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ublic Domain의 새로운 이해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647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적재산권 분야에서 public domain이란 권리자에 의한 독점이 인정되지 않고 사회구성원 모두가 이용 가능한 지적 재산을 일컫는 개념이다. 종전까지 public domain이라는 개념은 법에 의하여 보...

      지적재산권 분야에서 public domain이란 권리자에 의한 독점이 인정되지 않고 사회구성원 모두가 이용 가능한 지적 재산을 일컫는 개념이다. 종전까지 public domain이라는 개념은 법에 의하여 보호받지 못하는 지적재산을 일컫는 소극적 의미로만 사용되었다. 법에 의하여 보호받는 지적재산은 private domain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지적재산은 public domain으로 구분하여 왔다. 과거 지적재산권이 보호되지 않던 시대에 있어서는 공개된 모든 정보는 public domain의 영역에 있었다. 그러나 지적재산권이라는 개념이 생겨나고 개인의 저술이나 발명이 권리로서 보호되기 시작하자 비로소 private domain의 영역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생겨난 private domain은 지적재산권의 역사와 함께 그 영역을 확장하여 왔는데, 특히 최근 20년간 과거에 public domain의 영역에 속해 있던 지적재산들, 예컨대 비즈니스모델, 데이터베이스 등이 급격히 private domain 영역으로 흡수되는 현상이 목격되고 있다. 지적재산권을 전문으로 하는 대부분의 학자나 실무가들은 이와 같은 지적재산권의 보호범위 확대가 사회의 발전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저작자나 발명가와 같은 지적재산권자에게 새로운 지적 창조를 자극하기 위한 충분한 보상이 제공되어야 하고 그것이 종국적으로는 우리 사회의 발전을 위하는 것이라는 논리의 연장선상에 있는 것이다. 그러나 과연 public domain의 영역을 점점 축소해 나가는 것이 우리 사회의 발전이라고 단언할 수 있는 것일까? 이 글에서는 pubic domain의 개념을 재고해 보고, 과연 그 영역이 “가치 없는 지적 폐기물을 버리는 가상의 폐기물 처리장인가 아니면모든 새로운 창조를 위한 샘물인가”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소위 제2차 인클로저 운동으로 비유되는 디지
      털시대의 지적재산권의 확대 및 강화로 인한 public domain^ 위기 문제를 논의하여 보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the public domain is a concept indicat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which is not owned by a right holder in a monopolistic way and subject to a free public use. In the past, the public domain is a negative concept tha...

      In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the public domain is a concept indicat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which is not owned by a right holder in a monopolistic way and subject to a free public use. In the past, the public domain is a negative concept that something is not protectable or protected under the law. There has been a distinction between the public domain which is not protected under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and the private domain which is protected under the law. In those days when the intellectual property was not protected, all the information published was in the public domain. The private domain was recognized only after the concept of intellectual property was formed and a person’s writing and invention started to be protected as a kind of new right. The private domain has been expanded ever since it was recognized. Especially in this past 20 years the intellectual properties which were in the public domain such as a data base and a business model have been radically absorbed into the private domain. Many o f scholars and practitioners specialized in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believe that the expansion of protected intellectual property is a symbol o f the advanced society. It is on the same line o f logics that a full compensation should be provided to a writer or creator to stimulate a new writing or invention, which brings a benefit to all the members o f our society. However, is it really true that the continuing shrink of the public domain will produce more social benefits? In this article, I like to reconsider the concept o f the public domain whether it is a “a virtual wasteland o f undeserving detritus or the font of all new creation.” I will also review the possible threat to the public domain by the recent protection of the digital copyright, which could be called as “ the Second Enclosure Move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 II. Public Domain의 새로운 발견
      • III. 우리나라 저작권법상의 Public Domain의 범위
      • IV. 우리 저작권법에 있어서 Public Domain의 영역 축소
      • V. 결 론
      • I. 서 론
      • II. Public Domain의 새로운 발견
      • III. 우리나라 저작권법상의 Public Domain의 범위
      • IV. 우리 저작권법에 있어서 Public Domain의 영역 축소
      • V. 결 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