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매튜 폭스의 창조영성을 접목한 한국 가톨릭 환경운동의 방향 모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183105

      • 저자
      • 발행사항

        나주 : 光州가톨릭大學校, 200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光州가톨릭大學校 大學院 , 實踐神學專攻 , 2007

      • 발행연도

        2007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234.1 판사항(4)

      • DDC

        241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전라남도

      • 형태사항

        150 p.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p. 141-147

      • 소장기관
        • 광주가톨릭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사회에서 세계인들에게 최고의 화두는 단연 ‘환경’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기상 이변, 지구 온난화, 생물종의 멸종, 사막화 현상 등 이루 다 말할 수 없는 생태계 파괴의 실상이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이런 심각한 생태계 파괴의 현실 안에서 우리는 이제 생태계 파괴로 인한 문제 해결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런 차원에서 전 지구적으로 지역과 사회 그리고 국가와 인종을 뛰어 넘어 생태계의 회복을 위해 여러 가지 연구를 통한 대안과 방향이 제시되고 있다.
      생태계 파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문제를 일으키게 한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원인이 어느 하나라고 지목될 수 없을 만큼 생태계 파괴의 원인은 다면적이라고 할 수 있다. 거기에는 철학적 요인과 가치체계의 변화로 인한 원인과 전통적 창조신학이 갖는 한계 그리고 인간의 생활양식과 행동양식을 포함하는 총체적인 원인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모든 원인들 사이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요소가 있는데 그것은 나를 포함한 세상 모든 만물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상호의존 의식의 결여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생태계의 파괴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일차적인 것은 만물의 상호의존 의식을 회복하는 것이다. 이것을 그리스도교 신학 안에서는 하느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셨을 때 주어진 창조질서의 회복이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창조질서의 회복에 있어서 필자는 생태신학자인 매튜 폭스가 주장하는 창조영성의 회복이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폭스는 세상의 모든 창조물이 원축복을 지니며 서로 긴밀한 연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자신의 사상을 펼치기 때문이다. 그래서 생태신학과 생태영성의 기반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한국 가톨릭 환경운동을 폭스의 창조영성과 접목해서 한국 가톨릭 환경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여섯 가지로 모색해 보았다.
      첫째, 창조영성과 자비(감수성) 회복 운동으로서 환경운동이다.
      둘째, 창조영성과 대안 문명운동으로서 환경운동이다.
      셋째, 창조영성과 신학과 제반 학문과 연대로서 환경운동이다.
      넷째, 창조영성과 종교 간 대화 운동으로서 환경운동이다.
      다섯째, 창조영성과 환경정의 운동으로서 환경운동이다.
      여섯째, 창조영성과 생태문화 운동으로서 환경운동이다.
      이와 같은 여섯 가지 환경운동의 방향은 한국 가톨릭 환경운동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번역하기

      현대 사회에서 세계인들에게 최고의 화두는 단연 ‘환경’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기상 이변, 지구 온난화, 생물종의 멸종, 사막화 현상 등 이루 다 말할 수 없는 생태계 파괴의 실상이 ...

      현대 사회에서 세계인들에게 최고의 화두는 단연 ‘환경’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기상 이변, 지구 온난화, 생물종의 멸종, 사막화 현상 등 이루 다 말할 수 없는 생태계 파괴의 실상이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이런 심각한 생태계 파괴의 현실 안에서 우리는 이제 생태계 파괴로 인한 문제 해결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런 차원에서 전 지구적으로 지역과 사회 그리고 국가와 인종을 뛰어 넘어 생태계의 회복을 위해 여러 가지 연구를 통한 대안과 방향이 제시되고 있다.
      생태계 파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문제를 일으키게 한 정확한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원인이 어느 하나라고 지목될 수 없을 만큼 생태계 파괴의 원인은 다면적이라고 할 수 있다. 거기에는 철학적 요인과 가치체계의 변화로 인한 원인과 전통적 창조신학이 갖는 한계 그리고 인간의 생활양식과 행동양식을 포함하는 총체적인 원인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모든 원인들 사이에 나타나는 공통적인 요소가 있는데 그것은 나를 포함한 세상 모든 만물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상호의존 의식의 결여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생태계의 파괴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장 일차적인 것은 만물의 상호의존 의식을 회복하는 것이다. 이것을 그리스도교 신학 안에서는 하느님께서 세상을 창조하셨을 때 주어진 창조질서의 회복이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창조질서의 회복에 있어서 필자는 생태신학자인 매튜 폭스가 주장하는 창조영성의 회복이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폭스는 세상의 모든 창조물이 원축복을 지니며 서로 긴밀한 연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자신의 사상을 펼치기 때문이다. 그래서 생태신학과 생태영성의 기반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한국 가톨릭 환경운동을 폭스의 창조영성과 접목해서 한국 가톨릭 환경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여섯 가지로 모색해 보았다.
      첫째, 창조영성과 자비(감수성) 회복 운동으로서 환경운동이다.
      둘째, 창조영성과 대안 문명운동으로서 환경운동이다.
      셋째, 창조영성과 신학과 제반 학문과 연대로서 환경운동이다.
      넷째, 창조영성과 종교 간 대화 운동으로서 환경운동이다.
      다섯째, 창조영성과 환경정의 운동으로서 환경운동이다.
      여섯째, 창조영성과 생태문화 운동으로서 환경운동이다.
      이와 같은 여섯 가지 환경운동의 방향은 한국 가톨릭 환경운동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e is no doubt that one of the global buzzwords these days is 'environment.' Environmental degradations, as witnessed by climate change, global warming, extinction of species, desertification and so on, put all human beings in danger. Against this backdrop, we are now making a lot of efforts to deal with the environment-related problems. Part of the effort is to give guidelines and propose alternatives to help the nature restore itself, which go way beyond community, country, and rac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we should put the top priority on finding what exactly caused it. A number of factors, however, have worked behind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so we cannot put a finger on just one. Traditional values have changed, creational theology came to limit itself, philosophy was one of the factor, and the way we live and behave has also changed as well. No matter how many factors worked, there should be something in common, which is we are lacking in sense of interdependence that everything in the world, including me, depend on each other in one way or another. Therefore, the first step we should take to tackle the problem is to help ourselves restore the sense of interdependence. In christian theology, that is to recover the creationism which was established when God created the universe.
      In reviving creationism, I believe that creational spirituality claimed to be restored by Matthew Fox, an ecotheologist, will play a positive role. That is because Fox established his theory based on that everything created by God is originally blessed and closely related with each other. Thus I propose that the Catholic Environmental Movement in Korea, which is considered lacking in both eco-theology and eco-spirituality, be supplemented with Fox' creation spirituality to put forth six guidelines.
      First, environmental movement to restore creation spirituality and mercy (sensitivity).
      Second, environmental movement as an creation spirituality and alternative.
      Third, environmental movement as a combination of creation spirituality, theology and related areas.
      Forth, environmental movement as an interchange between creation spirituality and religion.
      Fifth, environmental movement as creation spirituality and environmental righteousness.
      Sixth, environmental movement as creation spirituality and eco-culture.
      The six guidelines as proposed above can be an alternative to reinvigorate the Catholic Environmental Movement in Korea.
      번역하기

      There is no doubt that one of the global buzzwords these days is 'environment.' Environmental degradations, as witnessed by climate change, global warming, extinction of species, desertification and so on, put all human beings in danger. Against this ...

      There is no doubt that one of the global buzzwords these days is 'environment.' Environmental degradations, as witnessed by climate change, global warming, extinction of species, desertification and so on, put all human beings in danger. Against this backdrop, we are now making a lot of efforts to deal with the environment-related problems. Part of the effort is to give guidelines and propose alternatives to help the nature restore itself, which go way beyond community, country, and rac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degradation, we should put the top priority on finding what exactly caused it. A number of factors, however, have worked behind the environmental destruction, so we cannot put a finger on just one. Traditional values have changed, creational theology came to limit itself, philosophy was one of the factor, and the way we live and behave has also changed as well. No matter how many factors worked, there should be something in common, which is we are lacking in sense of interdependence that everything in the world, including me, depend on each other in one way or another. Therefore, the first step we should take to tackle the problem is to help ourselves restore the sense of interdependence. In christian theology, that is to recover the creationism which was established when God created the universe.
      In reviving creationism, I believe that creational spirituality claimed to be restored by Matthew Fox, an ecotheologist, will play a positive role. That is because Fox established his theory based on that everything created by God is originally blessed and closely related with each other. Thus I propose that the Catholic Environmental Movement in Korea, which is considered lacking in both eco-theology and eco-spirituality, be supplemented with Fox' creation spirituality to put forth six guidelines.
      First, environmental movement to restore creation spirituality and mercy (sensitivity).
      Second, environmental movement as an creation spirituality and alternative.
      Third, environmental movement as a combination of creation spirituality, theology and related areas.
      Forth, environmental movement as an interchange between creation spirituality and religion.
      Fifth, environmental movement as creation spirituality and environmental righteousness.
      Sixth, environmental movement as creation spirituality and eco-culture.
      The six guidelines as proposed above can be an alternative to reinvigorate the Catholic Environmental Movement in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 서론 = 3
      • 1. 연구의 동기와 목적 = 3
      • 2. 연구의 방법 = 5
      • 제1부 생태계의 위기 상황과 근본 원인에 대한 고찰 = 7
      • 〈국문초록〉 = 1
      • 서론 = 3
      • 1. 연구의 동기와 목적 = 3
      • 2. 연구의 방법 = 5
      • 제1부 생태계의 위기 상황과 근본 원인에 대한 고찰 = 7
      • Ⅰ. 자연에 과중한 부하를 줌으로써 야기된 생태계의 파괴 = 7
      • 1. 대기오염 = 7
      • 2. 수질오염 = 11
      • 3. 토양오염 = 15
      • 4. 폐기물 = 16
      • Ⅱ. 자연과 자원의 사용에 의한 생태계의 파괴 = 20
      • 1. 생물종의 멸종 = 20
      • 2. 열대림의 파괴 = 22
      • 3. 자원의 고갈 = 23
      • Ⅲ. 생태계 위기의 근본원인에 대한 고찰 = 26
      • 1. 철학적 요인 = 26
      • 2. 가치 체계의 변화 = 29
      • 3. 전통적 창조신학 = 32
      • 제2부 매튜 폭스의 창조영성을 통한 생태신학 = 35
      • Ⅰ. 매튜 폭스가 걸어온 길 = 35
      • 1. 도미니코 수도회 입회 전 = 35
      • 2. 도미니코 수도회 입회 = 36
      • 3. 가톨릭을 떠난 지금 = 39
      • Ⅱ. 매튜 폭스의 창조영성에 대한 정의 = 39
      • 1. 폭스가 이해하는 창조 = 40
      • 2. 폭스가 이해하는 영성 = 42
      • Ⅲ. 창조영성의 네 가지 영적 여정 = 43
      • 1. 긍정의 길(VⅠa PosⅠtⅠva) = 44
      • 2. 부정의 길(VⅠa NegatⅠva) = 52
      • 3. 창조의 길(VⅠa CreatⅠva) = 56
      • 4. 변혁의 길(VⅠa TransformatⅠva) = 63
      • 5. 창조 영성의 네 가지 영적 여정의 상호관계 = 70
      • Ⅳ. 매튜 폭스의 생태신학 = 71
      • 1. 매튜 폭스의 신론 = 71
      • 2. 매튜 폭스의 그리스도론 = 73
      • 3. 매튜 폭스의 종말론 = 77
      • 제3부 한국 가톨릭 환경운동 = 80
      • Ⅰ. 환경에 대한 가톨릭의 가르침 = 80
      • 1. 사목헌장 = 81
      • 2. 교황청 문헌 = 82
      • Ⅱ. 한국 가톨릭 환경운동 약사(略史) = 85
      • Ⅲ. 한국 가톨릭 환경운동 단체 현황(범(凡)교구 차원) = 89
      • 1.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환경소위원회) = 89
      • 2. 수도회 및 교회단체 = 90
      • 3. 천주교 환경연대 = 90
      • Ⅳ. 한국 가톨릭 환경운동 단체 현황(교구적 차원) = 93
      • 1. 서울대교구 환경단체 현황 = 93
      • 2. 대구대교구 환경단체 현황 = 96
      • 3. 광주대교구 환경단체 현황 = 99
      • 4. 수원교구 환경단체 현황 = 100
      • 5. 인천교구 환경단체 현황 = 103
      • 6. 대전교구 환경단체 현황 = 105
      • 7. 원주교구 환경단체 현황 = 107
      • 8. 안동교구 환경단체 현황 = 108
      • Ⅴ. 한국 가톨릭 환경운동에 대한 평가 = 110
      • 1. 집중성 및 전문성의 부재 = 110
      • 2. 생태신학에 관련된 연구 활동 미비 = 111
      • 3. 환경 및 생태교육의 내실화의 부족 = 112
      • 4. 대안 = 113
      • 제4부 매튜 폭스의 창조 영성을 접목한 한국 가톨릭 환경운동의 방향 모색 = 115
      • 1. 창조영성과 자비(감수성) 회복운동으로서 환경운동 = 117
      • 2. 창조영성과 대안 문명운동으로서 환경운동 = 122
      • 3. 창조영성과 신학과 제반 학문과 연대로서 환경운동 = 126
      • 4. 창조영성과 종교간 대화운동으로서 환경운동 = 128
      • 5. 창조영성과 환경정의운동으로서 환경운동 = 130
      • 6. 창조영성과 생태문화운동으로서 환경운동 = 133
      • 결론 = 138
      • 참고도서 = 141
      • 〈Abstract〉 = 14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