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시공간 활동패턴의 탐색적 분석 : 시각적 공간분석학 접근법을 중심으로 = Exploratory Analysis of Spatio-Temporal Activity Pattern: A Geovisual Analytics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09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development of a prototype geovisual analysis system based on Google EarthTM to analyze spatio-temporal pattern of human activity suvery data. The system is designed to integrate three analytical concepts of geographical ...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development of a prototype geovisual analysis system based on Google EarthTM to analyze spatio-temporal pattern of human activity suvery data. The system is designed to integrate three analytical concepts of geographical research. The prototype analysis system is implemented using 2001 Atlanta Household Travel Survey (AHTS) data 1) to visualize spatial distribution of diurnal activity trajectories of individual respondents, 2) to group individual activity trajectories into a number of clusters based on similarity measures between activity sequences, and 3) to provid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such as age, gender, ethnicity in a form of statistical chart. The case study shows that geovisual analysis provides some meaningful clues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such as days of week, age distribution, and furthermore can offer researchers ideas of hidden structure or patterns in spatio-temporal data in a exploratory way. Overall, the geovisual analytics approach employed in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one of the most promising frameworks for implementation of analytical systems to deal with complex spatio-temporal data regarding human activ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시각적 공간분석학을 기반으로 하여, 구글 어스를 활용하는 분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 분석 시스템은 시간지리학에서 제시한 개념인 시공간 경로를 시각화하고, 개인의 ...

      이 연구에서는 시각적 공간분석학을 기반으로 하여, 구글 어스를 활용하는 분석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이 분석 시스템은 시간지리학에서 제시한 개념인 시공간 경로를 시각화하고, 개인의 활동 순서를 측정하여 비슷한 유형으로 분류하는 군집분석법을 수행하며, 분류된 집단의 속성을 통계그래프로 제공함으로써 분석대상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애틀란타 가구교통조사 자료를 분석한 사례연구에서는 개인의 일간 활동 경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활동 패턴의 유사성을 측정하여 5개의 집단으로 분류한 후, 각 집단의 특성을 통계그래프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시스템에서 채택한 시각적 공간분석학은 향후 공간자료 분석시스템 구현을 위한 중요한 방법론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재성, "웹 2.0 환경에서 동적상호작용 중심의 시각적 공간자료분석" 40 (40): 585-594, 2006

      2 박기호, "시공간 개인통행자료의 지리적 시각화" 40 (40): 310-320, 2005

      3 이정윤, "시각적 공간분석학 기법을 활용한 지역별 수출화물 발생패턴 유형화" 15 (15): 311-322, 2007

      4 조 창 현, "도시 일상활동 분석의 방법론적 연구 - 활동기반 접근법에 의하여 -" 국토지리학회 41 (41): 165-176, 2007

      5 Shoval, N., "Sequence alignment as a method for human activity analysis in space and time" 97 (97): 282-297, 2007

      6 Dykes,J.A., "Seeking structure in records of spatio-temporal behaviour: Visualization issues, efforts and applications" 43 (43): 581-603, 2003

      7 Kwan,M.P., "Interactive geovisualization of activity-travel patterns using three-dimensional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A methodological exploration with a large data set" Transaction Research C 8 185-203, 2000

      8 Thomas, J. J., "Illuminating the path: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da for visual analytics" IEEE Press 2005

      9 Andrienko, G., "Geovisual analytics for spatial decision support: Setting the research agenda" 21 (21): 839-857, 2007

      10 Frihida, A., "Extracing and visualizing individual space-time paths: An integration of GIS and KDD in transport demand modeling" 31 (31): 19-28, 2004

      1 안재성, "웹 2.0 환경에서 동적상호작용 중심의 시각적 공간자료분석" 40 (40): 585-594, 2006

      2 박기호, "시공간 개인통행자료의 지리적 시각화" 40 (40): 310-320, 2005

      3 이정윤, "시각적 공간분석학 기법을 활용한 지역별 수출화물 발생패턴 유형화" 15 (15): 311-322, 2007

      4 조 창 현, "도시 일상활동 분석의 방법론적 연구 - 활동기반 접근법에 의하여 -" 국토지리학회 41 (41): 165-176, 2007

      5 Shoval, N., "Sequence alignment as a method for human activity analysis in space and time" 97 (97): 282-297, 2007

      6 Dykes,J.A., "Seeking structure in records of spatio-temporal behaviour: Visualization issues, efforts and applications" 43 (43): 581-603, 2003

      7 Kwan,M.P., "Interactive geovisualization of activity-travel patterns using three-dimensional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A methodological exploration with a large data set" Transaction Research C 8 185-203, 2000

      8 Thomas, J. J., "Illuminating the path: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agenda for visual analytics" IEEE Press 2005

      9 Andrienko, G., "Geovisual analytics for spatial decision support: Setting the research agenda" 21 (21): 839-857, 2007

      10 Frihida, A., "Extracing and visualizing individual space-time paths: An integration of GIS and KDD in transport demand modeling" 31 (31): 19-28, 2004

      11 Joh,C.-H., "Activity pattern similarity : A multidimensional sequence alignment method" A multidimensional sequence alignment method.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B 36 385-403, 2002

      12 Rinner,C., "A geographic visualization approach to multi-criteria evaluation of urban quality of life" 21 (21): 907-919,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