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패션브랜드 신뢰가 충성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브랜드 인지정도의 조절효과 = Verifying the Regulation Effects of Brand Recognition and the Effects of Fashion Brand Trust on Loyalty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2498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ust of fashion brands and loyalty behavior,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importance of brand trust and verifi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brand recognition. The subjects surveyed were consumers that have experience in purchasing clothing goods and the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5th 2020 to July 30th 2020. As a result, the data from 288 surveys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SPSS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tilized.
      The trust for fashion brands were classified into expertise, favorableness and honesty.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pertis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financial loyalty behavior while the favorableness displayed significant influential relationship in financial loyalty behavior and social loyalty behavior.
      Additionally, honesty did not show any influential relationship.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gulation effects of brand trust, it was found that expertise and honesty appeared to display control action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loyalty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n effective direction to stably construct relationship with the customer through trust in fashion brands within this rapidly changing and competitive environment.
      번역하기

      As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ust of fashion brands and loyalty behavior,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importance of brand trust and verifi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brand recognition. The subjects surveyed were consumers that h...

      As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ust of fashion brands and loyalty behavior, this research looked into the importance of brand trust and verifi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brand recognition. The subjects surveyed were consumers that have experience in purchasing clothing goods and the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15th 2020 to July 30th 2020. As a result, the data from 288 surveys were used for analysis and the SPSS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tilized.
      The trust for fashion brands were classified into expertise, favorableness and honesty.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pertis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financial loyalty behavior while the favorableness displayed significant influential relationship in financial loyalty behavior and social loyalty behavior.
      Additionally, honesty did not show any influential relationship.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gulation effects of brand trust, it was found that expertise and honesty appeared to display control action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loyalty behavio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an effective direction to stably construct relationship with the customer through trust in fashion brands within this rapidly changing and competitive environ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패션 브랜드에 대한 신뢰가 소비자 충성행동으로 이어지는 관계에 관한 연구로 브랜드 신뢰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브랜드 인지 정도에 따른 차이점을 검증하였다. 설문대상은 의류제품 구입경험이 있는 소비자이며, 2020년 7월 15일부터 2020년 7월 3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총 288부의 응답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21.0 통계패키지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패션 브랜드 신뢰는 전문성, 호의성, 정직성으로 구분하였으며, 분석결과 전문성은 경제적 충성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정직성은 경제적 충성 행동과 사회적 충성 행동에 유의한영향 관계를 보였다. 호의성은 영향 관계가 나타나지않았다. 브랜드 인지 정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해 본결과 전문성과 정직성은 사회적 충성 행동 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경쟁환경 속에서 패션 브랜드에대한 신뢰를 통해 고객과의 관계를 안정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패션 브랜드에 대한 신뢰가 소비자 충성행동으로 이어지는 관계에 관한 연구로 브랜드 신뢰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브랜드 인지 정도에 따른 차이점을 검증하였다. 설문대상은 의...

      본 연구는 패션 브랜드에 대한 신뢰가 소비자 충성행동으로 이어지는 관계에 관한 연구로 브랜드 신뢰의 중요성을 알아보고 브랜드 인지 정도에 따른 차이점을 검증하였다. 설문대상은 의류제품 구입경험이 있는 소비자이며, 2020년 7월 15일부터 2020년 7월 30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총 288부의 응답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SPSS 21.0 통계패키지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패션 브랜드 신뢰는 전문성, 호의성, 정직성으로 구분하였으며, 분석결과 전문성은 경제적 충성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정직성은 경제적 충성 행동과 사회적 충성 행동에 유의한영향 관계를 보였다. 호의성은 영향 관계가 나타나지않았다. 브랜드 인지 정도의 조절 효과를 검증해 본결과 전문성과 정직성은 사회적 충성 행동 간의 영향관계에서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경쟁환경 속에서 패션 브랜드에대한 신뢰를 통해 고객과의 관계를 안정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철재, "패션의류점 이미지가 재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친숙성 상호작용 효과"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57) : 19-30, 2017

      2 이정미, "캐주얼 의류 브랜드들의 브랜드 개성과 브랜드 선호도 간의 관계 - 국내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 한국의류산업학회 18 (18): 167-175, 2016

      3 정혜정, "아웃도어 의류브랜드에 대한 관계혜택지각이 브랜드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7 (17): 225-240, 2015

      4 이영희, "소비자신뢰와 구매단계별 식품안전추구행동에 대한 연구" 한국소비문화학회 14 (14): 5-26, 2011

      5 김재일,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정성적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6 (6): 27-58, 2004

      6 한은경, "브랜드 자산평가를 위한 감성 및 관계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14 (14): 37-66, 2003

      7 최순화, "브랜드 신뢰가 소비자-브랜드 몰입 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19 (19): 75-96, 2008

      8 최순화, "브랜드 신뢰 요인이 소비자의 경제적, 사회적 충성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정직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문화학회 15 (15): 171-188, 2012

      9 이한준,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제품 및 기업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24 (24): 231-250, 2009

      10 류춘렬, "기업 이미지가 브랜드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재벌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5 (5): 146-169, 2003

      1 최철재, "패션의류점 이미지가 재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친숙성 상호작용 효과"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57) : 19-30, 2017

      2 이정미, "캐주얼 의류 브랜드들의 브랜드 개성과 브랜드 선호도 간의 관계 - 국내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 한국의류산업학회 18 (18): 167-175, 2016

      3 정혜정, "아웃도어 의류브랜드에 대한 관계혜택지각이 브랜드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7 (17): 225-240, 2015

      4 이영희, "소비자신뢰와 구매단계별 식품안전추구행동에 대한 연구" 한국소비문화학회 14 (14): 5-26, 2011

      5 김재일,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충성도에 관한 정성적 연구" 한국마케팅학회 6 (6): 27-58, 2004

      6 한은경, "브랜드 자산평가를 위한 감성 및 관계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14 (14): 37-66, 2003

      7 최순화, "브랜드 신뢰가 소비자-브랜드 몰입 관계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학회 19 (19): 75-96, 2008

      8 최순화, "브랜드 신뢰 요인이 소비자의 경제적, 사회적 충성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정직성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문화학회 15 (15): 171-188, 2012

      9 이한준,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제품 및 기업평가에 미치는 영향: 신뢰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한국마케팅학회 24 (24): 231-250, 2009

      10 류춘렬, "기업 이미지가 브랜드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재벌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5 (5): 146-169, 2003

      11 Aaker J., "When Good Brands do Bad" 31 : 2004

      12 Aaker D. A., "The Value of Brand Equity" 13 (13): 1992

      13 Kang Hye-Sun, "The Relationship of Brand Recognition, Image and Loyalty: Focused on Coffee Houses" Jeju University 2012

      14 Keller K. L., "The Effects of Sequential Introduction of Brand Extension" 2 : 1992

      15 Lee Hwa-Yeon, "The Effect of Brand Trust on Perceived Quality and Purchase Intention of Private Brand Product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Sejong University 2016

      16 Morgan M. R., "The Commitment-Trust Theoryof Relation Marketing" 58 (58): 1994

      17 Chaudhuri A., "The Chain of Effects from Brand Trust and Brand Affect to Brand Performance: The Role of Brand Loyalty" 65 (65): 2001

      18 Keller K. L., "Strategic Brand Management: Building, Measuring and Managing Brand Equity" Prentice Hall 2002

      19 Chiou J. S., "Service Quality, Trust, Specific Asset Investment, and Expertis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in a Satisfaction-Loyalty Framework" 34 (34): 2006

      20 Story J., "Segmenting Customer-brand Relations: Beyond the Personal Relationship Metaphor" 23 (23): 2006

      21 Dwyer F. R., "On the Nature and Role of Buyer-seller Trust"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1986

      22 Kim H. K., "Developing a Scale for Measuring Brand Relationship Quality" 6 : 2005

      23 Dwyer F. R., "Developing Buyer-Seller Relationship" 51 (51): 1987

      24 Ganesan S., "Determinants of Long-term Orientation in Buyer-seller Relationships" 59 (59): 1994

      25 Kharouf H., "Building Trust by Signaling Trustworthiness in Service Retail" 28 (28): 2014

      26 Park C. W., "Brand Attachment and Brand Attitude Strength: Conceptual and Empirical Differentiation of Two Critical Brand Equity Drivers" 74 (74): 2010

      27 Mayer R. C.,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20 (20): 1995

      28 Fuoli M., "A Model of Trust-repair Discourse" 74 : 2014

      29 이민선, "20∼30대 여성소비자의 쇼핑성향 및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외국형과 한국형 SPA 브랜드 비교연구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13 (13): 51-62, 2015

      30 Park Sung-Eun, "(The) Effect of Brand Loyalty Corresponding with the Individuality of Fashionable Luxury Brands with Consumer Self-image: Centrically the Attitude on Product and Control Effect of Eelf-monitoring" Sung Kyun Kwan University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5 0.73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