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동윤, "픽셀 기반의 녹지 연계망 추적기법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2 유주한, "퍼지이론을 도입한 생태계 평가 지표 선정 및 우선순위 결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3 이종용, "토지적성평가에 있어서 종합적성값 산정과 적성등급 부여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한지리학회 40 (40): 27-46, 2005
4 변병설,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녹지확보방안"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2002
5 장갑수, "최근린 사상법을 활용한 금강서해유역 녹지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35 (35): 56-63, 2007
6 김영표, "지형에 따른 정규식생지수 분포특성 연구" 12 (12): 47-54, 2008
7 산림청,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지침"
8 이우성, "지속가능한 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녹지환경 평가 및 계획방향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9 이원열, "자연휴양림 예정지 적지평가" 43 : 71-80, 1991
10 김경하, "유역의 입지조건이 갈수기 저수량에 미치는 영향" 44 : 75-86, 1992
1 이동윤, "픽셀 기반의 녹지 연계망 추적기법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2 유주한, "퍼지이론을 도입한 생태계 평가 지표 선정 및 우선순위 결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3 이종용, "토지적성평가에 있어서 종합적성값 산정과 적성등급 부여방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대한지리학회 40 (40): 27-46, 2005
4 변병설, "쾌적한 도시환경을 위한 녹지확보방안"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2002
5 장갑수, "최근린 사상법을 활용한 금강서해유역 녹지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 35 (35): 56-63, 2007
6 김영표, "지형에 따른 정규식생지수 분포특성 연구" 12 (12): 47-54, 2008
7 산림청, "지속가능한 산림자원관리지침"
8 이우성, "지속가능한 도시공간 조성을 위한 녹지환경 평가 및 계획방향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9 이원열, "자연휴양림 예정지 적지평가" 43 : 71-80, 1991
10 김경하, "유역의 입지조건이 갈수기 저수량에 미치는 영향" 44 : 75-86, 1992
11 최경, "산사태 발생 원인에 관한 연구" 29 : 1-37, 1982
12 김형호, "산림기능평가를 위한 GIS 응용모델의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 9 (9): 1-11, 2006
13 이경학, "산림기능잠재력평가 및 분류시스템" 52 : 124-137, 1995
14 강미희, "산림경관 등급화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한국임학회 99 (99): 777-784, 2010
15 김정호, "비오톱 유형을 고려한 산림지역 생태계 평가기법 개발"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38-51, 2007
16 환경부, "보전관리지역 등의 지정기준 및 협의방안에 관한 연구" 2002
17 노태환, "도심 녹지축 기능 향상을 위한 식재설계기법 연구: 인천 중앙공원을 대상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18 김영인, "도시재생전략 수립을 위한 도시의 창조성 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 서울 및 6대 광역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4 (44): 71-84, 2009
19 박창석, "도시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토지이용계획 연구" 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7
20 환경부, "도시 지역의 자연환경성 확보방안연구" 2004
21 박희권, "대전광역시 도시림 산림식생 분류와 환경요인의 상관관계"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22 사공정희, "대도시의 경관생태적 녹지연계망 구축 방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4
23 김명수, "대도시 녹지 연결성과 생물이동성 평가기법 개발: 경관 생태학적 접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24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통계연보" 2009
25 박경훈, "광역적 녹지계획 수립을 위한 도시열섬효과 분석" 2 (2): 35-45, 1999
26 조현주, "경관생태계획 모형 및 적용기준 설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27 Gallo, K. P., "The use of a vegetation index for assessment of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14 (14): 2223-2230, 1993
28 Bazzaz, F. A.,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plant succession" 10 : 351-371, 1979
29 Landsberg, H. E., "The Urban Climate" Academic Press 1981
30 Saaty, T. L.,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Hill 1980
31 Forman, R. T. T., "Landscape Ecology" John Wiley and Sons 1986
32 Riess, W., "Konzepte zum Biotopverbund im Arten-und Biotopschutz programm Bayern" 10 : 102-115, 1986
33 Howard, T. E., "Japan's green resource: Forest conservation and social values" 16 : 421-430, 1999
34 한수진, "GIS를 이용한 산림휴양기능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 9 (9): 13-19, 2006
35 권순덕, "GIS를 이용한 산림기능구분에 관한 연구 - 춘양 국유림 산림경영계획구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 11 (11): 10-21, 2008
36 정영관, "GIS기법을 이용한 산림의 다목적 기능 개발" 4 (4): 15-28, 1996
37 서수현, "GIS 적용에 의한 산림기능평가: 전남대학교 장성연습림을 대상으로" 14 (14): 45-54, 2006
38 Führer, E., "Forest functions, ecosystem stability and management" 132 : 29-38, 2000
39 Richard, D., "FELSA-Tools ArcView Software Extension User Guide" North Country and Southern New Hampshire Resource Conversion and Development Area Councils 2001
40 Millette, T. L., "Evaluating forestland uses: A GIS based model" 95 (95): 27-32, 1997
41 Kuehl, R. O., "Design of Experiments: Statistical Principles of Research Sesign and Analysis" Duxbury/Thomson Learning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