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Clinical and Therapeutic Aspects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Oral Tongu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70415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구강 내 설암은 설의 전방 삼분의 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근치적 요법으로는 수술과 방사선 치료가 그 근간을 이루어 왔으며, 같은 병기에서 두 요법간의 완치율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조기병소(T1, T2)에서는 이 두 요법간에 비슷한 국소 퇴치율을 보이므로 치료법의 선택에는 그 치료로 인해 발생하는 기능적 손상 및 미용적 결손을 최소화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큰 기능적 손상 없이 용이하게 절제할 수 있는 첨단부 및 배부의 작은 병소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조기병소는 방사선 요법으로 정상적인 발성 및 연하작용을 유지하며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적 진행된 병소(late T2, T3) 중 하부 침윤이 심하지 않으면 방사선 치료만으로 완치될 수 있으며 수술은 방사선 치료 후 재발암의 구원요법으로 유보해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방사선 치료의 방법으로는 외부 조사법 외에 자입요법 등이 있으나 최대의 국소 퇴치를 위해서는 자입요법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입요법으로 치료기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고 투여되는 선량을 증가시킴으로서 국소 퇴치율의 향상을 기대하고 나아가 생존율을 높일 수 가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구강 내 설암은 설의 전방 삼분의 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근치적 요법으로는 수술과 방사선 치료가 그 근간을 이루어 왔으며, 같은 병기에서 두 요법간의 완치율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보...

      구강 내 설암은 설의 전방 삼분의 이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근치적 요법으로는 수술과 방사선 치료가 그 근간을 이루어 왔으며, 같은 병기에서 두 요법간의 완치율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조기병소(T1, T2)에서는 이 두 요법간에 비슷한 국소 퇴치율을 보이므로 치료법의 선택에는 그 치료로 인해 발생하는 기능적 손상 및 미용적 결손을 최소화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큰 기능적 손상 없이 용이하게 절제할 수 있는 첨단부 및 배부의 작은 병소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조기병소는 방사선 요법으로 정상적인 발성 및 연하작용을 유지하며 치료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적 진행된 병소(late T2, T3) 중 하부 침윤이 심하지 않으면 방사선 치료만으로 완치될 수 있으며 수술은 방사선 치료 후 재발암의 구원요법으로 유보해 두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방사선 치료의 방법으로는 외부 조사법 외에 자입요법 등이 있으나 최대의 국소 퇴치를 위해서는 자입요법이 필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입요법으로 치료기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고 투여되는 선량을 증가시킴으로서 국소 퇴치율의 향상을 기대하고 나아가 생존율을 높일 수 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urty nine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oral tongue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for the evaluation of clinical manifestation and for the comparison between therapeutic modalites. The gross shape of the tumor was infiltrative in 22, ulcerative in 12, ad ulcer-oinfiltrative type in 10 patients. Direct extension of the tumor was most commonly to the floor of the mouth. The incidence of nodal metastasis generally increased with tumor stage. 55% of the patients showed neck nodal metastasis at the time of diagnosis. Ipsilateral subdigastric node were most commonly involved, followed by submandibular nodes. The 5-year survival rate of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and radiotherapy was 58.7% in contrast to 21.6% in radiation alone group. Overall 5-year survival rate was 31% In radiation alone group, half of the patients in stage I, II were locally controlled. But the local control In stage III, IV was much inferior to early lesions. Especially, of 4 patients combined with implantation technique, 3 were completely controlled. 5-year survival rate of these implanted patients was 50%, 49.4% of patients treated over 7,000cGy survived 5 years. This was significant in contrast to 6.4% of the group treated below 7,000cGy. The most common sites of failures were primary sites. In early lesions primary radiotherapy with implantation would be an appropriate treatment in cancer of oral tongue, operation reserved for radiation failure. Operation and adjuvant radiotherapy is recommended in cases of advanced disease.
      번역하기

      Fourty nine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oral tongue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for the evaluation of clinical manifestation and for the comparison between therapeutic modalites. The gross shape of the tumor was infiltrative in 22, ulce...

      Fourty nine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oral tongue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for the evaluation of clinical manifestation and for the comparison between therapeutic modalites. The gross shape of the tumor was infiltrative in 22, ulcerative in 12, ad ulcer-oinfiltrative type in 10 patients. Direct extension of the tumor was most commonly to the floor of the mouth. The incidence of nodal metastasis generally increased with tumor stage. 55% of the patients showed neck nodal metastasis at the time of diagnosis. Ipsilateral subdigastric node were most commonly involved, followed by submandibular nodes. The 5-year survival rate of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and radiotherapy was 58.7% in contrast to 21.6% in radiation alone group. Overall 5-year survival rate was 31% In radiation alone group, half of the patients in stage I, II were locally controlled. But the local control In stage III, IV was much inferior to early lesions. Especially, of 4 patients combined with implantation technique, 3 were completely controlled. 5-year survival rate of these implanted patients was 50%, 49.4% of patients treated over 7,000cGy survived 5 years. This was significant in contrast to 6.4% of the group treated below 7,000cGy. The most common sites of failures were primary sites. In early lesions primary radiotherapy with implantation would be an appropriate treatment in cancer of oral tongue, operation reserved for radiation failure. Operation and adjuvant radiotherapy is recommended in cases of advanced diseas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