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은 15~16세기 동안 明 북경으로 연간 평균 약 4회, 많게는 8회까지 북경사행을 파견하였다. 또한 遼東都司와의 업무일환으로 遼陽에도 연간 수차례 요동사행이 오고갔다. 조선은 이 북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891769
2017
Korean
조선 ; 명 ; 사행 ; 북경 ; 요동 ; 무역 ; 공간 ; Joseon Dynasty ; Ming Dynasty ; envoy ; trade ; commerce area
KCI등재
학술저널
191-224(34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은 15~16세기 동안 明 북경으로 연간 평균 약 4회, 많게는 8회까지 북경사행을 파견하였다. 또한 遼東都司와의 업무일환으로 遼陽에도 연간 수차례 요동사행이 오고갔다. 조선은 이 북경...
조선은 15~16세기 동안 明 북경으로 연간 평균 약 4회, 많게는 8회까지 북경사행을 파견하였다. 또한 遼東都司와의 업무일환으로 遼陽에도 연간 수차례 요동사행이 오고갔다. 조선은 이 북경사행과 요동사행을 통해 명과의 합법적인 무역을 진행하였다.
북경사행은 다양한 장소에서 교역을 전개하였다. 북경에서는 조선사행이 머물렀던 숙소 회동관에서 會同館開市가 열렸다. 또한 북경성 朝陽門과 正陽門 인근 번화한 시장에서도 다양한 교역활동을 전개했던 것으로 보인다. 북경뿐만 아니라 중간기착지인 遼陽 등 使行이 경유하는 대도시에서도 무역을 행하였다. 요양에서는 조선사행 숙소인 懷遠館과 인근 시장을 중심으로 요동 관료 및 현지 상인과 다양한 교역을 진행하였다.
조선전기 대명사행의 구성원들은 명에서 교역할 수 있는 자격이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실제 이들이 활발하게 교역활동을 전개했다는 점에서, 사행구성원에 대한 연구는 조선 대명무역을 이해하는데 선행되어야 할 작업이다. 조선 전기 각종 자료를 통해 확인되는 사행 구성원은 15세기 전반 15명 정도였다가 점차 증가하여 16세기에는 35명 내외로 파견되었다.
使臣은 譯官, 庶子, 富商大賈를 자제 군관이라 칭하고 데려가 무역을 행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자제 군관이 17명인 사행도 있었다. 문관출신 習讀官도 중국어 가능자라는 점에서 무역 활동이 용이하였다. 醫員은 사행기간동안 사행원의 질병을 치료하고, 약재 공무역을 담당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약재 사무역에 접근하기 용이한 위치에 있었다. 통사는 약 10여 명이 파견되었으며, 중국어도 가능하고, 공무역이 담당 업무인데다, 사행 경험이 많아, 명내 정보와 시장 동향을 가장 잘 알고 있었으므로 무역 활동의 주요 세력이었다. 조선 전기 통사는 권신들의 사무역도 대행해주는 등 빠듯한 업무를 소화하면서 법망의 안과 밖을 아슬아슬하게 오고 가며 급변하는 국내외 사회변동 속에 전개되고 있던 사행무역의 주역을 담당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nvoys to Peking developed trade from a variety of places. There opened Hoidong-kwan market at Hoidong-kwan(accommodation for foreign envoy) in Peking where Joseon envoy stayed. And they developed trade in the market nearby Choyang gate & Jeongyan...
The envoys to Peking developed trade from a variety of places. There opened Hoidong-kwan market at Hoidong-kwan(accommodation for foreign envoy) in Peking where Joseon envoy stayed. And they developed trade in the market nearby Choyang gate & Jeongyang gate. Trade was engaged not only in Peking but also in the metropolitan cities including such middle stopover as Liaoyang where envoys passed through.
Various trade was processed at the Hoiwon-kwan, the accommodation of Joseon envoy, and Liadongsheng market in Liaoyang. The study on envoy members should be preceded for understanding the Joseon Trade against Ming Dynasty in that the members of envoys toward Mying Dynasty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were qualified to trade in the Ming, and they actually developed active commerce activities.
The envoy members who were confirmed to have been 15 persons through all kinds of materials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increased as more than 30 persons, which was extended to be more than 40 persons at the time of 16th century.
It is estimated that the entire scale might have been from 70 to 100 envoys including the attendants who cared for envoys. In case of envoys, interpreters, children of a concubine and merchants with lots of capital were called military officers of self-control, and taken to trade in the vast majority of cases, while some public officers had no difficulty in trading activities because they were good at Chinese. Doctors of clinic were in charge of curing envoys` disease and public trade of medical stuff for the period of envoy, and in the process of this, they were in the position of approaching the private trade of medical stuff. About 10 translators were dispatched and they were able to speak Chinese with lots of experiences of envoy, being well-versed in the information & market trend in Ming, which meant that they were the main powers of trade activit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남의현, "遼東都司 對外膨脹의 限界에 대한 考察 ― 山東에 대한 依存性과 對外進出의 限界性을 중심으로 ―" 명청사학회 (27) : 67-99, 2007
2 "遼東志"
3 구도영, "조선 초기 對明貿易體制의 성립과 운영" 한국사학회 (109) : 85-140, 2013
4 백옥경, "조선 전기의 使行 密貿易 硏究- 赴京使行을 중심으로 -" 역사문화연구소 (25) : 3-, 2006
5 구도영, "조선 전기 對明 陸路使行의 형태와 실상" 진단학회 (117) : 59-97, 2013
6 정혜중, "조선 선비의 청국 수도 北京見聞―김창업의 『稼齋燕行錄』을 중심으로―" 명청사학회 (23) : 33-66, 2005
7 김문식, "열린 텍스트로서의 연해록 읽기" 2 : 2008
8 남의현, "명대요동지배정책연구" 강원대출판부 2008
9 "鶴峯逸稿"
10 강신항, "韓國의 譯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 남의현, "遼東都司 對外膨脹의 限界에 대한 考察 ― 山東에 대한 依存性과 對外進出의 限界性을 중심으로 ―" 명청사학회 (27) : 67-99, 2007
2 "遼東志"
3 구도영, "조선 초기 對明貿易體制의 성립과 운영" 한국사학회 (109) : 85-140, 2013
4 백옥경, "조선 전기의 使行 密貿易 硏究- 赴京使行을 중심으로 -" 역사문화연구소 (25) : 3-, 2006
5 구도영, "조선 전기 對明 陸路使行의 형태와 실상" 진단학회 (117) : 59-97, 2013
6 정혜중, "조선 선비의 청국 수도 北京見聞―김창업의 『稼齋燕行錄』을 중심으로―" 명청사학회 (23) : 33-66, 2005
7 김문식, "열린 텍스트로서의 연해록 읽기" 2 : 2008
8 남의현, "명대요동지배정책연구" 강원대출판부 2008
9 "鶴峯逸稿"
10 강신항, "韓國의 譯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1 "陽谷集"
12 "陽谷赴京日記"
13 "重峯集"
14 "通文館志"
15 魏华仙, "论明代会同馆与对外朝贡贸易" (3) : 2000
16 "虛白先生續集"
17 "葆眞堂燕行日記"
18 "荷谷集"
19 "臨淵齋集"
20 "經國大典"
21 "簡易集"
22 "眉巖日記草"
23 정은주, "燕行에서 中國 書畵 流入 경로" 명청사학회 (38) : 319-352, 2012
24 강동엽, "燕行使와 會同館" 한국비교문학회 (41) : 347-374, 2007
25 "燕京行錄"
26 "檜山集"
27 "東湘集"
28 "朝鮮王朝實錄"
29 김경록, "朝鮮時代 朝貢體制와 對中國 使行" 명청사학회 (30) : 91-128, 2008
30 김경록, "朝鮮時代 使行과 使行記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8) : 193-230, 2006
31 박평식, "朝鮮初期의 對外貿易政策" 한국사연구회 (125) : 71-118, 2004
32 김경록, "朝鮮初期 對明外交와 外交節次" (44) : 2000
33 李云泉, "朝貢制度史論" 新華出版社 2004
34 王 静, "明朝会同馆论考" 12 (12): 2002
35 张云飞, "明朝会同馆研究" 陜西師範大學校 2012
36 王建峰, "明朝“提督会同馆主事”设置探微" 34 (34): 2006
37 "明實錄"
38 서인범, "明初의 衛所制에 대하여" (39) : 1999
39 王 丹, "明代對外貿易管理機構的變遷及影响" 南昌大學校 2008
40 王建峰, "明代会同馆职能考述" 34 (34): 2006
41 王建峰, "明代会同馆管理人员及其职掌考述" 18 (18): 2005
42 윤정분, "明代 軍戶制와 衛所制에 대하여" (43) : 1984
43 "大明會典"
44 "大明律"
45 "大典後續錄"
46 "北京都城三街六市五壇八廟全圖"
47 "冲齋集"
48 "全遼志"
49 陈彝秋, "从朝鲜使臣的中国行纪看明代中后期的玉河馆—以会同馆提督官为中心" (3) : 2014
50 "三灘集"
호랑이 설화의 문학치료학적 해석을 통한 제3자(방관자)의 학교폭력예방교육 사례 연구
Language Learner’s Identity and Language Investment
Korea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native and non-native English teachers` class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4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 | 0.80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