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서비스러닝의 교육의 일환으로 지역사회 노인서비스를 진행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년도 1학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391092
2022
-
338
KCI등재
학술저널
245-277(3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서비스러닝의 교육의 일환으로 지역사회 노인서비스를 진행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년도 1학기 ...
본 논문은 서비스러닝의 교육의 일환으로 지역사회 노인서비스를 진행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2년도 1학기 국내 Y대학교의 서비스러닝 수강생 중 연구 참여 동의를 얻은 19명을 대상으로 노인 이미지에 대한 포토보이스 참여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4개의 대주제와 15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지역사회 서비스에 참여하기 전 노인은 소통하기도 어렵고 다 쓰고 남겨진 어둡고 쓸쓸한 존재로서 도움이 필요한 ‘부정과 동정의 존재’였다. 그러나, 지역사회 서비스에 참여함으로써 새로운 경험, 새로운 인식, 새로운 관점을 형성하게 되고, 노인과의 ‘관계를 통해 성찰하고 배워’나갈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러닝은 노인을 경험과 연륜이 쌓인 지혜로운 존재, 강한 생명력과 든든한 존재, 여전히 활기찬 인생을 살고 있고 사회에 도움이 되고 싶어하는 따뜻하고 ‘포용적 존재로 재탄생’시켰다. 서비스러닝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노인들을 위한 새로운 역할을 찾아내고 지속적인 관심과 소통을 통해 노인을 여전히 하나의 사회구성원으로 ‘우리 안에 포함하는 것’이 실천의 모습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노인에 대한 서비스러닝 교육의 의의와 인식개선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척수장애 청년의 의료사회복지사와 함께하는 사회복귀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