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철학 연구의 최근 경향 = Recent Trend of the Study in Philosophy of Medicin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2409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럽 의철학은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으며, 후에 생겨난 생명의 료 윤리학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40년 정도의 짧은 역사를 지닌 미국의 의철학은 생명의료 윤리학과 같은 시대...

      유럽 의철학은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으며, 후에 생겨난 생명의 료 윤리학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40년 정도의 짧은 역사를 지닌 미국의 의철학은 생명의료 윤리학과 같은 시대에 태어났지만, 별개의 학문으로 시작하여 점진적으로 수렴되어 가는 점이 유럽과 다르다. 학제간 분야인 생명의료 윤리학이 발전하는데 의철학 및 철학 지식은 많은 기여를 하였다. 의철학이나 철학 지식이 생명의료 윤리학 이론에 적극 도입된 대표적인 예로는 인간에 대한 존경이라는 칸트 이론과 법철학의 권리 이론, 자아 동일성 이론과 생물 철학, 언어 분석, 몸과 마음의 관계에 관련된 심리 철학, 인격 이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의철학은 의료 윤리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초기에는 ‘의사와 환자의 치유 관계’에서 의료의 본질을 파악하여, 이 위에 생명의료 윤리학을 정초하고자 하는 토대주의가 관심을 끌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의료의 본질이나 의료윤리의 정당성을 의료 내적인 가치나 규범뿐만 아니라 의료 외적인 사회문화적 전통과 가치 위에 세워져야한다는 주장이 호응을 받고 있다. 의철학을 의학에 대한 철학적 성찰이라고 정의할 때, 최근 의철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분야는 생명의료 윤리학이며, 형이상학과 인식론이 뒤를 잇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uropean philosophy of medicine has come from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medicine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regarded the biomedical ethics as part of philosophy of medicine. But the philosophical interest of 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has b...

      European philosophy of medicine has come from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medicine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regarded the biomedical ethics as part of philosophy of medicine. But the philosophical interest of 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has burgeoned over the last three decades. The philosophy of medicine and biomedical ethics were thought of as quite separate fields of study. Currently philosophy of medicine includes all sorts of philosophical reflection on medicine, and is dominated by biomedical ethics
      The philosophy of medicine has supported the critical examination of the concepts and argument underlying the field of biomedical ethics. The philosophy of medicine has helped biomedical ethics to solve the ethical dilemma, clarifying the value-context and to construct the grounding, analysing the goals of medical practice. The core issues of philosophy of medicine and other specialities in philosophy has penetrated into discussion of biomedical ethics.
      Both field has evolved from debates about ethical conduct(primarily conduct of physician) to a basic reformulation of what medicine is about. There is the gradual convergence of themes in philosophy of medicine with specific issues in biomedical eth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본론
      • 3.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 1. 서론
      • 2. 본론
      • 3.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