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산림녹지의 계획 및 관리를 위한 자연생태적 기능 평가 = An Evaluation of Natural-Ecological Function for Planning and Management on Fore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77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studies which assessed the function of forest are focused on usage of citizen, but studies which focused on natural-ecological function still lack.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and apply the evaluation indicators on natural-ecological function of forest as a base research for sustainable planing and management. First, the 35 indicators were selected by the review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56 literature. The 12 indicators among those were reselected as natural-ecological indicator by the first survey and 7 indicators such as green area, connectivity etc. were determined through MCB analysis by the second survey. Also, the weights of 7 indicators for the functional evaluation were computed using AHP analysis by the third survey. As aresult of AHP analysis, the naturality was showed the highest indicator by 0.189, while the NDVI was evaluated the lowest indicator by 0.063. According to the result of evaluating the natural-ecological function on forest in Daegu which was selected as suitable study area, the natural-ecological functions around the Mt. Ap and Mt. Chengryong, top of Mt. Biseul had more than 85 scores, so those were assessed as an excellent area. 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s around the western area of Mt. Waryong and Mt. Macheon, the Mt. Daeni of Dalseong-Gun had less than 50 scores, which means that the area had to be controled by sustainable management. Therefore, we will be able to utilize the basic data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at urban and environmental planning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번역하기

      Many studies which assessed the function of forest are focused on usage of citizen, but studies which focused on natural-ecological function still lack.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and apply the evaluation indicators on natural-ecolo...

      Many studies which assessed the function of forest are focused on usage of citizen, but studies which focused on natural-ecological function still lack.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and apply the evaluation indicators on natural-ecological function of forest as a base research for sustainable planing and management. First, the 35 indicators were selected by the review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56 literature. The 12 indicators among those were reselected as natural-ecological indicator by the first survey and 7 indicators such as green area, connectivity etc. were determined through MCB analysis by the second survey. Also, the weights of 7 indicators for the functional evaluation were computed using AHP analysis by the third survey. As aresult of AHP analysis, the naturality was showed the highest indicator by 0.189, while the NDVI was evaluated the lowest indicator by 0.063. According to the result of evaluating the natural-ecological function on forest in Daegu which was selected as suitable study area, the natural-ecological functions around the Mt. Ap and Mt. Chengryong, top of Mt. Biseul had more than 85 scores, so those were assessed as an excellent area. On the other hand, the functions around the western area of Mt. Waryong and Mt. Macheon, the Mt. Daeni of Dalseong-Gun had less than 50 scores, which means that the area had to be controled by sustainable management. Therefore, we will be able to utilize the basic data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at urban and environmental planning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윤, "픽셀 기반의 녹지 연계망 추적기법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2 유주한, "퍼지이론을 도입한 생태계 평가 지표 선정 및 우선순위 결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3 이종용, "토지적성평가에 있어서 종합적성값 산정과 적성등급 부여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한지리학회 40 (40): 27-46, 2005

      4 변병설,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녹지확보방안"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2002

      5 장갑수, "최근린 사상법을 활용한 금강서해유역 녹지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35 (35): 56-63, 2007

      6 김영표, "지형에 따른 정규식생지수 분포특성 연구" 12 (12): 47-54, 2008

      7 산림청,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지침"

      8 이우성, "지속가능한 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녹지환경 평가 및 계획방향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9 이원열, "자연휴양림 예정지 적지평가" 43 : 71-80, 1991

      10 김경하, "유역의 입지조건이 갈수기 저수량에 미치는 영향" 44 : 75-86, 1992

      1 이동윤, "픽셀 기반의 녹지 연계망 추적기법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2 유주한, "퍼지이론을 도입한 생태계 평가 지표 선정 및 우선순위 결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3 이종용, "토지적성평가에 있어서 종합적성값 산정과 적성등급 부여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한지리학회 40 (40): 27-46, 2005

      4 변병설,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녹지확보방안"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2002

      5 장갑수, "최근린 사상법을 활용한 금강서해유역 녹지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35 (35): 56-63, 2007

      6 김영표, "지형에 따른 정규식생지수 분포특성 연구" 12 (12): 47-54, 2008

      7 산림청,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지침"

      8 이우성, "지속가능한 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녹지환경 평가 및 계획방향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9 이원열, "자연휴양림 예정지 적지평가" 43 : 71-80, 1991

      10 김경하, "유역의 입지조건이 갈수기 저수량에 미치는 영향" 44 : 75-86, 1992

      11 최경, "산사태 발생 원인에 관한 연구" 29 : 1-37, 1982

      12 김형호,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GIS 응용모델의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 9 (9): 1-11, 2006

      13 이경학, "산림기능잠재력평가 및 분류시스템" 52 : 124-137, 1995

      14 강미희, "산림경관 등급화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한국임학회 99 (99): 777-784, 2010

      15 김정호, "비오톱 유형을 고려한 산림지역 생태계 평가기법 개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38-51, 2007

      16 환경부, "보전관리지역 등의 지정기준 및 협의방안에 관한 연구" 2002

      17 노태환, "도심 녹지축 기능 향상을 위한 식재설계기법 연구: 인천 중앙공원을 대상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18 김영인, "도시재생전략 수립을 위한 도시의 창조성 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 서울 및 6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71-84, 2009

      19 박창석, "도시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토지이용계획 연구" 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7

      20 환경부, "도시 지역의 자연환경성 확보방안연구" 2004

      21 박희권, "대전광역시 도시림 산림식생 분류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22 사공정희, "대도시의 경관생태적 녹지연계망 구축 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4

      23 김명수, "대도시 녹지 연결성과 생물이동성 평가기법 개발: 경관 생태학적 접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24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통계연보" 2009

      25 박경훈, "광역적 녹지계획 수립을 위한 도시열섬효과 분석" 2 (2): 35-45, 1999

      26 조현주, "경관생태계획 모형 및 적용기준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27 Gallo, K. P., "The use of a vegetation index for assessment of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14 (14): 2223-2230, 1993

      28 Bazzaz, F. A.,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plant succession" 10 : 351-371, 1979

      29 Landsberg, H. E., "The Urban Climate" Academic Press 1981

      30 Saaty, T. L.,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Hill 1980

      31 Forman, R. T. T., "Landscape Ecology" John Wiley and Sons 1986

      32 Riess, W., "Konzepte zum Biotopverbund im Arten-und Biotopschutz programm Bayern" 10 : 102-115, 1986

      33 Howard, T. E., "Japan's green resource: Forest conservation and social values" 16 : 421-430, 1999

      34 한수진, "GIS를 이용한 산림휴양기능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 9 (9): 13-19, 2006

      35 권순덕, "GIS를 이용한 산림기능구분에 관한 연구 - 춘양 국유림 산림경영계획구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 11 (11): 10-21, 2008

      36 정영관, "GIS기법을 이용한 산림의 다목적 기능 개발" 4 (4): 15-28, 1996

      37 서수현, "GIS 적용에 의한 산림기능평가: 전남대학교 장성연습림을 대상으로" 14 (14): 45-54, 2006

      38 Führer, E., "Forest functions, ecosystem stability and management" 132 : 29-38, 2000

      39 Richard, D., "FELSA-Tools ArcView Software Extension User Guide" North Country and Southern New Hampshire Resource Conversion and Development Area Councils 2001

      40 Millette, T. L., "Evaluating forestland uses: A GIS based model" 95 (95): 27-32, 1997

      41 Kuehl, R. O., "Design of Experiments: Statistical Principles of Research Sesign and Analysis" Duxbury/Thomson Learning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