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울시 도시환경정비사업 내 공개공지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egal Policies for Activating Public Open Space in Urban Environment Improving Project of Seoul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2677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istrict units planning suggests not only detailed standards of building as parts of the whole plan in the district but also a guideline of the arrangement, shape and pavement of the public open space, in order to move away from the rigid image of an institution which causes the formal creation of it. This triggered various problems. While the basic plan for adjustment of urban environments(established in 2005) was being reorganized in order to reflect changed conditions of the city center, the sector of public open space was subdivid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development by district.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ditions before and after the adjustment, so a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 reorganized institution is effective for the plan of public open spac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remarkable change between the basic plan and the reorganized institution in that items which were not an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building codes were established due to lack of guidelines related to public open space under the law of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al improvement. Low regulations should set up criteria for establishment from a concrete, effective microscopic aspect appropriate to the significance of public open space by the linking of public open spac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reas high regulations such as building codes should specify essential components.
      번역하기

      The district units planning suggests not only detailed standards of building as parts of the whole plan in the district but also a guideline of the arrangement, shape and pavement of the public open space, in order to move away from the rigid image of...

      The district units planning suggests not only detailed standards of building as parts of the whole plan in the district but also a guideline of the arrangement, shape and pavement of the public open space, in order to move away from the rigid image of an institution which causes the formal creation of it. This triggered various problems. While the basic plan for adjustment of urban environments(established in 2005) was being reorganized in order to reflect changed conditions of the city center, the sector of public open space was subdivide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development by district. We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f conditions before and after the adjustment, so a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 reorganized institution is effective for the plan of public open space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remarkable change between the basic plan and the reorganized institution in that items which were not an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building codes were established due to lack of guidelines related to public open space under the law of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al improvement. Low regulations should set up criteria for establishment from a concrete, effective microscopic aspect appropriate to the significance of public open space by the linking of public open space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reas high regulations such as building codes should specify essential compon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한, "지구단위계획구역내 공개공지의 지정실태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 역삼역 주변 지구단위계획구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2 이지영, "발언과 논평 : 우리나라 공개공지의 현주소" 52 (52): 68-69, 2008

      3 신미경, "도시환경정비사업구역 내 공개공지 활성화에 관한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4 유나경, "도시재생사업과 관련된 인센티브 제도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2009

      5 김세용, "도시공개공간의 쾌적성의 정량적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7

      6 이현선, "국내 공개공지 디자인 가이드라인 구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중구를 중점으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6) : 29-36, 2009

      7 채기석,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관광지 선택행동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41-56, 2004

      8 송진화, "공개공지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9 장하리, "공개공지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남구 테헤란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10 이규호, "공개공지 질에 따른 용적률 인센티브 차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1 김한, "지구단위계획구역내 공개공지의 지정실태와 효과성에 관한 연구: 역삼역 주변 지구단위계획구역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2 이지영, "발언과 논평 : 우리나라 공개공지의 현주소" 52 (52): 68-69, 2008

      3 신미경, "도시환경정비사업구역 내 공개공지 활성화에 관한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9

      4 유나경, "도시재생사업과 관련된 인센티브 제도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2009

      5 김세용, "도시공개공간의 쾌적성의 정량적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1997

      6 이현선, "국내 공개공지 디자인 가이드라인 구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중구를 중점으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6) : 29-36, 2009

      7 채기석,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관광지 선택행동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9 (39): 41-56, 2004

      8 송진화, "공개공지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9 장하리, "공개공지의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강남구 테헤란로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10 이규호, "공개공지 질에 따른 용적률 인센티브 차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11 박경섭, "공개공지 조성에 따른 건축기준 완화규정의 형평성 개선 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8

      12 문성식, "공개공지 조성에 관한 개선 방안 연구" 광주대학교 대학원 2001

      13 김혜경, "공개공지 조성 및 이용실태 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1997

      14 길기석, "공개공지 이용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1996

      15 이현지, "고층 오피스 빌딩의 공개공지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0

      16 정석, "건축외부 공간의 공공성 분석을 통한 협력형 도시공간설계 접근방안: 서울시 고층 오피스 빌딩의 공개공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4

      17 Whyte, William H., "The Social Life of Small Urban Space" 1980

      18 서울특별시, "2020년 목표 서울특별시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도시환경정비사업부문"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