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호주의 쿼드 협력 참여요인 분석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7년 쿼드 협력을 철회한 호주는 왜 2017년부터 다시 쿼드 협력에 참여하고 있는가? 중국과 수천 km나 이격된 호주가 미국의 대중국 구상인 쿼드 협력에 참여하는 점은 매우 흥미롭다. 특히 ...

      2007년 쿼드 협력을 철회한 호주는 왜 2017년부터 다시 쿼드 협력에 참여하고 있는가? 중국과 수천 km나 이격된 호주가 미국의 대중국 구상인 쿼드 협력에 참여하는 점은 매우 흥미롭다. 특히 호주에 있어 중국은 최대 수출국이자 최대 수입국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 가설설정의 연구방법을 통해 호주의 쿼드 협력 참여요인을 분석한다. 즉, 호주의 쿼드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중국의 위협, 경제 의존도, 국내 정치요인이라는 3가지 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검증한다. 연구 결과, 본 연구는 중국의 위협증가가 2017년 호주가 쿼드 협력 참여를 결정하는 데 핵심적인 요인이었다고 주장한다.
      호주는 한국과 전략적 유사성을 갖고 있다. 호주와 한국, 두 나라 모두 미국과 동맹을 맺고 있으며 중국과 경제적으로 많은 교류협력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략적 유사성에도 중국의 위협 하에 호주는 쿼드 협력에 참여한 반면, 한국은 미국의 대중국 구상에 대한 선택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2021년 새로 출범한 바이든 행정부는 쿼드 협력을 아태 지역에서 미국 정책을 발전시킬 근본적인 토대로 보고 있다. 미국의 대중국 구상에 대한 참여 요구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본 연구는 한국의 국가전략에 중요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y has Australia, which withdrew its Quad cooperation in 2007, participated in Quad cooperation again since 2017? It is very interesting that Australia, which has been separated from China for thousands of kilometers, participates in the Quad coopera...

      Why has Australia, which withdrew its Quad cooperation in 2007, participated in Quad cooperation again since 2017? It is very interesting that Australia, which has been separated from China for thousands of kilometers, participates in the Quad cooperation, the U.S. initiative toward China. Especially for Australia, China is the largest exporter and largest importer.
      This study analyzes Australia"s quad-cooperative participation factors through research methods in these problematic hypothesis settings. In other words, we validate this by establishing three hypotheses: China"s threat, economic dependence, and domestic political factors as factors affecting Australia"s quad cooper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is study argues that China"s increased threat was a key factor in Australia"s decision to participate in quad cooperation in 2017.
      Australia has a strategic similarity with Korea. Both countries, Australia and South Korea, are allied with the United States and have a lot of exchanges and cooperation with China. Despite these strategic similarities, Australia participated in quad cooperation under the threat of China, while South Korea has failed to make a choice about the U.S. plan to China.
      The Biden administration, which was newly launched in 2021, sees quad cooperation as a fundamental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U.S. policy in the Asia-Pacific region. While the U.S. demand for participation in the idea of China is expected to increase, this study could provide important strategic implications for Korea"s national strateg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쿼드 협력의 개념과 가설 설정
      • Ⅲ. 호주의 쿼드 협력 참여 요인 분석
      • Ⅴ. 결론
      • 요약
      • Ⅰ. 서론
      • Ⅱ. 쿼드 협력의 개념과 가설 설정
      • Ⅲ. 호주의 쿼드 협력 참여 요인 분석
      • Ⅴ. 결론
      • Abstract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충남, "호주의 ‘전략혁명’과 군사력 강화의 함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0

      2 양승윤, "호주·뉴질랜드"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6

      3 최원진, "호주, 결국 中 화웨이·ZTE 5G 입찰 배제 ‘안보 위험성 커’"

      4 이희진, "현대 호주사회의 이해"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호주연구센터 2011

      5 해군전력분석시험평가단, "해양전략용어 해설집"

      6 알프레드 마한, "해양력이 역사에 미치는 영향 1" 책 세상 2016

      7 합동참모본부, "합동·연합작전 군사용어사전" 합동참모본부 2014

      8 김재호, "트럼프 행정부와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 ⦁ 태평양’: 군사전략적 목표, 방법, 수단"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1 (21): 59-79, 2020

      9 백병선, "트럼프 집권 후 동아시아 역학구도 및 안보환경" 북코리아 2017

      10 백우열, "쿼드 국가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한국의 대응" 아산정책연구원 2019

      1 김충남, "호주의 ‘전략혁명’과 군사력 강화의 함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0

      2 양승윤, "호주·뉴질랜드"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6

      3 최원진, "호주, 결국 中 화웨이·ZTE 5G 입찰 배제 ‘안보 위험성 커’"

      4 이희진, "현대 호주사회의 이해"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호주연구센터 2011

      5 해군전력분석시험평가단, "해양전략용어 해설집"

      6 알프레드 마한, "해양력이 역사에 미치는 영향 1" 책 세상 2016

      7 합동참모본부, "합동·연합작전 군사용어사전" 합동참모본부 2014

      8 김재호, "트럼프 행정부와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도 ⦁ 태평양’: 군사전략적 목표, 방법, 수단"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1 (21): 59-79, 2020

      9 백병선, "트럼프 집권 후 동아시아 역학구도 및 안보환경" 북코리아 2017

      10 백우열, "쿼드 국가의 인도-태평양 전략과 한국의 대응" 아산정책연구원 2019

      11 해군전력분석시험평가단, "중국의 해양전략과 해군" 해군전력분석시험평가단 2018

      12 박창희, "중국의 해군력 발전과 지역 해양안보 협력 방안"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6

      13 엄광용, "중국에 대한 일본의 위협인식과 미⋅일 동맹: ‘위협균형론’을 중심으로" 한국세계지역학회 38 (38): 3-48, 2020

      14 국방정보본부, "중국 국방백서 : 중국의 군사전략" 국방정보본부 2015

      15 해군전력분석시험평가단, "주변국 해군 편람 2019" 전력분석시험평가단 2019

      16 임경한, "일대일로와 인도-태평양 전략에 대한 인도와 호주의 대응" 동서문제연구원 30 (30): 5-32, 2018

      17 정구연, "인도태평양 규칙기반 질서 형성과 쿼드협력의 전망"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3 (23): 5-40, 2018

      18 케네스 왈츠, "인간, 국가, 전쟁" 아카넷 2018

      19 한용섭, "우리 국방의 논리" 박영사 2019

      20 밸러리 허드슨, "외교정책론 : 다양한 외교정책분석의 소개와 검토" ㈜을유문화사 2009

      21 이근욱, "왈츠 이후 : 국제정치이론의 변화와 발전" 한울아카데미 2019

      22 그레이엄 앨리슨, "예정된 전쟁" 세종서적(주) 2019

      23 김재엽, "세계 5대 군사강소국과 한국의 자주국방" 북코리아 2020

      24 김진명, "바이든 동맹외교 무대에 한국 자리는 없었다"

      25 이성우, "민주주의 국가에 있어 국제협력 및 국제분쟁에 대한 국내변수의 영향:"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9 (9): 93-118, 2006

      26 한국해양전략연구소, "동아시아 해양안보 정세와 전망 2016-2017"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7

      27 스태픈 왈트, "동맹의 기원" 국방대학교 국가안보문제연구소 2016

      28 신범식, "다자 안보협력 체제의 이해: 집단안보, 공동안보, 협력안보의 개념과 현실" 일민국제관계연구원 15 (15): 5-43, 2010

      29 군사학연구회, "군사학연구방법론" 북코리아 2017

      30 임길섭, "국방정책 개론" 한국국방연구원 2020

      31 김열수, "국가안보 : 위협과 취약성의 딜레마" 법문사 2019

      32 이재철, "경제적 상호의존과 국제 분쟁의 상관관계:경제적 상호의존의 측정 문제" 한국국제정치학회 46 (46): 97-120, 2006

      33 존 미어샤이머, "강대국 국제정치의 비극" 김앤김북스 2019

      34 정주호, "中 지부티 해군기지 지하화...“규모·경비 예상 초월”"

      35 박형준, "中 견제 ‘쿼드’ 4개국, 인도양서 연합 군사훈련"

      36 이장훈, "‘쿼드 플러스’ 압박에 흔들리는 文정부의 ‘안미경중론’"

      37 갈태웅, "[단독] 美·日·호주, 벵골만서 ‘中 진출 저지’ 추가 훈련"

      38 The World Bank, "World Development Indicator(WDI)"

      39 Phillips, Dennis, "Why the American alliance should not be the holy grail of Australian foreign policy"

      40 Walt, Stephen M., "Why Alliances Endure of Collapse" 39 (39): 1997

      41 Schweller, Randall L., "Unanswered Threat: A Neoclassical Realist Theory of Underbalancing" 29 (29): 2004

      42 "UN Comtrade Database"

      43 Madan, Tanvi, "The Rise, Fall, and Rebirth of the 'QUAD'"

      44 Smith, Jeff M, "The Quad 2.0: A Foundation for a Free and Open Indo-Pacific" The Heritage Foundation Backgrounder Asian Studies Center 2020

      45 Walt, Stephen M, "The Origins of Alliance" Cornell University Press 1987

      46 IISS, "The Military Balance 2018" Routledge 2018

      47 IISS, "The Military Balance 2017" Routledge 2017

      48 IISS, "The Military Balance 2015" Routledge 2015

      49 IISS, "The Military Balance 2013" Routledge 2013

      50 IISS, "The Military Balance 2011" Routledge 2011

      51 IISS, "The Military Balance 2009" Routledge 2009

      52 IISS, "The Military Balance 2007" Routledge 2007

      53 Oliver, Alex, "The Lowy Institute Poll 2017" Lowy Institute for International Policy 2017

      54 Schreer, Benjamin, "The 2016 Defence White Paper, China and East Asia: The End of an Illusion"

      55 McDonell, Stephen, "South China Sea: China Defiant as Tribunal Backs Philippines"

      56 Norman, Jane, "South China Sea: Australia is worried about China's Activities-here's why"

      57 Cheng, Dean, "South China Sea After the Tribunal Ruling: Where Do We Go From Here?"

      58 SIPRI, "SIPRI Military Expenditure Database 1949-2019"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59 Merriam-Webster Dictionary, "Quad"

      60 배긍찬, "QUAD의 대두와 ASEAN의 대응"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2018

      61 LaGrone, Sam, "PLAN's Wu to CNO Richardson: Beijing Won't Stop South China Sea Island Building"

      62 The White House, "National Security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63 Hirschman, Albert O, "National Power and the Structure of Foreign Trad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0

      64 Keohane, Robert, "Multilateralism : An Agenda : An Agenda for Research" 14 (14): 1990

      65 CSIS, "Missiles of China, Missile Threat: CSIS Missile Defense Project"

      66 Belot, Henry, "Malcolm Turnbull Announces Biggest Overhaul of Espionage, Intelligence Laws in Decades"

      67 Kassam, Natasha, "Lowy Institute Poll 2020" Lowy Institute for International Policy 2017

      68 The Australia-China Story, "Kevin Rudd and Australia-China Relations"

      69 Department of Defence, "Indo-Pacific Strategy Report: Preparedness, Partnerships, and Promoting a Networked Region"

      70 Levy, Jack S., "Handbook of War Studies" Unwin Hyman 1989

      71 정재영, "G7 정상회의 이어 MSC까지 참석...‘美 귀환’ 알린 바이든"

      72 Kaushik, Krishn, "Explained: The Purpose, Participants of the Malabar Navy Exercise"

      73 Buchan, Patrick Gerand, "Defining the Diamond: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Quadrilateral Security Dialogue" CSIS 2020

      74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Defence, "Defence White Paper 2009" DoD 2009

      75 CSIS, "DF-26(Dong Feng-26), Missile Threat: CSIS Missile Defense Project"

      76 Polachek, Solomon William, "Conflict and Trade" 24 (24): 1980

      77 CRS, "China Naval Modernization: Implications for U.S. Navy Capabilities-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78 Scobell, Andrew, "China Aircraft Carrier Program : Drivers, Developments, Implications" 48 (48): 2015

      79 Associated Press, "Australia's Rudd to America: China is not an enemy"

      80 Layton, Peter, "Australia's Chinese Ballistic Missile Problem: China's New Islands and Missiles have changed Our Regional Strategic Balance"

      81 Smyth, Jamie, "Australia Targets from Foreign Influence: Proposed New Laws to Counter Growing Chinese Power in Country's Politics"

      82 Hurst, Daniel, "Australia Spends $500,000 to Strengthen Tech Ties with Quad Allies Amid China Tension"

      83 Chan, Tara Francis, "Australia Passed Sweeping Foreign Interference Laws not-so-subtly Targeted at China"

      84 Lee, Lavina, "Assessing the Quad: Prospects and Limitations of Quadrilateral Cooperation for Advancing Australia's Interests" Lowy Institute Analysis 2020

      85 Rosenau, James N, "Approaches to Comparative and International Politics"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66

      86 George, Alexander L., "American Foreign Policy: Theoretical Essays" Addison Wesley Longman

      87 에드워드 카아, "20년의 위기" 녹문당 2017

      88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Defence, "2020 Defence Strategic Update"

      89 정보사령부, "2018 세계의 군사력 : 세계의 군사력과 국방경제에 대한 연례 평가 보고서" 정보사령부 2019

      90 Australian Government, "2017 Foreign Policy White Paper" 2017

      91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Defence, "2016 Defence White Paper" DoD 2016

      92 Chellaney, Brahma, "'Quad Initiative': an inharmonious concert of democraci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8-01 학술지등록 한글명 : 전략연구
      외국어명 : STRATEGIC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69 0.847 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