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의 세계 및 대한반도 전략 분석과 한국의 통일전략에 대한 연구 = Analysis of China's Global & the Korean Peninsula Strategy and Korea's Unification Strate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73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oday’s international order, rise of China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of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the neighboring countries in Northeast Asia. The rapid economic growth of China, in particular, caused the theory of China threat. China’s strategies on the world can affect both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power structur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and the changes in the strategies can have direct effects on South Korea preparing for the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Under the competition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China is twisting arms of South Korea in selecting either of them. China attempts to seize initiative in the Korean Peninsula on its absolute supremacy on North Korea, while the United States shows its strategic intention for maintaining the existing hegemony in Northeast Asia. Nevertheless, ethe two powers are displaying duplicity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to each other. In this strategic structure, it may be time to require a discussion on reunification strategy that is appropriate for South Korea’s profit and just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ina's strategies on the world and the Korean Peninsula to present the most reasonable strategy on reunification for South Korea. With such strategy, South Korea may present more direct, active strategies and alternatives on its reunification under the rapidly-changing situation in Northeast Asia.
      번역하기

      In today’s international order, rise of China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of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the neighboring countries in Northeast Asia. The rapid economic growth of China, in particular, caused the theory...

      In today’s international order, rise of China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of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s well as the neighboring countries in Northeast Asia. The rapid economic growth of China, in particular, caused the theory of China threat. China’s strategies on the world can affect both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and the power structur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and the changes in the strategies can have direct effects on South Korea preparing for the re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Under the competition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China is twisting arms of South Korea in selecting either of them. China attempts to seize initiative in the Korean Peninsula on its absolute supremacy on North Korea, while the United States shows its strategic intention for maintaining the existing hegemony in Northeast Asia. Nevertheless, ethe two powers are displaying duplicity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to each other. In this strategic structure, it may be time to require a discussion on reunification strategy that is appropriate for South Korea’s profit and just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ina's strategies on the world and the Korean Peninsula to present the most reasonable strategy on reunification for South Korea. With such strategy, South Korea may present more direct, active strategies and alternatives on its reunification under the rapidly-changing situation in Northeast Asi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부상은 동북아 국가뿐만 아니라 미국을 비롯한 선진 국가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은 중국위협론이 제기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중국의 세계전략은 미중관계 뿐만 아니라 한반도와 동북아의 권력구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세계전략의 변화는 남북통일을 대비하고 있는 우리에게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중경쟁 구도 하에서 한국에게 중국과 미국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강요받을 수 있는 상황이다. 중국은 북한에 대한 절대적 우위를 바탕으로 한반도에서의 주도권을 장악하려 하고 있는 반면에 미국은 동북아에서의 전통적 패권을 유지하려는 전략적 의도를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중관계는 경쟁과 협력이라는 이중적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전략구도 속에서 한국의 실리와 명분에 적합한 통일전략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중국의 세계전략과 대한반도 전략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가장 합리적인 통일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급변하는 동북아 상황에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통일전략 및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번역하기

      오늘날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부상은 동북아 국가뿐만 아니라 미국을 비롯한 선진 국가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은 중국위협론이 제기되는 계기가 되기도...

      오늘날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부상은 동북아 국가뿐만 아니라 미국을 비롯한 선진 국가들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은 중국위협론이 제기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중국의 세계전략은 미중관계 뿐만 아니라 한반도와 동북아의 권력구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중국의 세계전략의 변화는 남북통일을 대비하고 있는 우리에게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미중경쟁 구도 하에서 한국에게 중국과 미국 중 하나를 선택하라고 강요받을 수 있는 상황이다. 중국은 북한에 대한 절대적 우위를 바탕으로 한반도에서의 주도권을 장악하려 하고 있는 반면에 미국은 동북아에서의 전통적 패권을 유지하려는 전략적 의도를 가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중관계는 경쟁과 협력이라는 이중적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전략구도 속에서 한국의 실리와 명분에 적합한 통일전략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중국의 세계전략과 대한반도 전략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가장 합리적인 통일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우리는 급변하는 동북아 상황에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통일전략 및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희옥, "중국의 한반도 정책 분명히 한 韓·中 정상회담"

      2 박광득, "중국의 시각에서 본 신형대국관계의 현황과 과제" 한국동북아학회 20 (20): 5-24, 2015

      3 지해범, "중국은 진정 북한 비핵화를 원하나"

      4 심상형, "신흥국 침체와 부채 리스크의 진앙지-중국 중심 분업구조 변화에 대응해야" 포스코경영연구원 2015

      5 김태완, "시진핑지도부의 도전과 응전 - 한국의 적극적인 통일정책을 위하여 -"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113-159, 2014

      6 이정태, "시진핑정부의 대외정책 기조: 일대일로와 신형대국관계를 중심으로" 2015

      7 정재호, "변화하는 동북아 안보지형과 한국의 딜레마" 포스코경영연구원 32-33, 2015

      8 정천구, "박근혜정부 통일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자유·민주통일을 위한 제언-" 한국통일전략학회 13 (13): 41-74, 2013

      9 장공자, "박근혜정부 출범과 한·중관계 발전방향" 한국통일전략학회 13 (13): 113-148, 2013

      10 변창구, "박근혜 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통일외교"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161-185, 2014

      1 이희옥, "중국의 한반도 정책 분명히 한 韓·中 정상회담"

      2 박광득, "중국의 시각에서 본 신형대국관계의 현황과 과제" 한국동북아학회 20 (20): 5-24, 2015

      3 지해범, "중국은 진정 북한 비핵화를 원하나"

      4 심상형, "신흥국 침체와 부채 리스크의 진앙지-중국 중심 분업구조 변화에 대응해야" 포스코경영연구원 2015

      5 김태완, "시진핑지도부의 도전과 응전 - 한국의 적극적인 통일정책을 위하여 -"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113-159, 2014

      6 이정태, "시진핑정부의 대외정책 기조: 일대일로와 신형대국관계를 중심으로" 2015

      7 정재호, "변화하는 동북아 안보지형과 한국의 딜레마" 포스코경영연구원 32-33, 2015

      8 정천구, "박근혜정부 통일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 -자유·민주통일을 위한 제언-" 한국통일전략학회 13 (13): 41-74, 2013

      9 장공자, "박근혜정부 출범과 한·중관계 발전방향" 한국통일전략학회 13 (13): 113-148, 2013

      10 변창구, "박근혜 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통일외교"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161-185, 2014

      11 정경환, "박근혜 정부가 지향해야 할 대북정책의 원칙과 실천방향" 한국통일전략학회 13 (13): 9-40, 2013

      12 송기돈, "박근혜 정부 대미 외교정책의 방향과 전략 - 미국의 정책기조와 한국의 국정과제 중심 -" 한국통일전략학회 13 (13): 75-112, 2013

      13 김태완, "동아시아에서 미중의 협력과 갈등: 아시아 회귀와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 2015

      14 和讯网, "美国为何对中国的“一带一路”疑虑重重?"

      15 人民网-国际频道, "社科院蓝皮书:“一带一路”打造中国对外开放新格局"

      16 赵可金, "中美新型大国关系为“一带一路”护航"

      17 王义桅, "一带一路的地缘政治风险"

      18 许善达, "一带一路战略至少影响中国十年时间"

      19 薛 力, "“一带一路”折射的中国外交风险"

      20 剧锦文, "“一带一路”战略的意义、机遇与挑战"

      21 Joseph S. Nye, "Is the America Century Over?" Polity press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5 1.75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05 1.054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