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어린이 속의 시인에서 시인 속의 어린이로: 하이데거로 해석한 워즈워스의 시적 경험 단행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038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lliam Wordsworth's works change dramatically between 1793 and 1797. This period marks a critical turning point in Wordsworth's poetic career having become disenchanted with the French Revolution and Godwin's philosophy. Getting over the crisis of this period, he becomes virtually a new poet. This thesis argues, first, that his critique of "the despotism of the eye" has made this successful transition possible; second, that the dramatic change consists of the restoration of his imagination based on his meditative experience of childhood after realizing how his imagination got impaired; and finally, that we can best define the nature of this transformation through reference to Martin Heidegger's philosophy. Chapter 1 surveys the achievements and limits of Wordsworth criticism, while relating the despotism of the eye to Heidegger's discourse on representational thinking (das vorstellende Denken).
      Chapter 2 compares Heidegger's aesthetics and Wordsworth's poetics. Section 1 explicates the meaning of 'Being' (Sein), 'the Earth' (die Erde), 'meditative thinking' (besinnliches Denken), and 'the Word as Being' (Logos). Being is the living what-is which can't be grasped conceptually, so 'the Words as Being' is the experiencing of the living what-is. The Earth means such aspects of Being that can't be grasped by any concept or image. Wordsworth uses "real" repeatedly in the "Preface" to Lyrical Ballads to describe a state "in tune with Being," and that "the real language of men in a state of vivid sensation" are "the words spoken by one who is listening for the Word as Being". Wordsworth says several times that "Nature" spoke to him. That speech of Nature is neither "a clothing for the thought" nor language as sign, but words that are prior to language as sign. These "words" are those of "all this mighty sum / Of things for ever speaking"("Expostulation and Reply"), which correspond to "the Word as Being" or "the Word as occurrence or event" in Heidegger. Section 2, centering around The Prelude, shows that Wordsworth's reconstruction of the Earth in his works corresponds to Heidegger's concept of 'the origin of works of art' as building the world and reconstructing the Earth.
      Chapter 3 deals with "The Idiot Boy," "We are Seven" and Immortality Ode, to show meditative cognition or experience of childhood that has played a decisive role in Wordsworth's getting over the despotism of the eye. In their description of childhood, these poems embody the meditative experience which accepts the Earth and listens for the Word as Being. This chapter focuses on the experience of the light of childhood in Immortality Ode in addition to the descriptions of childhood in The Prelude, and explores the dynamics of Wordsworth's two ways of thinking by showing the alternation between representational thinking and meditative thinking.
      Chapter 4 explores the despotism of the eye, which is the loss of the light of childhood. Being, or presence, of Nature in childhood, appears as the Earth or mystery which is beyond conceptualization. As one's mind builds concepts and gets attached to this conceptual map, s/he becomes estranged from the light of Being and the meditative experience of childhood which hears the Word as Being in standing on the Earth. In short, as one acquires language, the danger of becoming alienated from the living what-is (which is the basis of Wordsworth's creativity) grows.
      In Books 11 and 12 of The Prelude, Wordsworth writes that "the eye was the master of the heart" showing that such crisis of imagination has come through the despotism of visual image, and reveals how the despotism of the eye overcame him and then, was subsequently overcome. This is the crisis of imagination, or the loss of meditative experience / cognition of childhood. This chapter also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rizon of concepts, which is another name for the despotism of the eye. This horizon is the state in which one can't hear the Word because visual image and conceptual judgment dominate one's mind.
      Seeing through the despotism of the eye, Wordsworth is restored to his childhood. In The Prelude, Wordsworth describes that he had restored his wise passiveness from his childhood and returned to the ocean of meditative experience. The third section of this chapter explicates what "a wise passiveness" or conversing with the Word as Being prior to sign is, with reference to "Expostulation and Reply," "The Tables Turned," and the "Simplon Pass" and "Meeting with a Blind Beggar" passages in The Prelude. Finally, by comparing "Tintern Abbey" with Descriptive Sketches, I will briefly review the dramatic changes wrought after his overcoming the crisis.
      Chapter 5 clarifies Wordsworth's theory and practice of composition. Such composition is divided into two stages, that is, that of tranqility or "a wise passiveness" where he empties his head of all concepts and listens for "things for ever speaking," and that of expressing "emotion recollected in tranquility". His poems come into being by realizing "an incarnation of the thought" through presenting words relating to the emotion. This recollected emotion has its origin either in the shock delivered into the conceptual map from the Earth, or in an insight into representational thinking. It is the core of "spots of time" which is the experience of listening to the Word as Being because such shock deconstucts the conceptual map. What Wordsworth calls poetry is the expression, in language, of emotion recollected in "tranquility" or "a wise passiveness" from his childhood, which is another name for meditative cognition or experience.
      번역하기

      William Wordsworth's works change dramatically between 1793 and 1797. This period marks a critical turning point in Wordsworth's poetic career having become disenchanted with the French Revolution and Godwin's philosophy. Getting over the crisis of th...

      William Wordsworth's works change dramatically between 1793 and 1797. This period marks a critical turning point in Wordsworth's poetic career having become disenchanted with the French Revolution and Godwin's philosophy. Getting over the crisis of this period, he becomes virtually a new poet. This thesis argues, first, that his critique of "the despotism of the eye" has made this successful transition possible; second, that the dramatic change consists of the restoration of his imagination based on his meditative experience of childhood after realizing how his imagination got impaired; and finally, that we can best define the nature of this transformation through reference to Martin Heidegger's philosophy. Chapter 1 surveys the achievements and limits of Wordsworth criticism, while relating the despotism of the eye to Heidegger's discourse on representational thinking (das vorstellende Denken).
      Chapter 2 compares Heidegger's aesthetics and Wordsworth's poetics. Section 1 explicates the meaning of 'Being' (Sein), 'the Earth' (die Erde), 'meditative thinking' (besinnliches Denken), and 'the Word as Being' (Logos). Being is the living what-is which can't be grasped conceptually, so 'the Words as Being' is the experiencing of the living what-is. The Earth means such aspects of Being that can't be grasped by any concept or image. Wordsworth uses "real" repeatedly in the "Preface" to Lyrical Ballads to describe a state "in tune with Being," and that "the real language of men in a state of vivid sensation" are "the words spoken by one who is listening for the Word as Being". Wordsworth says several times that "Nature" spoke to him. That speech of Nature is neither "a clothing for the thought" nor language as sign, but words that are prior to language as sign. These "words" are those of "all this mighty sum / Of things for ever speaking"("Expostulation and Reply"), which correspond to "the Word as Being" or "the Word as occurrence or event" in Heidegger. Section 2, centering around The Prelude, shows that Wordsworth's reconstruction of the Earth in his works corresponds to Heidegger's concept of 'the origin of works of art' as building the world and reconstructing the Earth.
      Chapter 3 deals with "The Idiot Boy," "We are Seven" and Immortality Ode, to show meditative cognition or experience of childhood that has played a decisive role in Wordsworth's getting over the despotism of the eye. In their description of childhood, these poems embody the meditative experience which accepts the Earth and listens for the Word as Being. This chapter focuses on the experience of the light of childhood in Immortality Ode in addition to the descriptions of childhood in The Prelude, and explores the dynamics of Wordsworth's two ways of thinking by showing the alternation between representational thinking and meditative thinking.
      Chapter 4 explores the despotism of the eye, which is the loss of the light of childhood. Being, or presence, of Nature in childhood, appears as the Earth or mystery which is beyond conceptualization. As one's mind builds concepts and gets attached to this conceptual map, s/he becomes estranged from the light of Being and the meditative experience of childhood which hears the Word as Being in standing on the Earth. In short, as one acquires language, the danger of becoming alienated from the living what-is (which is the basis of Wordsworth's creativity) grows.
      In Books 11 and 12 of The Prelude, Wordsworth writes that "the eye was the master of the heart" showing that such crisis of imagination has come through the despotism of visual image, and reveals how the despotism of the eye overcame him and then, was subsequently overcome. This is the crisis of imagination, or the loss of meditative experience / cognition of childhood. This chapter also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rizon of concepts, which is another name for the despotism of the eye. This horizon is the state in which one can't hear the Word because visual image and conceptual judgment dominate one's mind.
      Seeing through the despotism of the eye, Wordsworth is restored to his childhood. In The Prelude, Wordsworth describes that he had restored his wise passiveness from his childhood and returned to the ocean of meditative experience. The third section of this chapter explicates what "a wise passiveness" or conversing with the Word as Being prior to sign is, with reference to "Expostulation and Reply," "The Tables Turned," and the "Simplon Pass" and "Meeting with a Blind Beggar" passages in The Prelude. Finally, by comparing "Tintern Abbey" with Descriptive Sketches, I will briefly review the dramatic changes wrought after his overcoming the crisis.
      Chapter 5 clarifies Wordsworth's theory and practice of composition. Such composition is divided into two stages, that is, that of tranqility or "a wise passiveness" where he empties his head of all concepts and listens for "things for ever speaking," and that of expressing "emotion recollected in tranquility". His poems come into being by realizing "an incarnation of the thought" through presenting words relating to the emotion. This recollected emotion has its origin either in the shock delivered into the conceptual map from the Earth, or in an insight into representational thinking. It is the core of "spots of time" which is the experience of listening to the Word as Being because such shock deconstucts the conceptual map. What Wordsworth calls poetry is the expression, in language, of emotion recollected in "tranquility" or "a wise passiveness" from his childhood, which is another name for meditative cognition or experi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I. 머리말: 시각의 독재와 표상적 사유 II. 하이데거와 워즈워스 III. 어린 시절 명상적 경험 IV. 시각의 독재/표상적 사유의 극복 V. Poesis로서의 명상적 사유와 ...

      I. 머리말: 시각의 독재와 표상적 사유
      II. 하이데거와 워즈워스
      III. 어린 시절 명상적 경험
      IV. 시각의 독재/표상적 사유의 극복
      V. Poesis로서의 명상적 사유와 상상력
      VI. 맺음말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워즈워스의 작품 세계는 1793-7년을 전후로 근본적인 변화를 겪는다. 이 시기는 워즈워스가 프랑스 혁명의 전개와 고드윈(Godwin) 철학에 환멸을 느끼면서 도덕·인식·존재 면에서 큰 위기를 겪는 시기이다.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이 "시각의 독재" 에 대한 워즈워스의 문제의식이며, 상상력이 손상과 타락을 입은 것을 깨닫고 어린 시절 명상적 경험에 근거하여 상상력을 회복하면서 시인으로 거듭난다는 것, 그리고 이런 변화는 하이데거 철학을 통해 제대로 규명할 수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주장이다. 이러한 논지에서 출발하여 1장에서는 워즈워스의 시각의 독재에 대한 자각과 하이데거의 표상적 사유에 대한 문제 의식을 연결하면서 기존 비평의 성과와 한계를 함께 조망한다.
      제 2장에서는 하이데거 예술론과 워즈워스 시학을 비교한다. 1절에서는 하이데거의 주제인 '있음,' '대지,' '명상적 사유,' '있음인 말' 의 의미를 개관한다. '있음' 이란 관념으로 미리 규정되지 않는 '살아 있는' 현실을 말하며, '대지' 란 '있음' 이 관념으로 규정되지 않음이고, '있음인 말'이란 '살아 있는 현실 경험' 이다. 워즈워스가 「『서정담시집』 서문」("Preface to Lyrical Ballads")에서 자주 언급한 "real" 이란 '있음' 에 조율된 상태이며 워즈워스가 말한 "생생하게 살아 있는 밝은 느낌 속에서 사람들이 진실로 쓰는 언어" 는 '있음인 말' 을 듣고 있는 사람에게서 나오는 언어다. 워즈워스는 여러 번 어린 시절에 자연이 그에게 말을 했다고 한다. 이때의 말은 기호로서의 언어 이전에 있는 말이다. 그 말은, 「충고와 응답」("Expostulation and Reply") 25-6행에서 "늘 말하고 있는 이 장엄한 사물 전체(all this mighty sum Of things for ever speaking)" 가 하는 말이며, 하이데거가 말한, '사건으로서의 말' 이자 '있음인 말' 에 해당한다. 2절에서는 「서시」(The Prelude)를 중심으로, 워즈워스가 대지를 작품 속에 세우는 것이, 하이데거가 세계와 대지를 작품 속에 세움이 예술 작품의 근원이라고 한 것과 일치하여, 두 사람의 예술관에 공통점이 있음을 밝힌다.
      3장에서는 워즈워스가 시각의 독재를 극복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어린 시절의 명상적 경험을 워즈워스의 「백치 소년」("The Idiot Boy"), 「우리는 일곱」("We are Seven")을 비롯한 작품에서 음미해본다. 이들 작품에서 어린 시절을 묘사하는 부분에 어린 시절의 대지를 받아들이고 '있음인 말' 을 듣는 명상적 경험이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가 가 주제이다. 이 과정에서 「서시」의 어린 시절 묘사를 중심으로 「불멸의 노래」(Immortality Ode)에서 얘기하는 어린 시절 빛의 경험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인지 규명하고, 다음에 「불멸의 노래」에서 관념의 생멸에 기반한 표상적 사유와 관념의 생멸을 넘어서 있는 명상적 사유가 교차하는 모습을 살펴본다.
      4장은 어린 시절 빛의 상실인 시각의 독재를 상술한다. 어린 시절에 '자연의 있음' 은 관념으로 붙잡히지 않는 신비로서, 즉 '대지' 로서 나타난다. 관념이 형성되고 관념의 지도에 고착되면서, '대지' 에 서서 '있음인 말' 을 듣는 어린 시절의 명상적 경험과 '있음의 빛' 에서 멀어진다. 요컨대, 언어가 확립될 때쯤에는, 이 관념의 지도가 확고해져서 언어는 관념의 옷이 되고, 워즈워스 시 창작의 기반이 되는 "슬기로운 무위(a wise passiveness)" 가 사라져, 살아 있는 현실과 거리가 멀어진다.
      워즈워스는 「서시」(The Prelude) 제 11, 12권에서, 그런 상상력의 위기가 시각이라는 관념의 독재를 통해 닥쳤음을 "눈이 가슴의 지배자였다" (the eye was the master of the heart)고 말하면서, 시각의 독재가 일어나고 사라지는 과정을 상세히 드러내고 있다. 관념의 옷으로서의 언어에 갇히면서, '살아 있는 현실 경험' 인 '있음인 말' 이 들리지 않게 되는 과정이 바로 시각의 독재로 인한 상상력의 위기요, 어린 시절 명상적 경험/인식의 상실이다. 시각적 관념과 개념적 판단이 의식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 '사건으로서의 말' 이 들리지 않게 되는 현상을 관념 지평으로 약칭하면서, 관념 지평의 특징을 「서시」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시각의 독재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워즈워스는 어린 시절을 돌이켜보고, 관념의 지도로 파악할 수 없는 '있음' 의 신비/대지를 무시하고, 시각적 관념에 근거한 관념적인 판단에 사로잡힌 것이 그 원인이었음을 깨닫는다. 「서시」에서 워즈워스는 이런 관념적 판단을 어떻게 벗어나게 되었는지를 밝히는 데, 그 과정에서 어린 시절의 "슬기로운 무위" 를 되찾아 명상적 경험의 바다로 다시 들어갔음을 서술한다. "슬기로운 무위"인 명상적 경험 속에서 기호 이전의 '있음인 말' 과 교류함이 어떠한 상태인지를, 「충고와 응답」, 「형세 역전」("The Tables Turned")의 언급과, 씸플론 고개(Simplon Pass)에서의 경험과 눈먼 거지와의 만남을 통해 집약적으로 드러나는 상상력의 활동을 통해 해명한다. 또한 시각의 독재가 절정에 달하였다가 극복되는 시기인 1796년 봄을 전후해서 워즈워스의 작품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묘사적 스케치」(Descriptive Sketches)와 「틴턴 사원」("Tintern Abbey")을 중심으로 규명한다.
      시각의 독재에서 벗어나 어린 시절의 '있음' 의 빛/말/대지/사유를 재발굴하게 된 워즈워스는 그에 걸맞는 창작 이론을 세우고 실천하게 된다. 워즈워스의 창작 이론과 실천을 규명하는 것이 5장의 주제이다. 워즈워스의 상상력과 시 창작은 머리의 관념을 비우고 '있음인 말' 듣는 '슬기로운 무위' 고요함의 단계와 그 고요함에서 모인 정서를 표현하는 단계로 크게 나눠진다. 가슴에서 솟아나는 이런 정서를 머리가 억누르지 않고 그 정서에 적절한 말을 대어 사유의 육화를 이룸으로써 시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때 모인 정서는 대지에서 관념의 지도에 가해진 충격이나 표상적 사유에 관한 통찰에 근원을 두고 있다. 이 충격을 통해 머리의 관념 지도가 해체되고 가슴으로 '대지' 들어서서 '있음인 말' 듣게 된 경험이 "시간의 자국들" 의 핵심이 된다. 결국 '늘 말하는 사물들' 말 즉, '있음인 말' 듣는 어린 시절 "슬기로운 무위" 의 평정 속에서 모인 느낌이, 명상적 사유를 거쳐 육화되어 언어로 표현된 것을 워즈워스는 시라고 부른다. 사유의 육화로서 시가 언어로 나타나는 "시간의 자국들" 은 '관념의 지도' 와 '대지' 가 병치되어 '관념의 지도' 에 충격이 가해지는 순간들인 것이다.
      번역하기

      워즈워스의 작품 세계는 1793-7년을 전후로 근본적인 변화를 겪는다. 이 시기는 워즈워스가 프랑스 혁명의 전개와 고드윈(Godwin) 철학에 환멸을 느끼면서 도덕·인식·존재 면에서 큰 위기를 �...

      워즈워스의 작품 세계는 1793-7년을 전후로 근본적인 변화를 겪는다. 이 시기는 워즈워스가 프랑스 혁명의 전개와 고드윈(Godwin) 철학에 환멸을 느끼면서 도덕·인식·존재 면에서 큰 위기를 겪는 시기이다. 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던 것이 "시각의 독재" 에 대한 워즈워스의 문제의식이며, 상상력이 손상과 타락을 입은 것을 깨닫고 어린 시절 명상적 경험에 근거하여 상상력을 회복하면서 시인으로 거듭난다는 것, 그리고 이런 변화는 하이데거 철학을 통해 제대로 규명할 수 있다는 것이 이 논문의 주장이다. 이러한 논지에서 출발하여 1장에서는 워즈워스의 시각의 독재에 대한 자각과 하이데거의 표상적 사유에 대한 문제 의식을 연결하면서 기존 비평의 성과와 한계를 함께 조망한다.
      제 2장에서는 하이데거 예술론과 워즈워스 시학을 비교한다. 1절에서는 하이데거의 주제인 '있음,' '대지,' '명상적 사유,' '있음인 말' 의 의미를 개관한다. '있음' 이란 관념으로 미리 규정되지 않는 '살아 있는' 현실을 말하며, '대지' 란 '있음' 이 관념으로 규정되지 않음이고, '있음인 말'이란 '살아 있는 현실 경험' 이다. 워즈워스가 「『서정담시집』 서문」("Preface to Lyrical Ballads")에서 자주 언급한 "real" 이란 '있음' 에 조율된 상태이며 워즈워스가 말한 "생생하게 살아 있는 밝은 느낌 속에서 사람들이 진실로 쓰는 언어" 는 '있음인 말' 을 듣고 있는 사람에게서 나오는 언어다. 워즈워스는 여러 번 어린 시절에 자연이 그에게 말을 했다고 한다. 이때의 말은 기호로서의 언어 이전에 있는 말이다. 그 말은, 「충고와 응답」("Expostulation and Reply") 25-6행에서 "늘 말하고 있는 이 장엄한 사물 전체(all this mighty sum Of things for ever speaking)" 가 하는 말이며, 하이데거가 말한, '사건으로서의 말' 이자 '있음인 말' 에 해당한다. 2절에서는 「서시」(The Prelude)를 중심으로, 워즈워스가 대지를 작품 속에 세우는 것이, 하이데거가 세계와 대지를 작품 속에 세움이 예술 작품의 근원이라고 한 것과 일치하여, 두 사람의 예술관에 공통점이 있음을 밝힌다.
      3장에서는 워즈워스가 시각의 독재를 극복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어린 시절의 명상적 경험을 워즈워스의 「백치 소년」("The Idiot Boy"), 「우리는 일곱」("We are Seven")을 비롯한 작품에서 음미해본다. 이들 작품에서 어린 시절을 묘사하는 부분에 어린 시절의 대지를 받아들이고 '있음인 말' 을 듣는 명상적 경험이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가 가 주제이다. 이 과정에서 「서시」의 어린 시절 묘사를 중심으로 「불멸의 노래」(Immortality Ode)에서 얘기하는 어린 시절 빛의 경험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인지 규명하고, 다음에 「불멸의 노래」에서 관념의 생멸에 기반한 표상적 사유와 관념의 생멸을 넘어서 있는 명상적 사유가 교차하는 모습을 살펴본다.
      4장은 어린 시절 빛의 상실인 시각의 독재를 상술한다. 어린 시절에 '자연의 있음' 은 관념으로 붙잡히지 않는 신비로서, 즉 '대지' 로서 나타난다. 관념이 형성되고 관념의 지도에 고착되면서, '대지' 에 서서 '있음인 말' 을 듣는 어린 시절의 명상적 경험과 '있음의 빛' 에서 멀어진다. 요컨대, 언어가 확립될 때쯤에는, 이 관념의 지도가 확고해져서 언어는 관념의 옷이 되고, 워즈워스 시 창작의 기반이 되는 "슬기로운 무위(a wise passiveness)" 가 사라져, 살아 있는 현실과 거리가 멀어진다.
      워즈워스는 「서시」(The Prelude) 제 11, 12권에서, 그런 상상력의 위기가 시각이라는 관념의 독재를 통해 닥쳤음을 "눈이 가슴의 지배자였다" (the eye was the master of the heart)고 말하면서, 시각의 독재가 일어나고 사라지는 과정을 상세히 드러내고 있다. 관념의 옷으로서의 언어에 갇히면서, '살아 있는 현실 경험' 인 '있음인 말' 이 들리지 않게 되는 과정이 바로 시각의 독재로 인한 상상력의 위기요, 어린 시절 명상적 경험/인식의 상실이다. 시각적 관념과 개념적 판단이 의식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 '사건으로서의 말' 이 들리지 않게 되는 현상을 관념 지평으로 약칭하면서, 관념 지평의 특징을 「서시」를 중심으로 고찰한다.
      시각의 독재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워즈워스는 어린 시절을 돌이켜보고, 관념의 지도로 파악할 수 없는 '있음' 의 신비/대지를 무시하고, 시각적 관념에 근거한 관념적인 판단에 사로잡힌 것이 그 원인이었음을 깨닫는다. 「서시」에서 워즈워스는 이런 관념적 판단을 어떻게 벗어나게 되었는지를 밝히는 데, 그 과정에서 어린 시절의 "슬기로운 무위" 를 되찾아 명상적 경험의 바다로 다시 들어갔음을 서술한다. "슬기로운 무위"인 명상적 경험 속에서 기호 이전의 '있음인 말' 과 교류함이 어떠한 상태인지를, 「충고와 응답」, 「형세 역전」("The Tables Turned")의 언급과, 씸플론 고개(Simplon Pass)에서의 경험과 눈먼 거지와의 만남을 통해 집약적으로 드러나는 상상력의 활동을 통해 해명한다. 또한 시각의 독재가 절정에 달하였다가 극복되는 시기인 1796년 봄을 전후해서 워즈워스의 작품이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묘사적 스케치」(Descriptive Sketches)와 「틴턴 사원」("Tintern Abbey")을 중심으로 규명한다.
      시각의 독재에서 벗어나 어린 시절의 '있음' 의 빛/말/대지/사유를 재발굴하게 된 워즈워스는 그에 걸맞는 창작 이론을 세우고 실천하게 된다. 워즈워스의 창작 이론과 실천을 규명하는 것이 5장의 주제이다. 워즈워스의 상상력과 시 창작은 머리의 관념을 비우고 '있음인 말' 듣는 '슬기로운 무위' 고요함의 단계와 그 고요함에서 모인 정서를 표현하는 단계로 크게 나눠진다. 가슴에서 솟아나는 이런 정서를 머리가 억누르지 않고 그 정서에 적절한 말을 대어 사유의 육화를 이룸으로써 시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때 모인 정서는 대지에서 관념의 지도에 가해진 충격이나 표상적 사유에 관한 통찰에 근원을 두고 있다. 이 충격을 통해 머리의 관념 지도가 해체되고 가슴으로 '대지' 들어서서 '있음인 말' 듣게 된 경험이 "시간의 자국들" 의 핵심이 된다. 결국 '늘 말하는 사물들' 말 즉, '있음인 말' 듣는 어린 시절 "슬기로운 무위" 의 평정 속에서 모인 느낌이, 명상적 사유를 거쳐 육화되어 언어로 표현된 것을 워즈워스는 시라고 부른다. 사유의 육화로서 시가 언어로 나타나는 "시간의 자국들" 은 '관념의 지도' 와 '대지' 가 병치되어 '관념의 지도' 에 충격이 가해지는 순간들인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