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18~19C 노론일색이었던 강릉의 지역 정서에서 다른 당색을 가진 인물을 배향하기 위한 사우를 건립한 후 서원화를 추진하였던 鄕儒들의 성향과 이에 대한 논의 과정에서 발생된 쟁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77334
2013
Korean
三祠 ; 新儒 ; 舊儒 ; 通行 ; 강릉향교 ; 도동사 ; 약천사 ; 호정사 ; SamSa ; partisan differences ; new confucianists ; old confucianists ; local school ; Gangneung
380
KCI등재
학술저널
231-257(27쪽)
3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18~19C 노론일색이었던 강릉의 지역 정서에서 다른 당색을 가진 인물을 배향하기 위한 사우를 건립한 후 서원화를 추진하였던 鄕儒들의 성향과 이에 대한 논의 과정에서 발생된 쟁단...
본고는 18~19C 노론일색이었던 강릉의 지역 정서에서 다른 당색을 가진 인물을 배향하기 위한 사우를 건립한 후 서원화를 추진하였던 鄕儒들의 성향과 이에 대한 논의 과정에서 발생된 쟁단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 이른바 三祠라고 하는 사우와 관련된 향유들의 갈등이 발생된 시기에 향교를 중심으로 新?舊儒간에 通行 논의와 결정이 이루어진 점에 착안하여 당시 강릉지방 향유들의 갈등 조정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삼사 건립과 위치 재선정 등을 주장하였던 향유들의 성향이 대체로 노론임에도 불구하고 당색이 다른 남인 정경세와 소론 남구만을 모시는 사우를 건립하는 과정에서 향유들 간에 갈등이 나타났다. 이에 대해 향유들은 당색과는 무관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기는 하지만, 실제로 당색의 차이로 이견이 발생되었고, 다수의 노론성향 향유들이 주도하면서 갈등의 봉합과 결속이라는 차원에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들은 읍치와 멀리 떨어져 있다는 이유를 들어 위치 재선정 문제를 제기하였고, 이 과정에서 노론 향유들이 중심이 되어 공론을 통해 사우의 서원화가 추진되면서 자신들의 영향력이 미치는 범위 안에 두고자 하였다. 삼사와 관련한 향유간의 쟁단과 분열은 향교가 ?교원유임통용 절목?, ?신구유통행절목?, ?향교전답이정절목? 등을 시행하면서 진정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was about controversy and passage of new confucianists between old confucianists in Gangneung in the 18-19th. And should wish to understand process conflict and adjustment between two confucianists. Three shrine known as SamSa(三祠) wa...
This paper was about controversy and passage of new confucianists between old confucianists in Gangneung in the 18-19th. And should wish to understand process conflict and adjustment between two confucianists.
Three shrine known as SamSa(三祠) was established by the Gangneung confucianists in the 18~19th. The construction of the SamSa hit a snag due to heated disputes surround positioning problem and party opinion of difference. Some confucianists submitted an official complaint on the basis of far to the local school annexed to the confucian shrine.[鄕校]
But think of some confucianists called in question regarding the positioning re-examination actually hoped to the amicable solution about the country society of chaos caused by partisan differences between two confucianists. particularly Confucianists centered around a local school wanted to decision by public opinion.
Therefore, local school take charge of key role trying to arbitrate between two confucianists. consequently between two confucianists elicited the agreement such as passage of new confucianists between old confucianists. On the other hand, requirements of new confucianists quite accepted. Accordingly, a division between two confucianists was mitigation of the period in the 18~19th in country society of Gangneu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臨瀛誌"
2 "臨瀛儒義"
3 오영교, "조선후기 향촌지배정책 연구" 혜안 2001
4 정진영,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한길사 1988
5 이규대, "조선시기 향촌사회 연구" 신구문화사 2009
6 이해준, "조선시기 촌락사회사" 민족문화사 1996
7 이해준, "규남 하백원의 실학사상연구" 경인문화사 2007
8 임호민, "강릉지방사우자료집" 강릉문화원 1998
9 李丙燾, "韓國儒學史略" 亞細亞文化社 1986
10 "英祖實錄"
1 "臨瀛誌"
2 "臨瀛儒義"
3 오영교, "조선후기 향촌지배정책 연구" 혜안 2001
4 정진영,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한길사 1988
5 이규대, "조선시기 향촌사회 연구" 신구문화사 2009
6 이해준, "조선시기 촌락사회사" 민족문화사 1996
7 이해준, "규남 하백원의 실학사상연구" 경인문화사 2007
8 임호민, "강릉지방사우자료집" 강릉문화원 1998
9 李丙燾, "韓國儒學史略" 亞細亞文化社 1986
10 "英祖實錄"
11 "深谷書院事蹟"
12 "河南齋志"
13 "江陵金氏世譜(辛丑譜)"
14 "江陵靑衿錄"
15 "江陵鄕校誌"
16 "江陵鄕校實記"
17 "正祖實錄"
18 "東湖勝覽"
19 "朝鮮黨爭關係資料集" 여강출판사
20 鄭萬祚, "朝鮮時代書院硏究" 集文堂 1997
21 "書院謄錄"
22 "文科榜目"
23 "尤伏集"
24 "增修臨瀛誌"
25 "典故大方"
26 "五峯書院實記"
27 "世宗實錄地理志"
28 "CDROM司馬榜目"
29 고석규, "19세기 조선의 향촌사회연구-지배와 저항의 구조"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8
30 임호민, "19세기 강릉지방 사족층의 해체과정" 조선사연구회 14 : 2005
31 임호민, "17~18세기 강릉사족의 결속과 분화, In 조선시대 사회의 모습" 집문당 200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12-3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rklife -> The Journal of Korean Historical-folklife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3 | 0.63 | 0.6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66 | 1.486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