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시대에 있어 여행기업의 주요 홍보도구인 모바일 광고에 대한 가치 확인 및 표현형태(문자, 이미지)의 중요성을 검토하고 표현형태에 따른 광고효과를 분석함으로써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93167
201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시대에 있어 여행기업의 주요 홍보도구인 모바일 광고에 대한 가치 확인 및 표현형태(문자, 이미지)의 중요성을 검토하고 표현형태에 따른 광고효과를 분석함으로써 ...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 시대에 있어 여행기업의 주요 홍보도구인 모바일 광고에 대한 가치 확인 및 표현형태(문자, 이미지)의 중요성을 검토하고 표현형태에 따른 광고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소구력 있고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는 표현형태를 도출하여 여행기업의 모바일 광고 제작에 실질적인 도움을 줌과 동시에 관광학 영역에서의 모바일 관광광고연구에 대한 활성화를 이끌어 내고 관광마케팅커뮤니케이션이론의 확장을 꾀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된다. 이를 위하여 연구는 6가지 방향으로 진행되며 연구 1에서는 모바일 광고의 현황 및 추세, 가치 검토, 연구 2는 독립변수인 모바일 광고 표현형태에 대한 이론적 고찰, 연구 3은 종속변수인 광고효과 측정항목 도출을 위한 모바일 광고의 광고효과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연구 4에서는 모바일 광고의 표현형태에 따른 광고효과에 대한 이론적 검토, 연구 5에서는 모바일 여행상품 광고의 표현형태에 따른 광고효과에 대한 실증적 분석, 연구 6에서는 연구 5를 토대로 높은 광고효과를 창출하는 모바일 여행상품 광고를 위한 실질적 지침서를 개발한다. 연구방법은 연구 1과 연구 2, 연구 3, 연구 4는 질적연구방법으로 접근하여 진행하며, 연구 5는 실험설계를 통한 실험조사방법을 실시한다. 연구 6은 연구 5의 결과를 중심으로 진행되며 문헌연구를 병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