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함허득통의 「安養讚」에 나타난 依報莊嚴 연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安養讚」에 나타난 함허득통(1376-1433)의 정토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논자가 이미 발표한 다른 논문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기체가의 형태를 빌어 정토의례용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찬탄문을 작성하였다. 그 중에서도 재창을 하면서 대중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반복한 찬탄문은 다른 곳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다음으로 「안양찬」의 10게송을 내용별로 분류해 보면, 첫째 제1송에서 2송까지는 피안불과 차안불의 권유에 의해서 극락정토의 모습이 들어난 것을 찬탄하고 있다. 둘째 제3송에서 제5송까지는 칠보장엄의 극락정토 의보장엄에 대해서 찬탄하고 있다. 극락세계의 환경적인 요소인 칠보누각, 칠보연지 등에 대해서 상세히 찬탄하고 있다. 셋째 제6송에서 제7송까지는 시방제불에게 공양하고, 극락대중의 공양에 대한 의보장엄을 찬탄하고 있다. 넷째 제8송에서 제10송까지는 십념염불로 극락대중의 덕상과 왕생방법 및 내영접인에 대해서 찬탄하고 있다. 따라서 함허는 단순한 선사로서 수행한 대선지식만이 아니고, 정토사상과 신앙을 유포하기 위해 노력한 면도 보인다. 특히 정토신앙을 의례화하여 대중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 「안양찬」이라고 생각된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安養讚」에 나타난 함허득통(1376-1433)의 정토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논자가 이미 발표한 다른 논문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기체가의 형태를 빌어 정토의례용으로 활용될 수 ...

      본 논문은 「安養讚」에 나타난 함허득통(1376-1433)의 정토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논자가 이미 발표한 다른 논문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경기체가의 형태를 빌어 정토의례용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찬탄문을 작성하였다. 그 중에서도 재창을 하면서 대중들이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반복한 찬탄문은 다른 곳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다음으로 「안양찬」의 10게송을 내용별로 분류해 보면, 첫째 제1송에서 2송까지는 피안불과 차안불의 권유에 의해서 극락정토의 모습이 들어난 것을 찬탄하고 있다. 둘째 제3송에서 제5송까지는 칠보장엄의 극락정토 의보장엄에 대해서 찬탄하고 있다. 극락세계의 환경적인 요소인 칠보누각, 칠보연지 등에 대해서 상세히 찬탄하고 있다. 셋째 제6송에서 제7송까지는 시방제불에게 공양하고, 극락대중의 공양에 대한 의보장엄을 찬탄하고 있다. 넷째 제8송에서 제10송까지는 십념염불로 극락대중의 덕상과 왕생방법 및 내영접인에 대해서 찬탄하고 있다. 따라서 함허는 단순한 선사로서 수행한 대선지식만이 아니고, 정토사상과 신앙을 유포하기 위해 노력한 면도 보인다. 특히 정토신앙을 의례화하여 대중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 「안양찬」이라고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viewpoint of the Pure Land of the Seon master Hamheo Deugtong (1376-1433) which appeared in Anyang chan (安養讚). As I mentioned in other papers already published, I wrote a glorification in the form of the gyeonggichega (景幾體歌) that can be used as ceremonial purposes for Pure Land rituals. Among them, it is the only one of chanting in which the public could participate together during the recital. The ten eulogies of Anyang chan were classified by content, the following four characteristics can be seen. First, from the first to second verses praise the appearance of the Pure Land of Paradise at the invitation of the Amitabha of this shore and the other shore. Second, the 3rd to 5th songs are the glorification of the Adorning of the Seven Precious Jewels in the pure land of Amitabha. It admires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the world of paradise such as the pavilion and lotus pond with seven precious gems in detail. Third, from the 6th to the 7th hymns are a glorification of the offering to all Buddhas, and praise the promise of guarantee for the offerings of the people of pure land. Last, the 8th to 10th songs praise the virtues, methods of rebirth, and the reception of the people of pure land by the Ten Invocations for Rebirth. Therefore, Hamheo is not only a Seon master but also a Buddhist disciplined who tried to spread the ideology and belief of the Pure Land.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he compiled Anyang chan, which presents an easily approachable way for the public to access Pure Land. He made the Pure Land belief a ritual and presented a method that the public could easily access through a ceremonial formaliz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viewpoint of the Pure Land of the Seon master Hamheo Deugtong (1376-1433) which appeared in Anyang chan (安養讚). As I mentioned in other papers already published, I wrote a glorification in the form 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viewpoint of the Pure Land of the Seon master Hamheo Deugtong (1376-1433) which appeared in Anyang chan (安養讚). As I mentioned in other papers already published, I wrote a glorification in the form of the gyeonggichega (景幾體歌) that can be used as ceremonial purposes for Pure Land rituals. Among them, it is the only one of chanting in which the public could participate together during the recital. The ten eulogies of Anyang chan were classified by content, the following four characteristics can be seen. First, from the first to second verses praise the appearance of the Pure Land of Paradise at the invitation of the Amitabha of this shore and the other shore. Second, the 3rd to 5th songs are the glorification of the Adorning of the Seven Precious Jewels in the pure land of Amitabha. It admires the environmental elements of the world of paradise such as the pavilion and lotus pond with seven precious gems in detail. Third, from the 6th to the 7th hymns are a glorification of the offering to all Buddhas, and praise the promise of guarantee for the offerings of the people of pure land. Last, the 8th to 10th songs praise the virtues, methods of rebirth, and the reception of the people of pure land by the Ten Invocations for Rebirth. Therefore, Hamheo is not only a Seon master but also a Buddhist disciplined who tried to spread the ideology and belief of the Pure Land.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he compiled Anyang chan, which presents an easily approachable way for the public to access Pure Land. He made the Pure Land belief a ritual and presented a method that the public could easily access through a ceremonial formaliz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글요약
      • Ⅰ. 머리말
      • Ⅱ. 함허득통의 행장
      • Ⅲ. 차안불 피안불 찬탄문
      • Ⅳ. 칠보장엄 찬탄문
      • 한글요약
      • Ⅰ. 머리말
      • Ⅱ. 함허득통의 행장
      • Ⅲ. 차안불 피안불 찬탄문
      • Ⅳ. 칠보장엄 찬탄문
      • Ⅴ. 제불공양 찬탄문
      • Ⅵ. 십념왕생 찬탄문
      • Ⅶ.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해당, "함허당득통화상어록" 동국대학교출판부 2017

      2 kim ki jong, "함허당 경기체가의 주제의식과 문학적 성격"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NRFK) null (null): 71-102, 2017

      3 한보광, "정토삼부경" 여래장 2000

      4 임기중, "경기체가 연구" 태학사 1997

      5 이재창, "韓國淨土思想硏究" 1985

      6 元曉, "阿彌陀經疏"

      7 "阿彌陀經"

      8 "觀無量壽經"

      9 "無量壽經 卷상"

      10 迦才, "淨土論"

      1 박해당, "함허당득통화상어록" 동국대학교출판부 2017

      2 kim ki jong, "함허당 경기체가의 주제의식과 문학적 성격"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NRFK) null (null): 71-102, 2017

      3 한보광, "정토삼부경" 여래장 2000

      4 임기중, "경기체가 연구" 태학사 1997

      5 이재창, "韓國淨土思想硏究" 1985

      6 元曉, "阿彌陀經疏"

      7 "阿彌陀經"

      8 "觀無量壽經"

      9 "無量壽經 卷상"

      10 迦才, "淨土論"

      11 한태식, "涵虛得通禪師의 『彌陀讚』에 나타난 正報莊嚴 연구" 불교문화연구원 (48) : 3-28, 2008

      12 全汝弼, "涵虛堂得通和尙語錄序, 虛堂得通和尙語錄"

      13 埜夫 錄, "涵虛堂得通和尙行狀, 涵虛堂得通和尙語錄"

      14 김영태, "朝鮮初 己和의 念佛 淨土觀" 한국불교학회 15 : 1990

      15 韓普光, "朝鮮. 涵虛得通の念佛禪について" 日本印度學佛敎學會 55 (55): 12-, 2006

      16 한보광, "新羅淨土思想の硏究" 東方出版 1991

      17 己和,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說誼"

      18 조연숙, "<서방가>와 <안양찬> 고찰" 한국시가문화학회 (19) : 193-212,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987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