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이버 위협과 사이버 안보화의 문제, 그리고 적극적 사이버 평화 = Cyber Threats, Issues of Cyber Securitization, and Positive Cyber Pe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1038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cyber threats of the South Korea are inevitably strengthened because of the variable of North Korea.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eply discuss whether the response system against cyber threats focused on security overly is the best or no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aise the question of the awareness of cyber threats that are hardened by security views, at the same time,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ountermeasures against cyber threats from the viewpoint of ‘cyber peace’. To attain this end, this paper will urge a change to broad awareness to pursue peace in cyberspace through applying J. Galtung’s peace theory to the cyberspace. Therefore, this research has argued that ‘negative cyber peace’ pursues by constructing the response system against cyber threats focused on security perspective, and ‘positive cyber peace’ pursues through responses against the more diverse cyber threats or infringements to be raised in social and personal aspects. In conclusion, this paper raises questions about cyber security discourse and strategy and presents the necessity and policy direction of a comprehensive response to various cyber threats facing individuals and society.
      번역하기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cyber threats of the South Korea are inevitably strengthened because of the variable of North Korea.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eply discuss whether the response system against cyber threats focused on security overl...

      The countermeasures against the cyber threats of the South Korea are inevitably strengthened because of the variable of North Korea. However, it is necessary to deeply discuss whether the response system against cyber threats focused on security overly is the best or no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aise the question of the awareness of cyber threats that are hardened by security views, at the same time, to present the direction of countermeasures against cyber threats from the viewpoint of ‘cyber peace’. To attain this end, this paper will urge a change to broad awareness to pursue peace in cyberspace through applying J. Galtung’s peace theory to the cyberspace. Therefore, this research has argued that ‘negative cyber peace’ pursues by constructing the response system against cyber threats focused on security perspective, and ‘positive cyber peace’ pursues through responses against the more diverse cyber threats or infringements to be raised in social and personal aspects. In conclusion, this paper raises questions about cyber security discourse and strategy and presents the necessity and policy direction of a comprehensive response to various cyber threats facing individuals and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사이버 위협에 대한 대응은 북한이라는 변수 때문에 안보적 접근 강화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안보적 시각에 과도하게 초점을 맞춘 사이버 위협 대응체계가 최선인지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토론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안보적 시각에 경도된 사이버 위협의 인식 문제를 제기하면서 ‘사이버 평화’의 시각에서 사이버 위협에 대한 대응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이 글은 갈퉁(J. Galtung)의 평화론을 사이버공간에 적용하여 ‘소극적 사이버 평화’는 안보적 시각에 초점을 맞춘 사이버 위협 대응체제 구축을 통해 추구하고, ‘적극적 사이버평화’는 사회적이고 개인적인 측면에서 제기되는 훨씬 다양한 사이버 위협과 침해에 대한 대응을 통해 추구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안보적 시각에 경도된 사이버 안보 담론과 전략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개인과 사회가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사이버 위협에 대한 포괄적 대응의 필요성과 정책 방향을 제기하고 있다.
      번역하기

      한국의 사이버 위협에 대한 대응은 북한이라는 변수 때문에 안보적 접근 강화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안보적 시각에 과도하게 초점을 맞춘 사이버 위협 대응체계가 최선인지에 대...

      한국의 사이버 위협에 대한 대응은 북한이라는 변수 때문에 안보적 접근 강화가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안보적 시각에 과도하게 초점을 맞춘 사이버 위협 대응체계가 최선인지에 대해서는 깊이 있는 토론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안보적 시각에 경도된 사이버 위협의 인식 문제를 제기하면서 ‘사이버 평화’의 시각에서 사이버 위협에 대한 대응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이 글은 갈퉁(J. Galtung)의 평화론을 사이버공간에 적용하여 ‘소극적 사이버 평화’는 안보적 시각에 초점을 맞춘 사이버 위협 대응체제 구축을 통해 추구하고, ‘적극적 사이버평화’는 사회적이고 개인적인 측면에서 제기되는 훨씬 다양한 사이버 위협과 침해에 대한 대응을 통해 추구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글은 안보적 시각에 경도된 사이버 안보 담론과 전략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개인과 사회가 직면하게 되는 다양한 사이버 위협에 대한 포괄적 대응의 필요성과 정책 방향을 제기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용성, "한국은 해커들의 놀이터"

      2 안성규, "한국 사이버 생태계의 북한 요소" 1-21, 2016

      3 이상호, "초연결사회의 사이버 위협에 대비한 국가안보 강화방향"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4 (14): 1-31, 2014

      4 박의경, "지속가능한 평화를 위한 제언: 평화의 제도화를 향하여" 한국국제정치학회 54 (54): 341-376, 2014

      5 "정부 공공기관은 ‘해커들의 놀이터’"

      6 서달미,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단계별 사이버보안 평가 방법론 제안" 한국정보보호학회 25 (25): 363-374, 2015

      7 김문성, "사이버테러 국가대응체계 구축방안: 법률체계와 조직체계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7 (17): 161-184, 2016

      8 강석구, "사이버안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2010

      9 장노순, "사이버안보의 쟁점과 연구 경향" 한국국제정치학회 53 (53): 579-618, 2013

      10 조화순, "사이버공간의 안보화와 글로벌 거버넌스의 한계" 한국정보사회학회 17 (17): 77-98, 2016

      1 최용성, "한국은 해커들의 놀이터"

      2 안성규, "한국 사이버 생태계의 북한 요소" 1-21, 2016

      3 이상호, "초연결사회의 사이버 위협에 대비한 국가안보 강화방향"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4 (14): 1-31, 2014

      4 박의경, "지속가능한 평화를 위한 제언: 평화의 제도화를 향하여" 한국국제정치학회 54 (54): 341-376, 2014

      5 "정부 공공기관은 ‘해커들의 놀이터’"

      6 서달미,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단계별 사이버보안 평가 방법론 제안" 한국정보보호학회 25 (25): 363-374, 2015

      7 김문성, "사이버테러 국가대응체계 구축방안: 법률체계와 조직체계를 중심으로"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7 (17): 161-184, 2016

      8 강석구, "사이버안전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원 2010

      9 장노순, "사이버안보의 쟁점과 연구 경향" 한국국제정치학회 53 (53): 579-618, 2013

      10 조화순, "사이버공간의 안보화와 글로벌 거버넌스의 한계" 한국정보사회학회 17 (17): 77-98, 2016

      11 윤해성, "사이버 테러의 동향과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2

      12 김상배, "사이버 안보의 복합지정학:비대칭 전쟁의 국가전략과 과잉 안보담론의 경계" 국제학연구소 24 (24): 1-40, 2015

      13 김상배, "사이버 안보의 미중관계: 안보화 이론의 시각" 한국정치학회 49 (49): 71-97, 2015

      14 강영선, "사이버 공격에 대비한 대학의 정보보안 현황 및 개선 방안" 한국컴퓨터정보학회 16 (16): 215-226, 2011

      15 배상태, "사물인터넷(IoT) 발전과 보안의 패러다임 변화" (14) : 2016

      16 "국방망 北해커 ‘놀이터’ 됐는데도…軍, ‘경징계’ 논란"

      17 오병일, "국가정보원과 국내 사이버 보안 정책 개혁 방안"

      18 배선하, "국가 사이버보안 역량 평가를 위한 평가항목 연구" 한국정보보호학회 25 (25): 1293-1314, 2015

      19 "[사설] 이러다가 한국이 국제해커집단 놀이터 될라"

      20 Freedom Online Coalition, "Why Do We Need a New Definition for Cybersecurity?"

      21 Shackelford, Scott J, "Managing Cyber Attacks in International Law, Business, and Relations: In Search of Cyber Pe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

      22 장현수, "Industrial IoT 환경의 사이버보안 이슈 연구" 25 (25): 12-17, 2015

      23 ATARC, "Government and the Internet of Things: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et of Things Innovation Lab" ATARC 2015

      24 Hansen, Lene, "Digital Disaster, Cyber Security, and the Copenhagen School" 53 (53): 1155-1175, 2009

      25 Matusitz, Jonathan A., "Cyberterrorism: A Postmodern View of Networks of Terror and How Computer Security Experts and Law Enforcement Officials Fight Them" University of Oklahoma 2006

      26 Libicki, Martin, "Cyberdeterrence and Cyberwar" RAND 2009

      27 Kenney, M., "Cyber-terrorism in a Post-Stuxnet World" 59 (59): 111-128, 2015

      28 Roff, Heather M., "Cyber Peace: Cybersecurity Through the Lens of Positive Peace"

      29 The Australian Strategic Policy Institute Limited, "Cyber Maturity in the Asia-Pacific Region 2016"

      30 참여연대 천주교인권위원회, "6개 시민단체, 국가정보원의 ‘사이버 보안’ 권한 강화한 국가사이버 안보 기본법 제정(안) 반대 의견서 제출"

      31 한국인터넷진흥원 고려대사이버보안정책센터 인텔코리아, "2017 정보보호 10대 이슈 전망" 한국인터넷진흥원 2016

      32 국가정보원, "2016 국가정보보호백서" 국가정보원 미래창조과학부 방송통신위원회 행정자치부 2016

      33 KISA, "2015 국내 정보보호산업 실태 조사" KISA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세계평화통일학회 ->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world Peace and Unifi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Peace Stud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48 0.88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