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산녹지의 개념과 법적 지위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녹지지역은 주거지역 등 기성시가지의 외곽에서 휴식공간과 완충공간으로 기능해야 하므로 도시계획의 관점에서 보존이 필요한 공간이다. 자연녹지와 함께 대표적인 녹지지역을 구성하는 생산녹지는 도시계획에 의해 지정되는 용도지역으로 개발이 엄격하게 제한된다.
      다른 한편, 녹지지역은 산업화의 과정에서 도시가 팽창하면서 가장 적합한 개발대상지로서도 기능하였다. 사인의 개발행위에 대해서는 엄격한 규제의 근거로 작동하던 녹지지역이, 토지구획정리사업(현재의 도시개발사업)과 같이 택지를 조성하기 위한 도시계획사업에 의해서는 쉽게 주거지역이나 공업지역 등으로 변경되었다. 개인에 대해서는 엄격한 규제로 작용하지만, 도시계획사업에 의해서는 쉽게 개발되는 녹지지역의 이중적인 성격은 현재에도 진행형이며 그중에서도 특히 생산녹지는 보호와 개발기능이 혼재되는 독특한 특성을 보인다.
      생산녹지는 도시농업의 발전과 육성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이거나, 자연녹지지역과 유사하지만 시가화 또는 개발을 엄격하게 규제할 필요가 있는 농지 등에 대해 지정된다. 이때 엄격한 규제의 기준은 농지의 전용, 건축물의 건축 등 개인의 토지이용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도시계획사업에 대해서도 직접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행정주체에 의한 도시계획사업은 공공성을 이유로 도시계획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사인의 행위규제와 동등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도시계획결정이 사업의 내용을 구성하는 도시계획사업은 이론상 용도지역제 도시계획이 정하고 있는 용도지역을 변경하거나 폐지할 수 있는 권능을 갖는다.
      도시개발법상 생산녹지가 구역의 30%를 넘을 수 없도록 정하고 있는 조항은 자연녹지보다 생산녹지를 더 두텁게 보호하고자 하는 취지라는 점에 이견이 있을 수 없다. 다만 사인의 개발 행위에 대한 제한과 도시계획사업이 시행되는 경우는 구별하여야 한다. 후자의 경우 용도지역제 도시계획의 변경결정을 통해 생산녹지가 자연녹지로 변경될 수도 있고 또 도시계획사업에 수반하는 도시계획에 의해 생산녹지가 자연녹지로, 심지어는 주거지역으로 변경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생산녹지라는 점만으로 도시개발사업 구역지정요건의 면제조항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번역하기

      녹지지역은 주거지역 등 기성시가지의 외곽에서 휴식공간과 완충공간으로 기능해야 하므로 도시계획의 관점에서 보존이 필요한 공간이다. 자연녹지와 함께 대표적인 녹지지역을 구성하는 ...

      녹지지역은 주거지역 등 기성시가지의 외곽에서 휴식공간과 완충공간으로 기능해야 하므로 도시계획의 관점에서 보존이 필요한 공간이다. 자연녹지와 함께 대표적인 녹지지역을 구성하는 생산녹지는 도시계획에 의해 지정되는 용도지역으로 개발이 엄격하게 제한된다.
      다른 한편, 녹지지역은 산업화의 과정에서 도시가 팽창하면서 가장 적합한 개발대상지로서도 기능하였다. 사인의 개발행위에 대해서는 엄격한 규제의 근거로 작동하던 녹지지역이, 토지구획정리사업(현재의 도시개발사업)과 같이 택지를 조성하기 위한 도시계획사업에 의해서는 쉽게 주거지역이나 공업지역 등으로 변경되었다. 개인에 대해서는 엄격한 규제로 작용하지만, 도시계획사업에 의해서는 쉽게 개발되는 녹지지역의 이중적인 성격은 현재에도 진행형이며 그중에서도 특히 생산녹지는 보호와 개발기능이 혼재되는 독특한 특성을 보인다.
      생산녹지는 도시농업의 발전과 육성을 위하여 필요한 지역이거나, 자연녹지지역과 유사하지만 시가화 또는 개발을 엄격하게 규제할 필요가 있는 농지 등에 대해 지정된다. 이때 엄격한 규제의 기준은 농지의 전용, 건축물의 건축 등 개인의 토지이용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며, 이것이 바로 도시계획사업에 대해서도 직접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행정주체에 의한 도시계획사업은 공공성을 이유로 도시계획의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사인의 행위규제와 동등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도시계획결정이 사업의 내용을 구성하는 도시계획사업은 이론상 용도지역제 도시계획이 정하고 있는 용도지역을 변경하거나 폐지할 수 있는 권능을 갖는다.
      도시개발법상 생산녹지가 구역의 30%를 넘을 수 없도록 정하고 있는 조항은 자연녹지보다 생산녹지를 더 두텁게 보호하고자 하는 취지라는 점에 이견이 있을 수 없다. 다만 사인의 개발 행위에 대한 제한과 도시계획사업이 시행되는 경우는 구별하여야 한다. 후자의 경우 용도지역제 도시계획의 변경결정을 통해 생산녹지가 자연녹지로 변경될 수도 있고 또 도시계획사업에 수반하는 도시계획에 의해 생산녹지가 자연녹지로, 심지어는 주거지역으로 변경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생산녹지라는 점만으로 도시개발사업 구역지정요건의 면제조항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green area is a space that needs to be preserved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planning because it should function as a resting space and a buffer space on the outskirts of an city. Productive green areas that constitute representative green areas along with natural green areas are strictly restricted to develop designated by urban planning.
      On the other hand, green areas also functioned as the most suitable development target as cities expanded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For private development activities, the green area, which used to be the basis of strict regulation, is easily changed to a residential area or an industrial area by an urban planning project to create residential areas, such as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current urban development project). became Although it acts as a strict regulation for individuals, the dual nature of green areas, which are easily developed by urban planning projects, is still in progress.
      Productive green areas are designated for area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and nurturing of urban agriculture, or for farmlands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green areas but need to strictly regulate urbanization or development.
      And the subject of strict regulation means restrictions on individual land use, such as conversion of farmland and construction of buildings, but is not a direct standard for urban planning projects. Urban planning projects by administrative entities are carried out at the level of urban planning for the sake of public interest, so they are not regulated equally with the regulation of private individuals. The urban planning project, in which the urban planning decision constitutes the contents of the project, has the power to, in theory, change or abolish the use area determined by the use zoning system urban plan.
      There can be no disagreement in the fact that the provision stipulating that productive green areas cannot exceed 30% of the development area under the Urban Development Act is intended to protect productive green areas more thickly than natural green areas. However, in the interpretation of this claus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restrictions on private development activities and cases where urban planning projects are implemented. In the latter case, the productive green area may be changed to a natural green area through the decision to change the urban planning of the use zoning system, and the productive green area may be changed to a natural green area or even a residential area by the urban planning accompanying the urban planning projec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at the existence of productive green areas has a strong enough force to exclude the application of the provisions regulating the exemption from zoning requirements for urban development projects.
      번역하기

      A green area is a space that needs to be preserved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planning because it should function as a resting space and a buffer space on the outskirts of an city. Productive green areas that constitute representative green areas a...

      A green area is a space that needs to be preserved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planning because it should function as a resting space and a buffer space on the outskirts of an city. Productive green areas that constitute representative green areas along with natural green areas are strictly restricted to develop designated by urban planning.
      On the other hand, green areas also functioned as the most suitable development target as cities expanded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For private development activities, the green area, which used to be the basis of strict regulation, is easily changed to a residential area or an industrial area by an urban planning project to create residential areas, such as the land readjustment project (current urban development project). became Although it acts as a strict regulation for individuals, the dual nature of green areas, which are easily developed by urban planning projects, is still in progress.
      Productive green areas are designated for area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and nurturing of urban agriculture, or for farmlands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green areas but need to strictly regulate urbanization or development.
      And the subject of strict regulation means restrictions on individual land use, such as conversion of farmland and construction of buildings, but is not a direct standard for urban planning projects. Urban planning projects by administrative entities are carried out at the level of urban planning for the sake of public interest, so they are not regulated equally with the regulation of private individuals. The urban planning project, in which the urban planning decision constitutes the contents of the project, has the power to, in theory, change or abolish the use area determined by the use zoning system urban plan.
      There can be no disagreement in the fact that the provision stipulating that productive green areas cannot exceed 30% of the development area under the Urban Development Act is intended to protect productive green areas more thickly than natural green areas. However, in the interpretation of this claus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restrictions on private development activities and cases where urban planning projects are implemented. In the latter case, the productive green area may be changed to a natural green area through the decision to change the urban planning of the use zoning system, and the productive green area may be changed to a natural green area or even a residential area by the urban planning accompanying the urban planning project.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at the existence of productive green areas has a strong enough force to exclude the application of the provisions regulating the exemption from zoning requirements for urban development projec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생산녹지의 개념과 연혁
      • Ⅱ. 생산녹지의 행위제한
      • Ⅲ. 국토계획법의 체계와 생산녹지
      • Ⅳ. 도시개발사업과 생산녹지
      • 국문초록
      • Ⅰ. 생산녹지의 개념과 연혁
      • Ⅱ. 생산녹지의 행위제한
      • Ⅲ. 국토계획법의 체계와 생산녹지
      • Ⅳ. 도시개발사업과 생산녹지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존레비, "현대 도시계획의 이해" 한울 아카데미 2004

      2 서울특별시, "토지구획정리백서(하)" 2017

      3 서울특별시, "토지구획정리백서(상)" 2017

      4 지종덕, "토지구획정리론" 바른길 2003

      5 국토연구원, "여건변화에 대응한 국토 도시관리계획체계의 대응방안"

      6 손정목, "서울 도시계획이야기" 한울 2003

      7 서울특별시, "서울 도시계획연혁"

      8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서양도시계획사" 보성각 2004

      9 정태용, "도시계획법" 한국법제연구원 2001

      10 김동근, "도시계획규제방식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비도시지역 개발행위허가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2014

      1 존레비, "현대 도시계획의 이해" 한울 아카데미 2004

      2 서울특별시, "토지구획정리백서(하)" 2017

      3 서울특별시, "토지구획정리백서(상)" 2017

      4 지종덕, "토지구획정리론" 바른길 2003

      5 국토연구원, "여건변화에 대응한 국토 도시관리계획체계의 대응방안"

      6 손정목, "서울 도시계획이야기" 한울 2003

      7 서울특별시, "서울 도시계획연혁"

      8 대한국토 도시계획학회, "서양도시계획사" 보성각 2004

      9 정태용, "도시계획법" 한국법제연구원 2001

      10 김동근, "도시계획규제방식 전환에 대응하기 위한 비도시지역 개발행위허가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2014

      11 르 코르뷔지에, "도시계획" 동녘 2003

      12 이원식, "도시개발법의 이해(1)" (386) : 2001

      13 김은경, "농지규제의 현황과 개선방향- 농업진흥지역 지정제도를 중심으로 -" 한국규제학회 16 (16): 193-220, 2007

      14 김종보, "국토계획법상 토지형질변경허가와 건축허용성 — 대법원 2020. 7. 23. 선고 2019두31839 판결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64) : 45-73, 2021

      15 조세호, "경성부 도시계획서 상의 공원녹지 개념과 현황의 변화 양상" 한국조경학회 47 (47): 117-132, 2019

      16 김종보, "건설법의 이해" 피데스 2018

      17 渡邊俊一, "都市計劃の 誕生" 柏書房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11-2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행정법이론실무학회(行政法理論實務學會)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영문명 : Korea Administrative Law And Practice Association(약칭 Kalpa) -> Korea Administrative Law And Practice Association(약칭 KALPA)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행정법연구(行政法硏究) -> 행정법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1 1.61 1.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1 1.37 1.384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