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화영역에서 소비자들의 온라인 관람 후기 활용현황과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설문과 실험을 통해 분석한 결과, 온라인 영화 관람 후기는 오프라인상의 관람 후기만큼 영향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71889
2009
Korean
001
KCI등재
학술저널
117-140(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화영역에서 소비자들의 온라인 관람 후기 활용현황과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설문과 실험을 통해 분석한 결과, 온라인 영화 관람 후기는 오프라인상의 관람 후기만큼 영향력...
본 연구는 영화영역에서 소비자들의 온라인 관람 후기 활용현황과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설문과 실험을 통해 분석한 결과, 온라인 영화 관람 후기는 오프라인상의 관람 후기만큼 영향력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고, 소비자들은 인지욕구 수준에 따라 다양한 채널을 통해 온라인 관람 후기를 접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또한 온라인 영화 관람 후기의 효과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메시지의 방향성과 인지욕구 수준을 고려했다. 분석결과, 온라인상의 영화 관람 후기의 효과는 메시지의 방향성과 인지욕구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발견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nformation of movie through word-of-mouth is effective channel for forming an attitude and choice for movie. Especially, on-line movie postscript is considered as effective way for word-of-mout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usage and impa...
The information of movie through word-of-mouth is effective channel for forming an attitude and choice for movie. Especially, on-line movie postscript is considered as effective way for word-of-mout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usage and impact of on-line movie postscript as word-of-mouth.
This study used survey and experiment.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s that on-line movie postscript is effective as much as off-line movie postscript and consumers use a variety of on-line channels for getting information about movie. And this study shows that the current usage of on-line movie postscript varies according to the consumer’s need for cognition. Also,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effects of on-line movie postscript is affected by message sidedness and need for cognitio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