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필름과 BIS 영상장치를 이용한 광/방사선조사야 일치성 비교평가 = A Comparison of coincidence between the Light field & the Radiation field using film and B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948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선형가속기의 정도관리 항목 중 광조사야와 방사선조사야의 일치성 검사는 기존에 필름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하지만 필름을 이용한 측정은 측정관찰자에 따라 오차가 크게 발생...

      목적 : 선형가속기의 정도관리 항목 중 광조사야와 방사선조사야의 일치성 검사는 기존에 필름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하지만 필름을 이용한 측정은 측정관찰자에 따라 오차가 크게 발생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해 BIS(Beam Image System) 영상장치를 이용하여 필름과 조사야 일치성을 비교평가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선형가속기를 이용하여 필름과 BIS 영상장치에 6, 15MV의 광자선을 조사하여 측정하였다. 조사야는 각각 $50{\times}50,\;100{\times}100,\;200{\times}200mm^2$지었고, 갠트리 각도는 필름을 사용시 $0^{\circ}$에서 측정하였고, BIS 영상장치를 사용시에는 $0^{\circ}$와 $270^{\circ}$에서 측정하였다. 그리고 조사야 일치성 측정은 필름을 사용시 눈금자와 필름 스캐너를 이용하였고, BIS 영상장치에서는 스캔된 광조사야와 방사선조사야의 폭을 X축과 Y축으로 각각 측정하여 그 오차값을 구하였다. 결과 : 필름을 이용한 관찰자의 시각적인 측정에서는 광조사야보다 방사선조사야가 더 크게 측정되었으며, 최대 1.9mm의 오차값을 보였다. 필름 스캐너를 이용한 측정에서도 방사선조사야가 더 크게 측정되었으며, 평균 오차값의 크기는 더 작은 값을 보였다. BIS 영상장치를 이용한 측정에서는 필름 사용시와는 반대로 갠트리 $0^{\circ}$와 $270^{\circ}$에서 광조사야가 방사선조사야보다 더 크게 측정되었고, 최대 0.96mm의 오차값을 보였다. ${\Delta}X$, Y축 모두 허용오차의 범위는 $<{\pm}2mm$로 나타났다. 측정된 평균 ${\Delta}X$, Y 오차값은 시각적인 필름측정, 필름스캐너 측정, BIS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의 측정결과, 필름을 이용한 시각적인 조사야 일치성 평가시에는 관찰자에 따른 측정오차의 값이 크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정도관리를 위해서는 세심한 주의로 측정할 것과 필요하다면 다른 영상장치의 도움이나 측정도구의 개발로 정확한 측정이 필요하다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 Film has been the primary tool in coincidence testing between the light field and the radiation field, which constitutes the quality assurance list of a linear accelerator. But there is a great chance of errors being different among the obse...

      Purpose : Film has been the primary tool in coincidence testing between the light field and the radiation field, which constitutes the quality assurance list of a linear accelerator. But there is a great chance of errors being different among the observer when using film. Thus this study set out to use the BIS(Beam Image System) in addition to film in comparing and evaluating coincidence results between the two fields and in searching for the improvement measures. Materials & Methods : Photon beam of 6 and 15MV was exposed to film and the BIS using a linear accelerator. The light and radiation fields were each $50{\times}50,\;100{\times}100,\;and\;200{\times}200mm^2$. The gantry angle was $0^{\circ}$ when using film and $0^{\circ}\;and\;270^{\circ}$ when using the BIS. The devices adopted to test coincidence between the two fields were a ruler and film scanner when using film. With the BIS, the width of the scanned light and radiation fields was measured for errors with setting the X and Y axis. Results : The visual measurements of the observer with film resulted that the radiation field was bigger than the light field and that their maximum error was 1.9mm. The results were the same with the measurements using the film scanner except for the average error, which was less than 1.9mm. On the contrary, the measurements using the BIS showed that the light field was bigger than the radiation field at the gantry angle of $0^{\circ}\;and\;270^{\circ}$. The maximum error was 0.96mm, and the error range was $<{\pm}2mm$ both in the X and Y axis. The average error of ${\Delta}X$, Y was the smallest in the order of the visual film measurements, film scanner measurements, and BIS measurements Conclusion . This requires a careful measurement for accurate quality assurance since errors are much different according to each observer that tests coincidence between visual fields with film. And an observer needs to use another image device or develop a measuring device of his own if it seems necessary for accurate measurement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