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립공원 집단시설지구 자연경관관리를 위한 층고규제 합리화 방안 = A Study Identifying Improved Building Height Regulations for Managing Natural Landscape in Collective Facility Districts in and around National Par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77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립공원 내부 혹은 경계에 연접하고 있는 집단시설지구 내의 건축물 층고 규제 기준을 정량화 된 합리적 높이 기준으로 개선하는데 목표를 두고 진행되었다. 전국 국립공원의 집단시설지구 건축물의 높이를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주요 조망점으로부터 건축물 상단을 지나는 조망선이 배후산지의 몇 부 능선까지 도달하는지를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분석 결과로 내륙의 산악형 국립공원 내부 혹은 경계에 입지하는 시설지구와 배후 산지가 있는 해안형 국립공원내의 시설지구의 경우, 3부 능선 보전을 목표로 하게 될 때 최대 허용 건축물 높이를 8.82m로 산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층수로 환산하면 3~3.5층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건축물 최대 허용 높이를 규정하는 것으로 랏지, 코티지 등을 제외한 호텔 등의 숙박시설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해안해상형 중에서 배후 산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별도의 기준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모든 집단시설지구에 동등한 일률적 기준을 적용하게 되면 지역 특성을 고려한 경관관리가 어렵다는 점과 조망점의 위치, 조망점 선정방법의 차이, 조망각도 차이 등의 변수에 따라 기준 적용 편차가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향후 높이규정과 함께 각 지구별 경관계획에 의해 해당 지구의 자연환경에 적합한 차별화된 경관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립공원 내부 혹은 경계에 연접하고 있는 집단시설지구 내의 건축물 층고 규제 기준을 정량화 된 합리적 높이 기준으로 개선하는데 목표를 두고 진행되었다. 전국 국립공원의 집...

      본 연구는 국립공원 내부 혹은 경계에 연접하고 있는 집단시설지구 내의 건축물 층고 규제 기준을 정량화 된 합리적 높이 기준으로 개선하는데 목표를 두고 진행되었다. 전국 국립공원의 집단시설지구 건축물의 높이를 시뮬레이션함으로써 주요 조망점으로부터 건축물 상단을 지나는 조망선이 배후산지의 몇 부 능선까지 도달하는지를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분석 결과로 내륙의 산악형 국립공원 내부 혹은 경계에 입지하는 시설지구와 배후 산지가 있는 해안형 국립공원내의 시설지구의 경우, 3부 능선 보전을 목표로 하게 될 때 최대 허용 건축물 높이를 8.82m로 산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층수로 환산하면 3~3.5층 정도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건축물 최대 허용 높이를 규정하는 것으로 랏지, 코티지 등을 제외한 호텔 등의 숙박시설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해안해상형 중에서 배후 산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별도의 기준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모든 집단시설지구에 동등한 일률적 기준을 적용하게 되면 지역 특성을 고려한 경관관리가 어렵다는 점과 조망점의 위치, 조망점 선정방법의 차이, 조망각도 차이 등의 변수에 따라 기준 적용 편차가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야 한다. 향후 높이규정과 함께 각 지구별 경관계획에 의해 해당 지구의 자연환경에 적합한 차별화된 경관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목정훈, "한국 도시의 조망경관 관리를 위한 미국 도시 조명경관 관리기법 사례연구" 한국조경학회 33 (33): 58-70, 2005

      2 이채성, "주요 산 주변 조망경관 보전계획" 서울특별시 2003

      3 장인영, "조망 및 지형특성에 따른 경관고도 도출과 적용 방안 - 북한산 국립공원 인근의 최고고도지구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39 (39): 35-45, 2011

      4 日本自然環境環境影響評価研究会, "자연환경영향평가 기술매뉴얼" 자연보전국 1995

      5 환경부, "자연자원과 내부 통계자료"

      6 송인주, "자연경관영향 평가기법 및 자연경관심의제 운영매뉴얼 개발" 환경부 2007

      7 최재용, "자연경관보전․관리를 위한 제도운영방안 연구" 환경부 2004

      8 양병이, "우면산 경관시뮬레이션" 서울특별시 2001

      9 이규목, "서울의 주요산 경관풍치 보전계획" 서울특별시 2000

      10 이정형, "미국에서의 조망경관시책의 유형과 운용수법에 관한 연구" 18 (18): 165-167, 1998

      1 목정훈, "한국 도시의 조망경관 관리를 위한 미국 도시 조명경관 관리기법 사례연구" 한국조경학회 33 (33): 58-70, 2005

      2 이채성, "주요 산 주변 조망경관 보전계획" 서울특별시 2003

      3 장인영, "조망 및 지형특성에 따른 경관고도 도출과 적용 방안 - 북한산 국립공원 인근의 최고고도지구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39 (39): 35-45, 2011

      4 日本自然環境環境影響評価研究会, "자연환경영향평가 기술매뉴얼" 자연보전국 1995

      5 환경부, "자연자원과 내부 통계자료"

      6 송인주, "자연경관영향 평가기법 및 자연경관심의제 운영매뉴얼 개발" 환경부 2007

      7 최재용, "자연경관보전․관리를 위한 제도운영방안 연구" 환경부 2004

      8 양병이, "우면산 경관시뮬레이션" 서울특별시 2001

      9 이규목, "서울의 주요산 경관풍치 보전계획" 서울특별시 2000

      10 이정형, "미국에서의 조망경관시책의 유형과 운용수법에 관한 연구" 18 (18): 165-167, 1998

      11 구자훈, "도시조망권과 경관관리: 외국 도시의 조망권 확보 사례" 36 (36): 34-48, 2001

      12 변병설, "경관평가기법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0

      13 "日本 自然公園法 施行規則"

      14 "日本 自然公園法 施行令"

      15 "日本 自然公園法"

      16 "日本 国立公園 集團施設地區 等 管理規則"

      17 "日本 国立公園 計劃作成要領"

      18 City and County of Denver, "Washington Park View Plane" 2001

      19 Planning Department, Hong Kong SAR Government, "Urban Design Guildelines for Hong Kong"

      20 Parsons, R., "The potential influences on environmental perception on human health" 11 : 1-23, 1991

      21 City and County of Denver, "The Denver View Plane Ordinance, Article 4. Restrictions on Structures Within Areas Necessary to Preserve Mountain Views" 2001

      22 City and County of Denver, "Southmoor Park View Plane" 2001

      23 City and County of Denver, "Ruby Hill View Plane" 2001

      24 Dearden, P., "Philosophy, theory, and method in landscape evaluation" 29 : 263-265, 1985

      25 Ente Parco nazionale del Vesuvio, "Le fonti normative e i regolamenti dell'Ente Parco nazionale del Vesuvio"

      26 "Laguna Beach Municipal Code. Title 25 Zoning, 35 Specific Plan, 100 Building Heigh"

      27 Parks Canada, "Jasper Community Substantiality Plan" 2010

      28 City of Laguna Beach, "Diamond/Crestview Specific Plan" 1999

      29 Parks Canada, "Banff National Park Management Plan"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