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다문화미술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 탐색 = Preparing Art Teacher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Implication for Teacher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268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다문화 상황의 특성을 살펴보고 다문화교육의 이론을 토대로 다문화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량을 파악하여,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다문화 상황의 특성을 살펴보고 다문화교육의 이론을 토대로 다문화 미술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량을 파악하여,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 사회로의 전환 과정에서 우리나라의 교육적, 정책적 대응방식을 고찰하고 미술교육의 역할을 조명하였다.다문화교육의 정착과 확산에 있어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미술교사의 역량이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함에 주목하여, 문화적으로 적절한 교육(culturally relevant pedagogy)의 개념을 중심으로 미술교사의 다문화적 역랑을 개발하기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미술교육에 대한 담론을 확장하고 구체적인 실천 방향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한국의 다문화교육과 다문화미술교육 간의 관계를 고찰하고 그 안에서 미술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aims at identifying the multicultural competency of art teachers and proposing the direction of art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contextual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society. In order to conceptualize the role...

      This research aims at identifying the multicultural competency of art teachers and proposing the direction of art teacher education, based on the contextual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n society. In order to conceptualize the role of art education in the rapid shift toward multicultural society, this study discusses about the responses and changes in terms of the education discourse and policy making. This study acknowledges the importance of art teachers' competency in enhancing and permeating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school settings. The concept of culturally relevant pedagogy has provided the framework for drawing the abilities and responsibilities of multicultural art teachers as well as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art teacher development. In association with the Korean multicultural situations and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eories,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multicultural art teacher education as the pivotal factor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n Korea.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경석,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한울아카데미 2007

      2 소경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22, 2007

      3 김정희, "삶을 위한 미술교육" 예경 2007

      4 한건수, "비판적 다문화주의: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모색을 위한 인류학적 성찰, in 다문화 사회의 이해: 다문화교육의 현실과 전망" 동녘 135-165, 2007

      5 Korthagen, F, "반성적 교사교육: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7

      6 Apple, M, "문화정치학과 교육" 우리교육 2004

      7 서범석, "다문화교육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향 탐색" 한양대학교 2010

      8 안병환,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다문화교육 접근방향 탐색"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8 (8): 155-177, 2009

      9 Sleeter, C. E, "다문화교육의 탐구: 다섯 가지 방법들" 아카데미프레스 2009

      10 김유경, "다문화가족의 복지 욕구와 정책과제" 7 : 58-73, 2010

      1 오경석,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현실과 쟁점" 한울아카데미 2007

      2 소경희,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1-22, 2007

      3 김정희, "삶을 위한 미술교육" 예경 2007

      4 한건수, "비판적 다문화주의: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모색을 위한 인류학적 성찰, in 다문화 사회의 이해: 다문화교육의 현실과 전망" 동녘 135-165, 2007

      5 Korthagen, F, "반성적 교사교육: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7

      6 Apple, M, "문화정치학과 교육" 우리교육 2004

      7 서범석, "다문화교육정책의 현황과 발전 방향 탐색" 한양대학교 2010

      8 안병환,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다문화교육 접근방향 탐색"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8 (8): 155-177, 2009

      9 Sleeter, C. E, "다문화교육의 탐구: 다섯 가지 방법들" 아카데미프레스 2009

      10 김유경, "다문화가족의 복지 욕구와 정책과제" 7 : 58-73, 2010

      11 교육과학기술부, "다문화가정 학생 교육 지원 계획"

      12 Bennett, C. I, "다문화 교육: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9

      13 오성배, "다문화 교육 정책의 과제와 방향 탐색"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4 (24): 149-170, 2010

      14 최승현,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미술과 내용 교수 지식(PCK)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5 Giroux, H, "교사는 지성인이다" 아침이슬 2001

      16 이부영, "경험으로 본 초등미술교육" 45-60, 2008

      17 김혜순, "“정부 주도 다문화”의 명암: 시혜적 “다문화”, 요원한 다문화사회" 611-825, 2010

      18 Ladson-Billings, G, "Toward a theory of culturally relevant pedagogy" 32 (32): 465-491, 1995

      19 Stuhr, P. L, "Teaching art in multicultural classroom: Six position statements" 31 (31): 234-246, 1990

      20 Stuhr, P. L, "Social reconstrucionist multicultural art curriculum design: Using the Powwow as an example, in Context, content, and community in art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193-221, 1995

      21 Sleeter, C, "Preparing teachers for culturally diverse schools: Research and the overwhelming presence of whiteness" 52 (52): 94-106, 2001

      22 Freire, P, "Pedagogy of the oppressed" Continum 1970

      23 Delacruz, E. M, "Multiculturalism and art education: Myths, misconceptions, misdirections" 48 (48): 57-61, 1995

      24 Banks, J. A, "Multicultural education: developments, dimensions, and challenges" 75 : 22-28, 1993

      25 Congdon, K. G, "Multicultural art education: Reflections on travel, authenticity, and encountering the other" 11-21, 2010

      26 Stuhr, P. L,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nd social reconstruction" 35 (35): 171-178, 1994

      27 Larkin, J. M, "Curriculum themes and issues i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Developing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curricul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16, 1995

      28 Gay, G,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Teachers College Press 2000

      29 Weinstein, C, "Culturally responsive classroom management: Awareness in to action" 42 (42): 269-276, 2003

      30 Banks, J. A, "Cultural diversity and education" Pearson 2006

      31 Garmon, M. A, "Changing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beliefs about diversity: What are the critical factors" 55 (55): 201-213, 2004

      32 Noddings, N, "Caring and competence, in The education of teacher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5-220, 1999

      33 Jenks, C, "Approaches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hilosophical frameworks and models for teaching" 33 (33): 87-105, 2001

      34 Zeichner, K. M, "A research informed vision of good practice i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Design principles" 37 (37): 163-171, 1998

      35 Bennett, M. J, "A developmental approach to training for intercultural sensitivity" 10 : 179-195, 1986

      36 교육인적자원부, "2007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5 0.897 0.6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