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색채감성형용사 연구 = Color sensitivity adjective study for development of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64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cal color is a basis for inherent emotion as a distinct color of one local area. It is also an important element for landscape resources that has an impact on establishing emotion of local people.
      However, the systematic data about local colors has not been established in our country.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such a difficulty, we processed the research about color sensitivity adjective to develop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available to everyone. This research has a purpose to draw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that will be used as an internal element when developing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In the research process, we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expert group verification, user group survey and so on to extract more correct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About 260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drawn from the research process enable people to express not only local color image of Korea but also color images in various fields by using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have been developed to elevate the utility of the application by putting the 260 words finally selected to each area by categorizing the color image words into 25 fields to help users in using the application. The final representative adjectives used in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are “pretty, beautiful, active, dynamic, rough, lovely, funny, gorgeous old, heavy, soft, elegant, mild, gentle, modern, comfortable, natural, sophisticated, decent, profound, pure, clean, cheerful, intellectual, authoritative and so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can be used when planning Korean local landscape coloring by amounting it to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Through this, we are expecting to heighten the understanding in expressing the Korean image and color emotion. In addition, we will be able to utilize this in the field of geographical color, architecture, design, art and formative art. However, since the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from the research are drawn to elevate the utility of specific applications, we may need additional research about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for universal use.
      번역하기

      Local color is a basis for inherent emotion as a distinct color of one local area. It is also an important element for landscape resources that has an impact on establishing emotion of local people. However, the systematic data about local colors has...

      Local color is a basis for inherent emotion as a distinct color of one local area. It is also an important element for landscape resources that has an impact on establishing emotion of local people.
      However, the systematic data about local colors has not been established in our country.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such a difficulty, we processed the research about color sensitivity adjective to develop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available to everyone. This research has a purpose to draw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that will be used as an internal element when developing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In the research process, we conducted literature research, expert group verification, user group survey and so on to extract more correct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About 260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drawn from the research process enable people to express not only local color image of Korea but also color images in various fields by using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have been developed to elevate the utility of the application by putting the 260 words finally selected to each area by categorizing the color image words into 25 fields to help users in using the application. The final representative adjectives used in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are “pretty, beautiful, active, dynamic, rough, lovely, funny, gorgeous old, heavy, soft, elegant, mild, gentle, modern, comfortable, natural, sophisticated, decent, profound, pure, clean, cheerful, intellectual, authoritative and so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can be used when planning Korean local landscape coloring by amounting it to Korean local color application. Through this, we are expecting to heighten the understanding in expressing the Korean image and color emotion. In addition, we will be able to utilize this in the field of geographical color, architecture, design, art and formative art. However, since the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from the research are drawn to elevate the utility of specific applications, we may need additional research about color sensitivity adjectives for universal u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역색은 한 지역의 고유색채로 지역의 고유감성의 근거가 되고 지역사람들의 감성형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경관자원요소이다. 하지만 국내에는 아직 지역색에 대한 체계적인 데이터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이러한 현실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누구나 활용 가능한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하여 색채감성형용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 개발 시 내부 구성요소 중 하나로 사용할 색채감성형용사를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과정에서는 보다 정확한 색채감성형용사의 추출을 위하여 문헌조사, 전문가집단 검증, 사용자집단 설문등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도출된 260개의 색채감성 형용사는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 한국 지역색채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색채이미지를 표현 할 수 있다. 색채감성형용사는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색채이미지 언어를 25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여 최종 선정된 260개의 언어를 각 영역에부여함으로써 활용성을 높이려 하였다.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최종 대표 형용사는‘귀여운, 아름다운, 활동적인, 역동적인, 거친, 사랑스러운, 재미있는, 화려한, 오래된, 무거운, 연한, 우아한, 온화한, 중후한, 모던한, 편안한, 자연의, 세련된, 격조있는, 깊이있는, 순수한, 깨끗한, 경쾌한, 이지적인, 권위있는’등이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에 탑재하여 한국지역의 경관 색채계획 시 활용이 가능하고 이를 통하여한국적 이미지와 색채감성을 표현할 때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지리적 색채 연구, 건축디자인 미술 조형분야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색채감성형용사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보다 범용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색채감성형용사에 대한 추가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지역색은 한 지역의 고유색채로 지역의 고유감성의 근거가 되고 지역사람들의 감성형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경관자원요소이다. 하지만 국내에는 아직 지역색에 대한 체계적인 데이터가 ...

      지역색은 한 지역의 고유색채로 지역의 고유감성의 근거가 되고 지역사람들의 감성형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경관자원요소이다. 하지만 국내에는 아직 지역색에 대한 체계적인 데이터가 구축되어 있지 않아, 이러한 현실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누구나 활용 가능한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하여 색채감성형용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 개발 시 내부 구성요소 중 하나로 사용할 색채감성형용사를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과정에서는 보다 정확한 색채감성형용사의 추출을 위하여 문헌조사, 전문가집단 검증, 사용자집단 설문등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도출된 260개의 색채감성 형용사는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의 사용 시 한국 지역색채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색채이미지를 표현 할 수 있다. 색채감성형용사는 사용자들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색채이미지 언어를 25개의 영역으로 분류하여 최종 선정된 260개의 언어를 각 영역에부여함으로써 활용성을 높이려 하였다.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최종 대표 형용사는‘귀여운, 아름다운, 활동적인, 역동적인, 거친, 사랑스러운, 재미있는, 화려한, 오래된, 무거운, 연한, 우아한, 온화한, 중후한, 모던한, 편안한, 자연의, 세련된, 격조있는, 깊이있는, 순수한, 깨끗한, 경쾌한, 이지적인, 권위있는’등이다.
      본 연구결과는 한국 지역색채 어플리케이션에 탑재하여 한국지역의 경관 색채계획 시 활용이 가능하고 이를 통하여한국적 이미지와 색채감성을 표현할 때 이해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또한 지리적 색채 연구, 건축디자인 미술 조형분야에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색채감성형용사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보다 범용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색채감성형용사에 대한 추가연구를 진행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Jean Philippe Lenclos, "환경, 건축 그리고 색" 미진사 2009

      2 박연선, "한국인의 색채 이미지 언어에 관한 연구" (28) : 1999

      3 쿠노 나오미, "컬러와 이미지" 도서출판국제 2002

      4 IRI 색채연구소, "어떤색이 좋을까? Color combination" 영진닷컴 2003

      5 양요나, "속삭이는 색" 안그라픽스 2004

      6 KBS 한국색채연구소, "색채 1" KBS문화사업단 1999

      7 에바 헬러, "색의 유혹 1, 2" 예담 2002

      8 최미선, "디자인의 폭을 넓혀주는 웹스타일 북" 안그라픽스 2003

      9 박돈서, "도시환경의 색채, 이제는 色이다" 도서출판국제 2002

      10 김현선, "도시 환경과 색채" 안그라픽스 2005

      1 Jean Philippe Lenclos, "환경, 건축 그리고 색" 미진사 2009

      2 박연선, "한국인의 색채 이미지 언어에 관한 연구" (28) : 1999

      3 쿠노 나오미, "컬러와 이미지" 도서출판국제 2002

      4 IRI 색채연구소, "어떤색이 좋을까? Color combination" 영진닷컴 2003

      5 양요나, "속삭이는 색" 안그라픽스 2004

      6 KBS 한국색채연구소, "색채 1" KBS문화사업단 1999

      7 에바 헬러, "색의 유혹 1, 2" 예담 2002

      8 최미선, "디자인의 폭을 넓혀주는 웹스타일 북" 안그라픽스 2003

      9 박돈서, "도시환경의 색채, 이제는 色이다" 도서출판국제 2002

      10 김현선, "도시 환경과 색채" 안그라픽스 2005

      11 IRI 색채연구소, "감성만족 컬러마케팅" 영진닷컴 2004

      12 Tricia Guild, "think COLOR" ChronicleBooks 2003

      13 Jean-philippe lenclos, "colors of the world" NORTON 2004

      14 Donald Kaufman, "color and Light" Clarkson Potter 1999

      15 Kasabian, Anna, "THE NEW HOME COLOR BOOK" ROCKPORT PUBLISHERS 2001

      16 Caroline Clifton-Mogg, "THE Colour Design Source Book" Ryland Peters & Small 2007

      17 Ragan, Sandra L., "ROCKPORT PUBLISHERS" ROCKPORT PUBLISHERS 1994

      18 Leatrice Eiseman, "PANTONE Guide to Communicating with Color" Gragix Press 2000

      19 Sarah Lynch, "MODERN COLOR NEW PALETTES FOR PAINTED ROOM" Quarry Books 2004

      20 Ragan, S., "Interior Color by Design : Commercial" Amer. Inst. of Architects 1995

      21 Jonathan Poore, "INTERIOR DESIGNERS’COLOR" ROCKPORT PUBLISHERS 1994

      22 Ikuyoshi Shibukawa, "DESIGNER'S GULDE TO COLOR5" Chronicle Books 2006

      23 David Hornung, "Colour a workshop for artists and designer" Laurence King Publishing Ltd 2005

      24 Anna Starmer, "Color scheme bible" Firefly 2005

      25 Gill, Martha, "COLOR HARMONY naturals" ROCKPORT 2002

      26 Martha Gill, "COLOR HARMONY for interior design" ROCKPORT 2001

      27 Lesa Sawahata, "COLOR HARMONY WORKBOOK" ROCKPORT 2001

      28 Whelan, Bride M, "COLOR HARMONY 2" ROCKPORT 1994

      29 Naomi Kuno, "COLOR & IMAGE" 도서출판 국제 2002

      30 Hilliard, Elizabeth, "Brilliant colour at home" KyleCathie 1999

      31 Sarah Lynch, "BOLD COLORS For Mondern Rooms" ROCKPORT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