movie stars with the higher frequency of movie occurrence. In addition,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movie genres in terms of the second role in the movie. Thirdly,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core of the first role in the movie explained the variance for movie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 higher the number of stars in the movies, the larger the box-office performances of mov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이론적 논의
      • III. 연구문제
      • IV. 연구방법
      • V. 연구결과
      • I. 서론
      • II. 이론적 논의
      • III. 연구문제
      • IV. 연구방법
      • V. 연구결과
      • VI.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성아, "한국영화에서 스타의 신호 역할과 재무적 가치" 한국영화학회 (34) : 69-92, 2007

      2 임성준, "한국영화산업에 있어서 지식기반자원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전략경영학회 6 (6): 3-, 2003

      3 류설리, "한국영화 주요 배우·감독 네트워크 분석과 네트워크 불평등에 관한 연구 : 2008-2012 영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경제학회 16 (16): 47-71, 2013

      4 황예나, "한국 흥행영화의 배우관계망 분석: 2012∼2016년도 한국 흥행 영화 출연 배우들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5 (25): 163-184, 2017

      5 박승현, "한국 영화시장의 흥행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2006-2008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9 (9): 243-276, 2009

      6 김정호, "평균 관객 수 10분위를 활용한 감독, 제작자, 배우 흥행성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8 (18): 78-98, 2018

      7 김수정, "초국가적 스타 형성에서의 기호전략과 의미작용: 일본에서 장근석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8 (28): 74-116, 2014

      8 박승현, "영화의 흥행성과와 제작비 규모와의 관계 : 2011년 한국영화의 흥행결정요인 분석" 사회과학연구원 51 (51): 45-79, 2012

      9 정재우, "영화산업에 있어서 배우 시장 구조에 관한 연구" 4 (4): 79-107, 2012

      10 김연형, "영화 흥행 결정 요인과 흥행성과 예측 연구" CSAM 859-869, 2011

      1 안성아, "한국영화에서 스타의 신호 역할과 재무적 가치" 한국영화학회 (34) : 69-92, 2007

      2 임성준, "한국영화산업에 있어서 지식기반자원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전략경영학회 6 (6): 3-, 2003

      3 류설리, "한국영화 주요 배우·감독 네트워크 분석과 네트워크 불평등에 관한 연구 : 2008-2012 영화를 중심으로" 한국문화경제학회 16 (16): 47-71, 2013

      4 황예나, "한국 흥행영화의 배우관계망 분석: 2012∼2016년도 한국 흥행 영화 출연 배우들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5 (25): 163-184, 2017

      5 박승현, "한국 영화시장의 흥행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2006-2008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9 (9): 243-276, 2009

      6 김정호, "평균 관객 수 10분위를 활용한 감독, 제작자, 배우 흥행성과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8 (18): 78-98, 2018

      7 김수정, "초국가적 스타 형성에서의 기호전략과 의미작용: 일본에서 장근석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8 (28): 74-116, 2014

      8 박승현, "영화의 흥행성과와 제작비 규모와의 관계 : 2011년 한국영화의 흥행결정요인 분석" 사회과학연구원 51 (51): 45-79, 2012

      9 정재우, "영화산업에 있어서 배우 시장 구조에 관한 연구" 4 (4): 79-107, 2012

      10 김연형, "영화 흥행 결정 요인과 흥행성과 예측 연구" CSAM 859-869, 2011

      11 박승현, "영화 투자배급사의 연간 포트폴리오 분석: 롯데엔터테인먼트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4 (14): 83-92, 2014

      12 최승수, "영화 크레딧과 그 분쟁해결절차 개관" 대한변호사협회 (358) : 71-80, 2006

      13 김현정, "영화 엔딩 크레딧 디자인에 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9 (9): 305-315, 2008

      14 임정일, "영화 매출액과 광고비 영향력 분석: 국내 개봉 영화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17) : 40-65, 2018

      15 최화열, "신한류 열풍시대의 휴먼브랜드 파워가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영화배우와 감독을 중심으로 -" 한국관광연구학회 26 (26): 135-153, 2012

      16 김나민, "로맨틱 코미디 영화의 남녀 주연배우가 관객의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관리학회 16 (16): 125-143, 2011

      17 조아름, "국내 개봉 흥행 영화의 속성에 따른 배우 캐스팅의 특성과 성과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18 김주영, "Movie Preference before Watching The Roles of Actor’s Fit in Expertise and Actor Likeability" 한국PR학회 14 (14): 5-27, 2010

      19 Cattani, G., "A core/periphery perspective on individual creative performance : Social networks and cinematic achievements in the Hollywood film industry" 19 (19): 824-844, 2008

      20 영화진흥위원회, "2018년 한국 영화산업 결산"

      21 영화진흥위원회, "2013년 한국영화산업조사보고서"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