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나 아렌트의 혁명론 관점에서 바라본 동학농민혁명의 정치적 의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858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혁명론 관점에서 동학농민혁명이 갖는 정치적 의의를 모색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아렌트가 혁명론을 통해 강조하고 있는 혁명의 개념과 의미를 살펴보고, 아렌트가 사유의 틀로 제시하고 있는 혁명의 목표와 결과에 대해 분석한 뒤 이를 토대로 동학농민혁명이 갖는 특징을 연구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는 기본적으로 문헌연구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아렌트가 제시한 혁명의 개념에 동학농민혁명이 부합하는지를 살펴보고 둘째, 아렌트가 제시한 혁명의 목표와 결과를 토대로 봤을 때 동학농민혁명은 어떠한 부분에서 아렌트의 혁명론과 조응하는지를 다루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동학농민혁명을 평가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데 기여하며, 둘째, 이를 통해 동학농민혁명과 혁명정신을 기억하고 사유하는 새로운 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혁명론 관점에서 동학농민혁명이 갖는 정치적 의의를 모색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아렌트가 혁명론을 통해 강조하고 있는 혁...

      이 연구의 목적은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혁명론 관점에서 동학농민혁명이 갖는 정치적 의의를 모색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아렌트가 혁명론을 통해 강조하고 있는 혁명의 개념과 의미를 살펴보고, 아렌트가 사유의 틀로 제시하고 있는 혁명의 목표와 결과에 대해 분석한 뒤 이를 토대로 동학농민혁명이 갖는 특징을 연구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방법으로는 기본적으로 문헌연구방법론을 채택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아렌트가 제시한 혁명의 개념에 동학농민혁명이 부합하는지를 살펴보고 둘째, 아렌트가 제시한 혁명의 목표와 결과를 토대로 봤을 때 동학농민혁명은 어떠한 부분에서 아렌트의 혁명론과 조응하는지를 다루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동학농민혁명을 평가하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데 기여하며, 둘째, 이를 통해 동학농민혁명과 혁명정신을 기억하고 사유하는 새로운 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perspective of Hannah Arendt's ‘On Revolution’. To that end, we firstly reviewed the definition and meaning of revolution underlined in ‘On Revolution’, and analyzed the purpose and outcome of revolution described as the frame of thought by Arendt. Main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literature review. This paper examined whether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rresponds with the definition of revolution by Arendt, and in what way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nforms to ‘On Revolution' in terms of the purpose and outcome of revolution presented by Arend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and presentation of new perspectives and meanings for evaluating Donghak peasant revolution. Second, it will provide a new framework to remember and further contemplat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spiri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perspective of Hannah Arendt's ‘On Revolution’. To that end, we firstly reviewed the definition and meaning of revolution underlined in ‘On 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litical significance of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perspective of Hannah Arendt's ‘On Revolution’. To that end, we firstly reviewed the definition and meaning of revolution underlined in ‘On Revolution’, and analyzed the purpose and outcome of revolution described as the frame of thought by Arendt. Main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literature review. This paper examined whether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rresponds with the definition of revolution by Arendt, and in what way Donghak peasant revolution conforms to ‘On Revolution' in terms of the purpose and outcome of revolution presented by Arend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and presentation of new perspectives and meanings for evaluating Donghak peasant revolution. Second, it will provide a new framework to remember and further contemplate Donghak peasant revolution and revolutionary spir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한나 아렌트의 혁명론
      • 1) 혁명의 개념과 의미
      • 2) 혁명의 목표 : 자유의 확립
      • 국문초록
      • 1. 서론
      • 2. 한나 아렌트의 혁명론
      • 1) 혁명의 개념과 의미
      • 2) 혁명의 목표 : 자유의 확립
      • 3) 혁명의 결과 : 새로운 정치제도와 공공영역의 창출
      • 3. 한나 아렌트의 혁명론 관점에서 본 동학농민혁명
      • 1) 새로운 시작
      • 2) 동학농민혁명의 목표 : 정치적 자유의 확립과 보국안민
      • 3) 혁명의 결과 : 자치행정체제와 공론장의 창출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