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입원경험 = Hospitalization Experiences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910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정신질환 발병 이후 수차례의 입원경험이 있는 정신장애인의 입원경험을 탐색한 질적 연구이다. 특히 2017년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이 정신장애인의 입원경험에 어떤 변화를 주었는지를 탐색하고 전반적인 정신장애인의 입원치료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참여자는 유의표집방법으로 선정된 총 8명의 정신장애인으로, 개별 심층면접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제분석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 네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입원 과정과 입원 생활 : 나를 드러내지 않아야 가능한 생활(당사자의 의사가 배제된 입원과 치료과정, 환대 없는 병동 환경, 무료한 생활에 의욕없는 사람이 되어감, 체념과 순응으로 가능한 입원 생활, 기약없는 퇴원, 삶의 바닥을 경험함), 둘째, 비자의입원과 자의입원 : 입원선택 주체에 따라 달라지는 입원생활과 관계변화(비자의 입원이유와 영향, 자의입원을 알게 된 계기, 자의입원 선택 이유와 영향), 셋째, 입원에 대한 인식 : 너무 긴 입원기간과 멀리하기 어려운 삶의 일부(희망과 다른 긴 입원기간, 하고 싶지는 않으나 필요하면 해야 하는 입원), 넷째, 입원경험이 삶에 미친 영향 : 고통스럽던 경험이 나와 다른 사람을 도움(입원하지 않으려 꾸준한 관리, 현재의 삶이 행복임을 느낌, 동료지원 활동에 도움이 되고 일이 즐거움)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입원 과정에 대한 민주적 절차와 지원, 입원경험으로 인한 외상에 대한 실천적 접근, 인권친화적인 치료적 병동 환경개선과 사회복지교육적 측면에서 종사자의 인권교육 및 정신건강 관련 교과목에서 입원치료경험의 시사점을 다룰 것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정신질환 발병 이후 수차례의 입원경험이 있는 정신장애인의 입원경험을 탐색한 질적 연구이다. 특히 2017년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이 정신장애인의 입원경험에 어떤 변화를 주었는...

      본 연구는 정신질환 발병 이후 수차례의 입원경험이 있는 정신장애인의 입원경험을 탐색한 질적 연구이다. 특히 2017년 정신건강복지법 개정이 정신장애인의 입원경험에 어떤 변화를 주었는지를 탐색하고 전반적인 정신장애인의 입원치료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참여자는 유의표집방법으로 선정된 총 8명의 정신장애인으로, 개별 심층면접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제분석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다음 네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째, 입원 과정과 입원 생활 : 나를 드러내지 않아야 가능한 생활(당사자의 의사가 배제된 입원과 치료과정, 환대 없는 병동 환경, 무료한 생활에 의욕없는 사람이 되어감, 체념과 순응으로 가능한 입원 생활, 기약없는 퇴원, 삶의 바닥을 경험함), 둘째, 비자의입원과 자의입원 : 입원선택 주체에 따라 달라지는 입원생활과 관계변화(비자의 입원이유와 영향, 자의입원을 알게 된 계기, 자의입원 선택 이유와 영향), 셋째, 입원에 대한 인식 : 너무 긴 입원기간과 멀리하기 어려운 삶의 일부(희망과 다른 긴 입원기간, 하고 싶지는 않으나 필요하면 해야 하는 입원), 넷째, 입원경험이 삶에 미친 영향 : 고통스럽던 경험이 나와 다른 사람을 도움(입원하지 않으려 꾸준한 관리, 현재의 삶이 행복임을 느낌, 동료지원 활동에 도움이 되고 일이 즐거움)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입원 과정에 대한 민주적 절차와 지원, 입원경험으로 인한 외상에 대한 실천적 접근, 인권친화적인 치료적 병동 환경개선과 사회복지교육적 측면에서 종사자의 인권교육 및 정신건강 관련 교과목에서 입원치료경험의 시사점을 다룰 것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exploring the admission experiences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that have multiple admission experiences after onset of mental illness.
      Especially, the study explores how the amended 2017 Mental Health Act affected the admission experiences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and looks into the overall awareness and experience of their inpatient treatment.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 of eight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select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 depth interviews. The following four themes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based on data analysis using subject analysis method. First, admission process and inpatient life: Life that is only possible by not revealing oneself(admission and treatment that marginalizes the patient’s intention, unwelcoming inpatient environment, becoming lethargic due to dull ward life, inpatient life that is only possible through resignation and compliance, indefinite amount time till discharge, experiencing bottom of life). Second, voluntary and involuntary admission: differing inpatient life and changes in relationships depending on the ‘decision-maker’(the reason for and impact of involuntary admission, realizing the opportunity of voluntary admission, reason for and impact of voluntary admission). Third, awareness of hospitalization: lengthened hospitalization inevitable part of life(unexpected long term hospitalization, unwanted but necessary hospitalization).Fourth, how the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affected life: helping other people based on one’s painful experience(consistent management to avoid hospitalization, appreciating present life as happiness, helpful for carrying out peer support work and enjoying i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democratic procedures and support for hospitalization processes, practical approach to trauma caused by hospitalization experience, ways to improve human rights-friendly therapeutic ward environments improvement, and hospitalization in human rights education and mental health-related subjects in terms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t was suggested to address the implications of the hospitalization experience.
      번역하기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exploring the admission experiences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that have multiple admission experiences after onset of mental illness. Especially, the study explores how the amended 2017 Mental Health Act affect...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exploring the admission experiences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that have multiple admission experiences after onset of mental illness.
      Especially, the study explores how the amended 2017 Mental Health Act affected the admission experiences of persons with mental disorder and looks into the overall awareness and experience of their inpatient treatment.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 of eight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selected using the purposive sampling method,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 depth interviews. The following four themes were derived from the results based on data analysis using subject analysis method. First, admission process and inpatient life: Life that is only possible by not revealing oneself(admission and treatment that marginalizes the patient’s intention, unwelcoming inpatient environment, becoming lethargic due to dull ward life, inpatient life that is only possible through resignation and compliance, indefinite amount time till discharge, experiencing bottom of life). Second, voluntary and involuntary admission: differing inpatient life and changes in relationships depending on the ‘decision-maker’(the reason for and impact of involuntary admission, realizing the opportunity of voluntary admission, reason for and impact of voluntary admission). Third, awareness of hospitalization: lengthened hospitalization inevitable part of life(unexpected long term hospitalization, unwanted but necessary hospitalization).Fourth, how the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affected life: helping other people based on one’s painful experience(consistent management to avoid hospitalization, appreciating present life as happiness, helpful for carrying out peer support work and enjoying i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democratic procedures and support for hospitalization processes, practical approach to trauma caused by hospitalization experience, ways to improve human rights-friendly therapeutic ward environments improvement, and hospitalization in human rights education and mental health-related subjects in terms of social welfare education It was suggested to address the implications of the hospitalization experie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선행연구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 Ⅰ. 서 론
      • Ⅱ. 선행연구고찰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