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건사회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 = The Trend and Prospect of the Researches of Health Sociology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583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While medical sociology has developed on the basis of sociological theory inWestern countries, it has been developed as the sociology in medicine in Korea.
      This paper aims at reviewing the articles published by Health and Social Science,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rends of those articles. In the area ofsocial epidemiology, articles usually dealt with job stress, elderly health, andmental health, but not with the topics physical health or patient groups. In termsof health behavior, it was found that health habits and health care utilizationswere the popular topics. But the topics were usually limited to a few subjectssuch as smoking, drinking, and health inequalities. The articles focusing ondoctors and patients were very few. In terms of the institution and policy, themost popular topic was health insurance. However, social relations immanent inhealth insurance policies were not discussed. In the future, research topics shouldbe diversified and theory-oriented research are needed.
      번역하기

      While medical sociology has developed on the basis of sociological theory inWestern countries, it has been developed as the sociology in medicine in Korea. This paper aims at reviewing the articles published by Health and Social Science,and identifyi...

      While medical sociology has developed on the basis of sociological theory inWestern countries, it has been developed as the sociology in medicine in Korea.
      This paper aims at reviewing the articles published by Health and Social Science,and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trends of those articles. In the area ofsocial epidemiology, articles usually dealt with job stress, elderly health, andmental health, but not with the topics physical health or patient groups. In termsof health behavior, it was found that health habits and health care utilizationswere the popular topics. But the topics were usually limited to a few subjectssuch as smoking, drinking, and health inequalities. The articles focusing ondoctors and patients were very few. In terms of the institution and policy, themost popular topic was health insurance. However, social relations immanent inhealth insurance policies were not discussed. In the future, research topics shouldbe diversified and theory-oriented research are need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서구의 보건사회학이 사회학 이론에 기초하여 발전했던 것과는 달리 한국의 보건사회학은 보건의료분야에 응용된 학문분야로 발전해왔다. 이 글은 학술지 ‘보건과 사회과학’에 수록된 논문의 주제를분석하여 한국 보건사회학의 특성을 찾아보았다. 사회역학 분야에서는 직무스트레스, 노인건강, 정신건강을 다룬 논문들이 많았으나 환자집단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논문들이 희소했다. 건강행동 분야에서는 건강습관 및 의료이용이 논문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주제가 음주 흡연 또는 형평성 등특정 주제에 한정되는 경향이 있었다. 의사 환자 병원 분야에서는 연구 논문 자체가 적고, 또한 의사,한의사, 환자를 다룬 논문은 희소하였다. 제도와 정책 분야에서는 건강보험에 대한 논문들이 많았지만 제도와 정책의 사회적 관계를 심층적으로 다루지는 못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보건사회학의 발전을 위해 향후 연구주제를 다양하게 하고 사회학 이론에 기초한 분석이 시도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서구의 보건사회학이 사회학 이론에 기초하여 발전했던 것과는 달리 한국의 보건사회학은 보건의료분야에 응용된 학문분야로 발전해왔다. 이 글은 학술지 ‘보건과 사회과학’에 수록된 ...

      서구의 보건사회학이 사회학 이론에 기초하여 발전했던 것과는 달리 한국의 보건사회학은 보건의료분야에 응용된 학문분야로 발전해왔다. 이 글은 학술지 ‘보건과 사회과학’에 수록된 논문의 주제를분석하여 한국 보건사회학의 특성을 찾아보았다. 사회역학 분야에서는 직무스트레스, 노인건강, 정신건강을 다룬 논문들이 많았으나 환자집단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논문들이 희소했다. 건강행동 분야에서는 건강습관 및 의료이용이 논문이 다수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주제가 음주 흡연 또는 형평성 등특정 주제에 한정되는 경향이 있었다. 의사 환자 병원 분야에서는 연구 논문 자체가 적고, 또한 의사,한의사, 환자를 다룬 논문은 희소하였다. 제도와 정책 분야에서는 건강보험에 대한 논문들이 많았지만 제도와 정책의 사회적 관계를 심층적으로 다루지는 못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보건사회학의 발전을 위해 향후 연구주제를 다양하게 하고 사회학 이론에 기초한 분석이 시도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신현, "질병의 사회심리학" 나남출판 2004

      2 McKinlay, J.B., "The end of golden age of doctoring" 32 : 379-416, 2002

      3 Nettleton, S.,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Polity Press 1995

      4 Parsons, T., "The Social System" Routledge 1951

      5 Conrad, P., "The Medicalization of Societ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7

      6 Szasz, T., "The Medicalization of Everyday Life"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7

      7 Tovey, P., "The Mainstreaming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Studies in Social Context" Routledge 2004

      8 Jung-Choi, K.,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causespecific mortality among 1.4 million South Korean public servants and their dependents" 65 : 632-638, 2011

      9 Cho, H.,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cause-specific mortality among South Korean adolescents" 36 (36): 50-57, 2007

      10 Kawachi, I., "Social Epidemi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74-190, 2000

      1 전신현, "질병의 사회심리학" 나남출판 2004

      2 McKinlay, J.B., "The end of golden age of doctoring" 32 : 379-416, 2002

      3 Nettleton, S., "The Sociology of Health and Illness" Polity Press 1995

      4 Parsons, T., "The Social System" Routledge 1951

      5 Conrad, P., "The Medicalization of Societ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7

      6 Szasz, T., "The Medicalization of Everyday Life" Syracuse University Press 2007

      7 Tovey, P., "The Mainstreaming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Studies in Social Context" Routledge 2004

      8 Jung-Choi, K.,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causespecific mortality among 1.4 million South Korean public servants and their dependents" 65 : 632-638, 2011

      9 Cho, H., "Socioeconomic differentials in cause-specific mortality among South Korean adolescents" 36 (36): 50-57, 2007

      10 Kawachi, I., "Social Epidemi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74-190, 2000

      11 Turner, B., "Regulating Bodies: Essays in Medical Sociology" Routledge 1992

      12 Johannessen, H., "Multiple Medical Realities: Patients and Healers in Biomedical, Alternative and Traditional Medicine" Berghahn Books 2006

      13 Rothman, D. J., "Medical professionalism-focusing on real issues" 324 : 1284-1286, 2000

      14 Khang, Y., "Impact of crisis on cause-specific mortality in South Korea" 34 (34): 1291-1301, 2005

      15 Light, D. W., "Health professions and the state in Europe" Routledge 24-41, 1995

      16 Bird, C. E., "Gender and Health: the Effects of Constrained Choices and Social Polic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8

      17 정최경희, "Changes in Contribution of Causes of Death to Socioeconomic Mortality Inequalities in Korean Adults" 대한예방의학회 44 (44): 249-259, 2011

      18 Clarke, A. E., "Biomedicalization: Technoscience, Health, and Illness in the U.S" Duke University Press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1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과 사회과학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Science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5 1.45 1.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3 2.13 2.507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