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지역에서의 단일주파수 GNSS 사용자를 위한 전리층 잔류 오차 모델 개발 = A Residual Ionospheric Error Model for Single Frequency GNSS Users in the Korean Reg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747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측정치 보정 후에 남아 있는 전리층 잔류 오차에 대해 시뮬레이션 기반의 영향분석(오차 및 서비스 영역 분석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위해서는 전리층 잔류 ...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측정치 보정 후에 남아 있는 전리층 잔류 오차에 대해 시뮬레이션 기반의 영향분석(오차 및 서비스 영역 분석 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위해서는 전리층 잔류 오차에 대한 통계적 모델링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GNSS 측정치 및 Klobuchar 모델을 활용하여 국내 정상상태 전리층 환경에서의 전리층 잔류 오차에 대한 보수적인 표준편차의 해석적 모델을 도출하였다. 다양한 전리층 활동 상태를 포함하기 위해 美 CAT I (category I) LAAS (local-area augmentation system) 전리층 통계치 산출일 중 ROTI (rate-of-tec index) 지수를 활용하여 전리층 활동이 비정상적인 날짜는 제외하고 GNSS 분석 데이터를 구성하였다. GNSS 데이터 처리를 통해 전리층 잔류 오차를 계산하고, 잔류오차 거동의 특성을 근거하여 지역 시 및 위성 앙각에 따라 통계치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리층 잔류 오차의 확률적 거동을 보수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표준편차값에 대한 해석적 모델을 감쇠 지수 접합을 통해 도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onosphere, one of the largest error sources, can pose potentially harmful threat to single-frequency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user even after applying ionospheric corrections to their GNSS measurements. To quantitatively assess ionos...

      Ionosphere, one of the largest error sources, can pose potentially harmful threat to single-frequency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user even after applying ionospheric corrections to their GNSS measurements. To quantitatively assess ionospheric impacts on the satellite navigation-based applications using simulation, the standard deviation of residual ionospheric errors is needed. Thus, in this paper, we determine conservative statistical quantity that covers typical residual ionospheric errors for nominal days. Extensive data-processing computes TEC (total electron content) estimates from GNSS measurements collected from the Korean reference station networks. We use Klobuchar model as a correction to calculate residual ionospheric errors from TEC (total electron content) estimate. Finally, an exponential delay model for residual ionospheric errors is presented as a function of local time and satellite elevation ang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M. Menvielle, "The K-Derived Planetary Indices : Description and Availability" 29 (29): 415-432, 1991

      2 M. Hernández-Pajares, "The IGS VTEC maps : a reliable source of ionospheric information since 1998" 83 (83): 263-275, 2009

      3 B. B. Poppe, "New scales help public, technicians understand space weather" 81 (81): 322-, 2000

      4 X. Pi, "Monitoring of global ionospheric irregularities using the worldwide GPS network" 24 (24): 2283-2286, 1997

      5 M. Yoon, "Medium-scale traveling ionospheric disturbances in the Korean region on 10 November 2004 : potential impact on GPS-based navigation systems" 12 : 173-186, 2014

      6 S. Jung, "Long term ionospheric anomaly monitoring for ground based augmentation systems" 47 : 2012

      7 J. A. Klobuchar, "Ionospheric time-Delay algorithm for single-frequency GPS users" AES-23 (AES-23): 325-331, 1987

      8 S. Datta-Barua, "Ionospheric threat parameterization for local area global-positioning-system-based aircraft landing system" 47 (47): 1141-1151, 2010

      9 P. Misra, "Global Positioning System: signals, measurements, and performance" Ganga-Jamuna Press 2006

      10 M. Kim, "GBAS ionospheric threat model assessment for category I operation in the Korean region" 19 (19): 443-456, 2014

      1 M. Menvielle, "The K-Derived Planetary Indices : Description and Availability" 29 (29): 415-432, 1991

      2 M. Hernández-Pajares, "The IGS VTEC maps : a reliable source of ionospheric information since 1998" 83 (83): 263-275, 2009

      3 B. B. Poppe, "New scales help public, technicians understand space weather" 81 (81): 322-, 2000

      4 X. Pi, "Monitoring of global ionospheric irregularities using the worldwide GPS network" 24 (24): 2283-2286, 1997

      5 M. Yoon, "Medium-scale traveling ionospheric disturbances in the Korean region on 10 November 2004 : potential impact on GPS-based navigation systems" 12 : 173-186, 2014

      6 S. Jung, "Long term ionospheric anomaly monitoring for ground based augmentation systems" 47 : 2012

      7 J. A. Klobuchar, "Ionospheric time-Delay algorithm for single-frequency GPS users" AES-23 (AES-23): 325-331, 1987

      8 S. Datta-Barua, "Ionospheric threat parameterization for local area global-positioning-system-based aircraft landing system" 47 (47): 1141-1151, 2010

      9 P. Misra, "Global Positioning System: signals, measurements, and performance" Ganga-Jamuna Press 2006

      10 M. Kim, "GBAS ionospheric threat model assessment for category I operation in the Korean region" 19 (19): 443-456, 2014

      11 W. A. Feess, "Evaluation of GPS ionospheric time-delay model" AES-23 (AES-23): 332-338, 1987

      12 M. Sugiura, "Equatorial Dst Index 1957–1986" 40 : 7-14, 1991

      13 G. Ma, "Derivation of TEC and estimation of instrumental biases from GEONET in Japan" 21 (21): 2083-2093, 2003

      14 J. Lee, "Assessment of ionosphere spatial decorrelation for GPS-based aircraft landing systems" 44 (44): 1662-1669, 2006

      15 G. Ma, "A super bubble detected by dense GPS network at East Asian longitude" 33 : L21103-,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4-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 Navigation Institute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9 0.364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