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시스플라틴 처리된 청각세포의 ER에 대한 KCNE1의 역할과 만성중이염에서 분리된 MRSA의 내독소 유전자 = Roles of KCNE1 gene on ER of cisplatin-treated Auditory cells and Enterotoxin gene of MRSA from chronic otitis med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802390

      • 저자
      • 발행사항

        전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전북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 생물학 , 2009. 8

      • 발행연도

        200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기타서명

        Roles of KCNE1 gene on ER of cisplatin-treated Auditory cells and Enterotoxin gene of MRSA from chronic otitis media

      • 형태사항

        viii, 92p: 표,그림; 26cm

      • 일반주기명

        전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이강민
        참고문헌 : p. 82-90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전북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CNE1 유전자는 voltage-gated K+ channel 인 소단위의 막전위 단백질이다. 이 유전자는 내이, 심장, 콩팥을 포함한 여러장기에 존재하고 있으며, 내이조직에서는 outer hair cell 과 stria vascularis 에서 발현한다. KCNE1 유전자는 다른 K+ 채널의 활성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으며, 내이에서는 정상적인 청력을 위하여 여러 이온농도적 균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세포내 K+ 농도는 세포자멸과 연관되어 있다. 시스플라틴은 세포네 K+ 농도를 감소시키지만 소포체 손상의 연관성은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이 실험에서 시스플라틴는 청각세포 K+ 감소를 초래하고, KCNE1유전자 과발현은 청각세포내 K+의 농도를 정상적으로 유지하여 소포체 손상을 예방하여 시스플라틴에 의한 세포독성으로 부터 청각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KCNE1 과발현 청각세포는 세포내 K+ 농도가 증가 되어 있었다. 시스플라틴 처리시 세포내 K+ 농도는 감소후 빠르게 정상수준으로 복귀하였으며, Ca2+ 농도는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시스프라틴은 소포체 손상을 유도하는 GRP94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그로 인해서 ATF6와 GADD153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다. 소포체 손상을 유도하는 thapsigargin을 처리한 세포내 Ca2+ 농도는 KCNE1 과발현 청각세포에서 현저하게 감소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스플라틴이 소포체 손상에 의한 세포내 Ca2+를 증가와 세포내 K+ 감소를 유도하였으나, KCNE1 과발현은 세포내 Ca2+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번역하기

      KCNE1 유전자는 voltage-gated K+ channel 인 소단위의 막전위 단백질이다. 이 유전자는 내이, 심장, 콩팥을 포함한 여러장기에 존재하고 있으며, 내이조직에서는 outer hair cell 과 stria vascularis 에서 발...

      KCNE1 유전자는 voltage-gated K+ channel 인 소단위의 막전위 단백질이다. 이 유전자는 내이, 심장, 콩팥을 포함한 여러장기에 존재하고 있으며, 내이조직에서는 outer hair cell 과 stria vascularis 에서 발현한다. KCNE1 유전자는 다른 K+ 채널의 활성을 조절하는 기능이 있으며, 내이에서는 정상적인 청력을 위하여 여러 이온농도적 균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세포내 K+ 농도는 세포자멸과 연관되어 있다. 시스플라틴은 세포네 K+ 농도를 감소시키지만 소포체 손상의 연관성은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이 실험에서 시스플라틴는 청각세포 K+ 감소를 초래하고, KCNE1유전자 과발현은 청각세포내 K+의 농도를 정상적으로 유지하여 소포체 손상을 예방하여 시스플라틴에 의한 세포독성으로 부터 청각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KCNE1 과발현 청각세포는 세포내 K+ 농도가 증가 되어 있었다. 시스플라틴 처리시 세포내 K+ 농도는 감소후 빠르게 정상수준으로 복귀하였으며, Ca2+ 농도는 현저하게 감소되었다. 또한 시스프라틴은 소포체 손상을 유도하는 GRP94 발현을 증가시켰으며, 그로 인해서 ATF6와 GADD153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였다. 소포체 손상을 유도하는 thapsigargin을 처리한 세포내 Ca2+ 농도는 KCNE1 과발현 청각세포에서 현저하게 감소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시스플라틴이 소포체 손상에 의한 세포내 Ca2+를 증가와 세포내 K+ 감소를 유도하였으나, KCNE1 과발현은 세포내 Ca2+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은 만성중이염의 병원균으로 잘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분리되는 MRSA는 대부분이 toxic shock syndrome toxin (tsst) 와 staphylococcal enterotoxin C (sec)의 분리율이 높게 나왔다. Pulsed-filed gel electrophoresis (PFGE) 유형도 연관성이 있다. 만성중이염은 청력손실을 유발하기도 하여서 본 실험은 청력이 야기된 만성중이염환자로부터 분리된 MRSA로 부터 청력과 분자생물학적 연관성을 알아보고져 하였다.
      방법 : 2007년 9월 부터 2008년 1월까지 원광대학교병원을 내원한 이루를 형성한 중이염환자 80명으로 부터 분리된 MRSA균주에서 청력자료가 있는 23균주를 가지고 내독소 유형과 PFGE 계통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23균주중에 20균주는 내독소를 가지고 있었으며, 70% (14/20)의 청력손실이 야기되었다. 대부분이 tsst, sec를 가지고 있었으며 PFGE 계통분석는 10개의 집단으로 분석 되었다. 3개 (13.6%)의 tsst 집단은 100%의 유사성을 보였다.
      결론 : 중이염환자로부터 분리된 MRSA는 tsst 와 sec 유전자가 분리 되었으며, 70%의 청력손실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청력손실과 MRSA 내독소와의 연관성을 추측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배경 :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은 만성중이염의 병원균으로 잘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분리되는 MRSA는 대부분이 toxic shock syndrome toxin (tsst) 와 sta...

      배경 :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은 만성중이염의 병원균으로 잘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 분리되는 MRSA는 대부분이 toxic shock syndrome toxin (tsst) 와 staphylococcal enterotoxin C (sec)의 분리율이 높게 나왔다. Pulsed-filed gel electrophoresis (PFGE) 유형도 연관성이 있다. 만성중이염은 청력손실을 유발하기도 하여서 본 실험은 청력이 야기된 만성중이염환자로부터 분리된 MRSA로 부터 청력과 분자생물학적 연관성을 알아보고져 하였다.
      방법 : 2007년 9월 부터 2008년 1월까지 원광대학교병원을 내원한 이루를 형성한 중이염환자 80명으로 부터 분리된 MRSA균주에서 청력자료가 있는 23균주를 가지고 내독소 유형과 PFGE 계통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23균주중에 20균주는 내독소를 가지고 있었으며, 70% (14/20)의 청력손실이 야기되었다. 대부분이 tsst, sec를 가지고 있었으며 PFGE 계통분석는 10개의 집단으로 분석 되었다. 3개 (13.6%)의 tsst 집단은 100%의 유사성을 보였다.
      결론 : 중이염환자로부터 분리된 MRSA는 tsst 와 sec 유전자가 분리 되었으며, 70%의 청력손실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부터, 청력손실과 MRSA 내독소와의 연관성을 추측 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CONTENTS I
      • ABBREVIATIONS V
      • LIST OF FIGURES AND TABLE VI
      • PART I. 1
      • ABSTRACT 2
      • CONTENTS I
      • ABBREVIATIONS V
      • LIST OF FIGURES AND TABLE VI
      • PART I. 1
      • ABSTRACT 2
      • I. Introduction 3
      • II. Materials and methods 11
      • III. Results 21
      • IV. Discussion 41
      • REFERENCES 4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