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임대주택 유형별 주거안정효과 분석 = An Analysis on the Contribution of Social Housing to Residential Stability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123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basis to compare the effects of residential stability of social housing by type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s statistical data, literature review, FGI, and AHP expert survey. The three main elements of affordability, tenure security, and tenant qualification to measure residential stability and 9 sub-elements of rent level, deposit level, floor area, operation period, rental period limitation, rent increase, home-ownership, income level, vulnerable social group such as the elderly were identified from literature review and FGI.
      A comprehensive index of residential stability of social housing by type were calculated based on weight and level of contribution to residential stability by each element from AHP expert survey. Permanent rental housing scored the highest mark in terms of residential stability followed by Purchased rental housing, 50 years operation rental housing, National rental housing while 5 years operation rental housing, Semi-public rental housing, New Stay formed the lowest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 basis for the system of supports to social housing provision by typ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basis to compare the effects of residential stability of social housing by type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s statistical data, literature review, FGI, and AHP expert survey. The three main elements of afforda...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basis to compare the effects of residential stability of social housing by type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study uses statistical data, literature review, FGI, and AHP expert survey. The three main elements of affordability, tenure security, and tenant qualification to measure residential stability and 9 sub-elements of rent level, deposit level, floor area, operation period, rental period limitation, rent increase, home-ownership, income level, vulnerable social group such as the elderly were identified from literature review and FGI.
      A comprehensive index of residential stability of social housing by type were calculated based on weight and level of contribution to residential stability by each element from AHP expert survey. Permanent rental housing scored the highest mark in terms of residential stability followed by Purchased rental housing, 50 years operation rental housing, National rental housing while 5 years operation rental housing, Semi-public rental housing, New Stay formed the lowest group.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 basis for the system of supports to social housing provision by typ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유형의 임대주택 간 주거안정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현황 자료 분석, 문헌 분석, 전문가 FGI, AHP 전문가 설문조사 방법 등을 활용해 임대주택 유형별 주거안정효과 종합지표를 도출했다. 문헌분석과 전문가 FGI를 통해 주거안정효과의 상위요인으로 주거비 부담, 주거 점유안정, 입주자 자격 제한 등 3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들에 대한 하위요인으로는임대료 수준, 보증금 수준, 면적, 운영 기간, 거주 기한, 임대료 상승률, 주택소유여부, 소득수준, 특수계층 여부 등 총 9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후 AHP 전문가설문조사를 통해 각 요인별 가중치와 주거안정 기여도 점수를 도출하고 이를 종합해 임대주택 유형별 주거안정효과 종합지표를 도출했다. 분석 결과 영구 임대를 선두로 매입 임대, 50년 임대, 국민 임대 등이 주거안정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5년 임대, 舊준공공 임대 및 舊뉴스테이 등의 민간 임대는 주거안정효과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정된 재원 및 정책 수단을 고려할 때 임대주택 지원정책은 이러한 유형별 주거안정효과에 기반을 두고 정비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주거안정효과에 기초한 임대주택 지원정책의 체계화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유형의 임대주택 간 주거안정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현황 자료 분석, 문헌 분석, 전문가 FGI, AHP 전문가 설문조사 방법 등을 활용해 임대주택 유형...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유형의 임대주택 간 주거안정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현황 자료 분석, 문헌 분석, 전문가 FGI, AHP 전문가 설문조사 방법 등을 활용해 임대주택 유형별 주거안정효과 종합지표를 도출했다. 문헌분석과 전문가 FGI를 통해 주거안정효과의 상위요인으로 주거비 부담, 주거 점유안정, 입주자 자격 제한 등 3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들에 대한 하위요인으로는임대료 수준, 보증금 수준, 면적, 운영 기간, 거주 기한, 임대료 상승률, 주택소유여부, 소득수준, 특수계층 여부 등 총 9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후 AHP 전문가설문조사를 통해 각 요인별 가중치와 주거안정 기여도 점수를 도출하고 이를 종합해 임대주택 유형별 주거안정효과 종합지표를 도출했다. 분석 결과 영구 임대를 선두로 매입 임대, 50년 임대, 국민 임대 등이 주거안정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5년 임대, 舊준공공 임대 및 舊뉴스테이 등의 민간 임대는 주거안정효과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정된 재원 및 정책 수단을 고려할 때 임대주택 지원정책은 이러한 유형별 주거안정효과에 기반을 두고 정비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주거안정효과에 기초한 임대주택 지원정책의 체계화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소연, "호주의 공공임대주택 정책 및주요 특성 연구" 국토연구원 89 : 131-148, 2016

      2 김혜승, "최저주거기준을 활용한 2006년 주거복지 소요 추정 연구" 국토연구원 2007

      3 김혜승, "최저주거기준과 최저주거비부담을 고려한 주거복지정책 소요추정" 국토연구원 59 : 223-245, 2008

      4 오정석, "주거복지향상을 위한 임대주택의 관리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재개발임대주택을 중심으로 -" 대한부동산학회 27 (27): 69-87, 2009

      5 윤주현, "주거복지지표의 개발" 국토연구원 2005

      6 홍형옥, "주거복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I - 객관적 측면의 주거복지 지표를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19 (19): 77-84, 2008

      7 윤주현, "주거복지제도의 평가와 개선방안" 국토연구원 1997

      8 김혜승, "저소득층의주거비지불능력을고려한 주거비보조에관한연구" 국토연구원 39 : 6-102, 2003

      9 박은철, "장기공공임대주택의 입주자격 및 임대료체계 개선방향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28 (28): 1-31, 2015

      10 김태섭, "민간건설 공공임대주택 적정임대료 산정체계 및 임대료 관련 분쟁 조정반안 연구" 주택산업연구원 2017

      1 박소연, "호주의 공공임대주택 정책 및주요 특성 연구" 국토연구원 89 : 131-148, 2016

      2 김혜승, "최저주거기준을 활용한 2006년 주거복지 소요 추정 연구" 국토연구원 2007

      3 김혜승, "최저주거기준과 최저주거비부담을 고려한 주거복지정책 소요추정" 국토연구원 59 : 223-245, 2008

      4 오정석, "주거복지향상을 위한 임대주택의 관리개선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재개발임대주택을 중심으로 -" 대한부동산학회 27 (27): 69-87, 2009

      5 윤주현, "주거복지지표의 개발" 국토연구원 2005

      6 홍형옥, "주거복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I - 객관적 측면의 주거복지 지표를 중심으로 -" 한국주거학회 19 (19): 77-84, 2008

      7 윤주현, "주거복지제도의 평가와 개선방안" 국토연구원 1997

      8 김혜승, "저소득층의주거비지불능력을고려한 주거비보조에관한연구" 국토연구원 39 : 6-102, 2003

      9 박은철, "장기공공임대주택의 입주자격 및 임대료체계 개선방향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28 (28): 1-31, 2015

      10 김태섭, "민간건설 공공임대주택 적정임대료 산정체계 및 임대료 관련 분쟁 조정반안 연구" 주택산업연구원 2017

      11 김선미, "근로빈곤층의 주거실태 및 주거안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213-238, 2009

      12 "국토교통부 LH 주거복지 포털"

      13 "국토교통 통계누리"

      14 "국가법령정보센터"

      15 고철, "공공임대주택정책의 개선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1991

      16 진미윤, "공공임대주택 임대조건 조정과 효과 분석 연구" 토지주택연구원 2016

      17 이종권, "공공임대주택 50년 성과와 과제" 토지주택연구원 2013

      18 박윤영, "경기도 영구임대주택 입주민의 주거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행정학회 20 (20): 99-130, 2007

      19 Morris, E. W, "Housing, family, and society" John Wiley and Sons 1978

      20 박천규, "Housing Welfare Indicators for the Quality of Life in Korea" 2006

      21 윤주현, "Housing Service in Korea and Housing Policy Implications" 2004

      22 오동훈, "Housing Affordability and Urban Renters Characteristics: A Budget Share Approach" 32 (32): 317-329, 1997

      23 Department of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s, "English Housing Survey: Households" 2015

      24 국토교통부, "2017 주택업무편람" 국토교통부 2017

      25 국토교통부, "2016 주택업무편람" 국토교통부 2016

      26 국토교통부, "2016 주택도시기금 업무편람" 국토교통부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3 1.23 1.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6 1.32 1.495 0.5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