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지역 기반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운영 변화 탐색 = Exploring Changes in School Sports Club League Operations through Regional-based Collaborative Governa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909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기반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운영의 변화 과정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난 3년간 지역협의체 구성원으로서 ...

      본 연구는 지역기반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운영의 변화 과정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난 3년간 지역협의체 구성원으로서 지역기반 협력적 거버넌스를 위한 협의체에 참여하며, 10여년간 G시 학교스포츠클럽 리그를 운영한 체육교사 1명을 주제보자로 선정하였다. 보조제보자로는 G시체육회 실무직원, G교육지원청담당 장학사를, G시피구협회 사무장 총 3명을 선정하였다. 자료분석은 사례 내 분석과 사례간 분석을 교차하여 진행하였다. 이러한 지역기반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학교스포츠클럽 리그 운영 변화의 결과로는 첫 번째, 학교스포츠클럽리그 운영을 위한 지역기반 협력적 거버넌스 네트워크 구성하기, 두 번째, 학교스포츠클럽리그 운영을 위한 지역기반 협력적 거버넌스 네트워크선순환하기, 세 번째, 학교스포츠클럽리그 운영을 위한 지역기반 협력적 거버넌스 네트워크 투텁게하기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전개하였다. 이에 따른 논의로는 첫째, 학교스포츠클럽리그와 지역기반 협력적 거버넌스 만남의 의미, 둘째, 학교스포츠클럽리그와 지역기반 협력적 거버넌스의 향후과제라는 주제로 논의를 펼쳐나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management of school sports club league through regional-based cooperative govern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s a member of the regional council for the past three years, I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of change in the management of school sports club league through regional-based cooperative governanc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as a member of the regional council for the past three years, I participated in the council for regional-based cooperative governance, and selected one sports teacher who has run the G-City School Sports Club League for over ten years. The assistant informants were selected from the staff of G City Sports Association, the scholarship officer in charge of G Education Support, and the head of the G-Phigu Associatio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crossing the case analysis and the cas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changes in the operation of school sports club leagues through regional-based cooperative governance, the first is to establish a regional-based cooperative governance network for school sports club league operation. We talked about the virtuous cycle of enemy governance networks, and third, to build a regional-based collaborative governance network for school sports club leagues. The discussions included first, the meeting of school sports club leagues and regional-based cooperative governance, and second, the challenges of school sports club leagues and regional-based cooperative governa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명석, "협력적 거버넌스와 공공성" 한국국정관리학회 20 (20): 23-53, 2010

      2 김경숙, "한국체육과 지역사회체육 연계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인식조사(Ⅲ)" 한국사회체육학회 18 (18): 21-44, 2002

      3 안현균, "학교체육활동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방안 모색: 학교스포츠클럽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정책학회 10 (10): 13-29, 2012

      4 정현우, "학교체육정책 실행과정에서 교사의 목소리: 체육교사의 정책실행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4 (24): 35-60, 2017

      5 윤기준, "학교체육에서의 지역연계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6 (26): 107-122, 2019

      6 윤기준, "학교체육에서의 지역연계 실천 양상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5 (25): 1-20, 2018

      7 서지영,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8 유정애, "학교스포츠클럽 진흥관점에서 바라본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위한 협력적 로컬거버넌스 필요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223-240, 2019

      9 전선혜, "학교스포츠클럽 진흥관점에서 바라본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위한 협력적 로컬거버넌스 평가지표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307-1326, 2019

      10 구교정, "학교 교육력 향상을 위한 학교와 지역사회 학습연계체제 구축 방안" 한국교육정책연구소 2008

      1 이명석, "협력적 거버넌스와 공공성" 한국국정관리학회 20 (20): 23-53, 2010

      2 김경숙, "한국체육과 지역사회체육 연계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한 인식조사(Ⅲ)" 한국사회체육학회 18 (18): 21-44, 2002

      3 안현균, "학교체육활동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방안 모색: 학교스포츠클럽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정책학회 10 (10): 13-29, 2012

      4 정현우, "학교체육정책 실행과정에서 교사의 목소리: 체육교사의 정책실행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4 (24): 35-60, 2017

      5 윤기준, "학교체육에서의 지역연계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6 (26): 107-122, 2019

      6 윤기준, "학교체육에서의 지역연계 실천 양상 탐색"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5 (25): 1-20, 2018

      7 서지영, "학교체육 활성화 정책 효과 제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4

      8 유정애, "학교스포츠클럽 진흥관점에서 바라본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위한 협력적 로컬거버넌스 필요성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223-240, 2019

      9 전선혜, "학교스포츠클럽 진흥관점에서 바라본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위한 협력적 로컬거버넌스 평가지표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307-1326, 2019

      10 구교정, "학교 교육력 향상을 위한 학교와 지역사회 학습연계체제 구축 방안" 한국교육정책연구소 2008

      11 이의재, "초임체육교사의 교육실천공동체 참여 실태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2 (22): 23-50, 2015

      12 서광석, "체육교사의 학교-지역스포츠클럽 연계 운영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한국체육과학회 25 (25): 793-809, 2016

      13 윤현수, "체육교사의 첫 부장교사 역할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한국체육교육학회 20 (20): 19-32, 2016

      14 권준석, "지역체육시설과 초등학교 수영수업연계를 위한 탐색적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5 정현철, "지역 생활체육시설을 이용한 중학교 스포츠클럽활동 환경요인이 체육활동 몰입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6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자치단체의 협력적 거버넌스 재설계 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1

      17 주성택, "일본의 학교·지역스포츠간 연계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정책학회 13 (13): 93-105, 2015

      18 이의재, "여학생 체육활성화 선도학교 운영 경험에 관한 셀프연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 25 (25): 25-51, 2018

      19 이충헌, "생활체육시설을 이용한 학교체육이 체육활동 만족도와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 16 (16): 161-172, 2012

      20 유정애, "미래사회를 대비한 학교체육 디자인 방향 및 비전 탐색" 한국체육학회 55 (55): 313-322, 2016

      21 최주현, "독일 스포츠클럽 및 엘리트스포츠의 운영체계" 한국체육정책학회 14 (14): 261-275, 2016

      22 민병원, "네트워크국가의 거버넌스 실험: 유럽연합의 개방형 조정방식(OMC)을 중심으로" 세종연구소 14 (14): 113-139, 2008

      23 김선희, "공공스포츠클럽 사례를 통해본 협력적 거버넌스 가능성과 한계" 한국체육과학회 23 (23): 81-89, 2014

      24 Patton, M. Q.,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s" Sage Publications, Inc 1990

      25 Agranoff, R., "Managing Within Networks:Adding Value to Public Organizations" Gerogetown University Press 2007

      26 Lynn, L. E., "Improving Governance: A New Logic for Empirical Research" Georgetwon University Press 2001

      27 Ansell, C.,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ory and practice" 13 : 1-29,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5 1.24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