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복지권의 성격과 증진 방안연구 = A Study of the Nature and Promoting Youth Welfare Righ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202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lfare rights for Youth is one of the social rights. Compared with adults it youth welfare rights very important, but it is a weak situation for discussion. Youth Welfare Rights are comprehensive futuristic outlook, along with the current of the state and society in that it must be a real and right to intimate life right now, as well as laws and institutions also. This study will first clarify the nature and character of the provisions youth welfare rights as social rights to organize and proposes measures to promote and improve the welfare rights of youth based on it. Accordingly, this research are: 1) exam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youth welfare rights in the extension of the child welfare rights 2) youth welfare rights derive the content and type to be discussed and put an orientation to pursue this, and 3) in the scope of welfare, they discussed youth``s welfare rights, and suggested an alternative to promote their welfare rights as follows: The first, a welfare rights education for the correct youth welfare rights improved. The second is the expansion of the youth rights as the future goes beyond individual rights and social rights. The third is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welfare programs. The fourth is youth welfare rights should be enact an ordinance for each autonomous region.
      번역하기

      Welfare rights for Youth is one of the social rights. Compared with adults it youth welfare rights very important, but it is a weak situation for discussion. Youth Welfare Rights are comprehensive futuristic outlook, along with the current of the stat...

      Welfare rights for Youth is one of the social rights. Compared with adults it youth welfare rights very important, but it is a weak situation for discussion. Youth Welfare Rights are comprehensive futuristic outlook, along with the current of the state and society in that it must be a real and right to intimate life right now, as well as laws and institutions also. This study will first clarify the nature and character of the provisions youth welfare rights as social rights to organize and proposes measures to promote and improve the welfare rights of youth based on it. Accordingly, this research are: 1) examine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youth welfare rights in the extension of the child welfare rights 2) youth welfare rights derive the content and type to be discussed and put an orientation to pursue this, and 3) in the scope of welfare, they discussed youth``s welfare rights, and suggested an alternative to promote their welfare rights as follows: The first, a welfare rights education for the correct youth welfare rights improved. The second is the expansion of the youth rights as the future goes beyond individual rights and social rights. The third is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welfare programs. The fourth is youth welfare rights should be enact an ordinance for each autonomous reg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미, "후기청소년의 생활양식과 인권의식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173-193, 2014

      2 김경준,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IV: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3 김영지,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Ⅲ"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4 김영숙, "청소년의 상징적 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4 (14): 277-292, 2005

      5 노 혁, "청소년복지론" 교육과학사 2010

      6 박명숙, "청소년 소비자의 돈에 대한 태도와 과시소비성향이 비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3 (23): 509-522, 2012

      7 황혜자, "청소년 소비문화에 관한 조사연구" 8 : 211-232, 2003

      8 김윤나, "인권관점에 기반한 청소년기본법의 한계와 재조명"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5 (5): 29-45, 2012

      9 이혜원, "인권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2005

      10 여지영, "인권과 사회복지실천" 인간과복지 2001

      1 김상미, "후기청소년의 생활양식과 인권의식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6 (16): 173-193, 2014

      2 김경준,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IV: 총괄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3 김영지,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Ⅲ"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4 김영숙, "청소년의 상징적 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4 (14): 277-292, 2005

      5 노 혁, "청소년복지론" 교육과학사 2010

      6 박명숙, "청소년 소비자의 돈에 대한 태도와 과시소비성향이 비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3 (23): 509-522, 2012

      7 황혜자, "청소년 소비문화에 관한 조사연구" 8 : 211-232, 2003

      8 김윤나, "인권관점에 기반한 청소년기본법의 한계와 재조명" 한국 법과인권교육학회 5 (5): 29-45, 2012

      9 이혜원, "인권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2005

      10 여지영, "인권과 사회복지실천" 인간과복지 2001

      11 이봉철, "인권, 청소년, 그리고 청소년권" 한국청소년개발원 2 (2): 5-29, 1992

      12 류은숙, "어린이․청소년의 권리 연대회의, 아이들의 인권, 세계의 약속" 내일을 여는 책 25-99, 1997

      13 문지영, "아동의 탄생" 새물결출판사 2003

      14 공계순, "아동복지론" 학지사 2013

      15 정익중, "아동복지론" 학지사 2013

      16 박한비, "아동권리협약과 관련한 아동의 인권상황 및 문제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17 노혜련, "아동권리국제협약 및 세계정상행동계획의 국내 이행상황에 관한 연구-민간단체의 관점을 중심으로" 166-181, 1993

      18 송주미, "아동과 청소년의 권리보호를 위한 국가이념의 방향과 과제- 역사적 고찰을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학회 10 (10): 171-194, 2003

      19 박영균, "아동ㆍ청소년 영향평가제도 도입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4

      20 Turner, B. S., "시민권과 자본주의" 일신사 1997

      21 이준일, "사회복지법제에서 헌법의 역할" 2 : 55-70, 2011

      22 노 혁, "빈곤청소년의 복지권 조명과 사회복지실천 과제" 12 : 209-231, 2007

      23 안치민, "복지권의 구성과 성격" 한국사회복지학회 55 : 5-25, 2003

      24 서우석, "문화적 박탈감을 통해 살펴본 문화복지 대상 범위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7 (27): 165-197, 2013

      25 서우석, "문화여가활동이 경제적 빈곤층의 행복과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9 (29): 266-297, 2015

      26 윤찬영, "기본적 인권으로서 복지권의 이해" 79 : 4-7, 2005

      27 "국가인권위원회"

      28 柏女峰, "兒童福祉近未來" ミネルバア書房 2012

      29 Cavalli, A., "Youth in Europe" Pinter 1995

      30 Gillis, J. R., "Youth and History" Academic Press 1981

      31 Dean, H, "Welfare, Law and Citizenship" Prentice Hall 1996

      32 United Nations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UNCRC), "Treaty-specific guidelines regarding the form and content of periodic reports to be submitted by States parties under article 44, paragraph 1(b),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CRC/C/58/Rev.3)" UN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2015

      33 Mishra, R., "Society and Social Policy: Theories and Practice of Welfare" Macmillan Press 1981

      34 Narveson, J., "Property and Rights" 27 (27): 101-134, 2010

      35 Bateman, N., "Practising Welfare Rights" Routledge 2006

      36 Narveson, J., "Liberty, Property, and Welfare Rights" 5 (5): 173-194, 2013

      37 Serge-Christophe Kolm, "Justice and Equity" MIT Press 2000

      38 Hohfel d, W., "Fundamental legal conceptions" greenwood press 1978

      39 Crosson-Tower, C., "Exploring Child Welfare: A Practice Perspective" Allyn & Bacon 2008

      40 Chapman, M. V., "Children’s Voices : The perceptions of children in foster care" 74 (74): 293-304, 2004

      41 Archard, D., "Children-Rights and childhood" Routledge 1993

      42 Sachiko, B., "Child Welfare and Development(A Japanese Case Study)" Cambridge 2012

      43 Bruce, M., "Child Welfare and Child Well-being -A Perspectives from the National Survey of Child and Adolescent Well-"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51 2.51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84 2.89 3.162 0.4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