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근현대에서 서양 윤리사상과 실학의 만남 = Meeting between the Western ethical thought and the practical science in the modern and present age of Kor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양과 동양 및 철학과 정치 사회사상은 고대 문명을 형성하거나, 그 주변의 원시 사회에서 법치국가로 발전해 나가는 시대 이후로는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았다. 의ㆍ식ㆍ주와 같은 인간의 기본욕구의 해결이나 정치 사회적으로 유사한 관계에서, 그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윤리 도덕적 고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BR>  그런 의미에서 조선 후기 실학과 서양 윤리사상이 만나고 그 보기나 범례(Paradigm)의 융합과 충돌이라는 것을 구체적으로 연구하였다. 이것은 동서양의 교류가 빈번하며 서로 영향이 다대한 21세기 현재와 미래에 보다 나은 개인의 삶과 사회 국가의 발전을 위해 중요한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조선 후기 실학적 학풍은 유교 경전의 정주(程朱) 성리학적 해석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견해 및 주석을 하면서 시작되었다. 정주 성리학의 중심적인 주제인 ‘사변적 천리(天理)’에서 이를 극복하여 다시 선진 유가(先秦 儒家), 곧 공맹(孔孟) 유학의 사회, 정치, 경제, 교육 등의 인욕(人欲)의 문제인 보다 구체적인 인간과 현실 문제의 개조를 문제 삼았다. 그런 의미에서 실학은 ‘유학의 르네상스’라 할 수 있다.<BR>  그런데 서양의 철학과 윤리사상사에서도 근세 철학에서 존재의 문제나 합리적(계산적) 이성을 주제로 삼기 시작한 것은 르네상스를 기점으로 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하는 근대정신을 충분히 발휘하는 것도 철학 계에서 세력을 얻는 것은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에 들어와서부터다.<BR>  고대 그리스의 윤리와 정치적인 철학사상에서 근대의 몇몇 서양 윤리사상 간단히 소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근ㆍ현대에 와서 다시 재조명되고 있는 조선조 실학사상과의 만남을 시도하였다. 실학은 유학의 공맹(孔孟)사상이 지니는 자연과 인간의 현실적 사회ㆍ정치적 윤리사상, 곧 인의(仁義)와 우환의식(憂患意識)을 다시 재현하고 계승하는 점에 주목하였다. 서양 윤리사상 또한 절대화된 중세 신학적인 요소와 근세 합리적 이성주의가 결합하여 인간과 자연을 계산하고 계산되어지는 기묘한 사생아를 낳았다. 그 결과 근대 자본주의의 ‘동물의 왕국’이나 ‘만인 대 만인의 투쟁’으로 시사되는 적대적이며 비인간적인 독소를 양산하여 뿜어대고 있다. 그 결과 현재 세계는 미국식 세계화의 신자유주의는 전쟁과 테러로 얼룩지고 있다.<BR>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인간과 자연의 조화와 상생은 유학의 민본사상과 경세사상(經世思想)을 내용으로 하는 실학정신이다. 이 바탕은 유학의 경전인 『대학大學』의 인간 윤리 도덕의 확립에서 출발하여 가족과 국가 나아가 보편적 인류애와 평화애호 정신이다. 또한 실학은 존재론적 형이상학보다는 실천적 윤리를 강조하는 주장이다. 그런 점에서 실학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양명학적 지행합일론(知行合一論)’은 시사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번역하기

        서양과 동양 및 철학과 정치 사회사상은 고대 문명을 형성하거나, 그 주변의 원시 사회에서 법치국가로 발전해 나가는 시대 이후로는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았다. 의ㆍ식ㆍ주와 ...

        서양과 동양 및 철학과 정치 사회사상은 고대 문명을 형성하거나, 그 주변의 원시 사회에서 법치국가로 발전해 나가는 시대 이후로는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았다. 의ㆍ식ㆍ주와 같은 인간의 기본욕구의 해결이나 정치 사회적으로 유사한 관계에서, 그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윤리 도덕적 고민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였다.<BR>  그런 의미에서 조선 후기 실학과 서양 윤리사상이 만나고 그 보기나 범례(Paradigm)의 융합과 충돌이라는 것을 구체적으로 연구하였다. 이것은 동서양의 교류가 빈번하며 서로 영향이 다대한 21세기 현재와 미래에 보다 나은 개인의 삶과 사회 국가의 발전을 위해 중요한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조선 후기 실학적 학풍은 유교 경전의 정주(程朱) 성리학적 해석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견해 및 주석을 하면서 시작되었다. 정주 성리학의 중심적인 주제인 ‘사변적 천리(天理)’에서 이를 극복하여 다시 선진 유가(先秦 儒家), 곧 공맹(孔孟) 유학의 사회, 정치, 경제, 교육 등의 인욕(人欲)의 문제인 보다 구체적인 인간과 현실 문제의 개조를 문제 삼았다. 그런 의미에서 실학은 ‘유학의 르네상스’라 할 수 있다.<BR>  그런데 서양의 철학과 윤리사상사에서도 근세 철학에서 존재의 문제나 합리적(계산적) 이성을 주제로 삼기 시작한 것은 르네상스를 기점으로 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하는 근대정신을 충분히 발휘하는 것도 철학 계에서 세력을 얻는 것은 19세기말에서 20세기 초에 들어와서부터다.<BR>  고대 그리스의 윤리와 정치적인 철학사상에서 근대의 몇몇 서양 윤리사상 간단히 소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 근ㆍ현대에 와서 다시 재조명되고 있는 조선조 실학사상과의 만남을 시도하였다. 실학은 유학의 공맹(孔孟)사상이 지니는 자연과 인간의 현실적 사회ㆍ정치적 윤리사상, 곧 인의(仁義)와 우환의식(憂患意識)을 다시 재현하고 계승하는 점에 주목하였다. 서양 윤리사상 또한 절대화된 중세 신학적인 요소와 근세 합리적 이성주의가 결합하여 인간과 자연을 계산하고 계산되어지는 기묘한 사생아를 낳았다. 그 결과 근대 자본주의의 ‘동물의 왕국’이나 ‘만인 대 만인의 투쟁’으로 시사되는 적대적이며 비인간적인 독소를 양산하여 뿜어대고 있다. 그 결과 현재 세계는 미국식 세계화의 신자유주의는 전쟁과 테러로 얼룩지고 있다.<BR>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인간과 자연의 조화와 상생은 유학의 민본사상과 경세사상(經世思想)을 내용으로 하는 실학정신이다. 이 바탕은 유학의 경전인 『대학大學』의 인간 윤리 도덕의 확립에서 출발하여 가족과 국가 나아가 보편적 인류애와 평화애호 정신이다. 또한 실학은 존재론적 형이상학보다는 실천적 윤리를 강조하는 주장이다. 그런 점에서 실학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양명학적 지행합일론(知行合一論)’은 시사점이 많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hilosophic and political-social thought have exchanged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since the period when both set up ancient civilizations and were developed law-governed countries. The explanation of this sort applied to ethical and moral thoughts to solve the problems those basic desire of human-being and the similar relation of politics and society raised.<BR>  With such explanations, I will study meeting between practical science in the latter period of Chos?n and the Western ethical thought, complex and conflict of examples or paradigms between two thought. It is important to develop individual life and country in the future as well as at the present time-21st century-when East and West exchange and influence each other.<BR>  The tendency of practical science in the latter period of Chos?n was born of criticizing, annotating interpretation about Confucian scriptures of Neo-Confucianism by cheng-chu(程朱). Moreover, that overcame the doctrine of heavenly principle(天理 : This concept is expressed "theological" by recent works of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which was main subject of Neo-Confucianism by cheng-chu(程朱) and groped concrete human and reconstruction circumstance at that times with concern about human desire(人欲). So we can say that practical science is "Renaissance of Confucianism".<BR>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and ethical thought, Renaissance was the starting point to make existence or rational(calculated) reason the subjects. Practice science gave attention to reviving and succeeding humanity and righteousness(仁義) and consciousness of apprehension(憂患意識) again. To unite the medieval theology with the modern rationalism gave birth to strange illegitimate child in the Western ethical thought. As a result, modern capitalism and the world of today are stained by wars and terrors those American globalization and Neo-liberalism bring about.<BR>  Harmony between human and nature to overcome these problems is the spirit of practical science on the basis of the idea of people basis (民本思想) and the idea of national administration-relief(經世思想) in Confucianism. Foundations of such spirits are thought that after establishing human ethics and morals, affecting not only family and nation but also universal love for humanity and peaceful coexistence in The Great Leaning(『大學』), one of the Confucian scriptures. In addition, practical science don"t emphasize metaphysics of ontology but practical thought of ethics. In such a point of view, thought of uniting knowledge and conduct(知行合一) in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that is closely connected with practical science is very suggestive.
      번역하기

        The philosophic and political-social thought have exchanged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since the period when both set up ancient civilizations and were developed law-governed countries. The explanation of this sort applied to ethical an...

        The philosophic and political-social thought have exchanged between the West and the East since the period when both set up ancient civilizations and were developed law-governed countries. The explanation of this sort applied to ethical and moral thoughts to solve the problems those basic desire of human-being and the similar relation of politics and society raised.<BR>  With such explanations, I will study meeting between practical science in the latter period of Chos?n and the Western ethical thought, complex and conflict of examples or paradigms between two thought. It is important to develop individual life and country in the future as well as at the present time-21st century-when East and West exchange and influence each other.<BR>  The tendency of practical science in the latter period of Chos?n was born of criticizing, annotating interpretation about Confucian scriptures of Neo-Confucianism by cheng-chu(程朱). Moreover, that overcame the doctrine of heavenly principle(天理 : This concept is expressed "theological" by recent works of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which was main subject of Neo-Confucianism by cheng-chu(程朱) and groped concrete human and reconstruction circumstance at that times with concern about human desire(人欲). So we can say that practical science is "Renaissance of Confucianism".<BR>  In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and ethical thought, Renaissance was the starting point to make existence or rational(calculated) reason the subjects. Practice science gave attention to reviving and succeeding humanity and righteousness(仁義) and consciousness of apprehension(憂患意識) again. To unite the medieval theology with the modern rationalism gave birth to strange illegitimate child in the Western ethical thought. As a result, modern capitalism and the world of today are stained by wars and terrors those American globalization and Neo-liberalism bring about.<BR>  Harmony between human and nature to overcome these problems is the spirit of practical science on the basis of the idea of people basis (民本思想) and the idea of national administration-relief(經世思想) in Confucianism. Foundations of such spirits are thought that after establishing human ethics and morals, affecting not only family and nation but also universal love for humanity and peaceful coexistence in The Great Leaning(『大學』), one of the Confucian scriptures. In addition, practical science don"t emphasize metaphysics of ontology but practical thought of ethics. In such a point of view, thought of uniting knowledge and conduct(知行合一) in the philosophy of Wang Yang-ming that is closely connected with practical science is very suggestiv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 요약】
        1. 서론
        2. 한국 실학의 연구와 개화에서 세계화
        3. 자연과 인간 및 사회적 도덕과 예법
        4. 이성과 감성 및 실학과 실용
        5.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 【논문 요약】
        1. 서론
        2. 한국 실학의 연구와 개화에서 세계화
        3. 자연과 인간 및 사회적 도덕과 예법
        4. 이성과 감성 및 실학과 실용
        5.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오영, "혜강 최한기, -동양과 서양을 통합하는 학문적 실험-" 청계 2000

      2 박찬국, "하이데거와 나치즘" 문예출판사 2001

      3 박노자, "하얀 가면의 제국" 한겨레신문사 2003

      4 九鬼周造, "프랑스 철학 강의" 교보문고 1992

      5 주경철, "테이레시아스의 역사" 산처럼 2002

      6 朱謙之, "중국이 만든 유럽의 근대』-근대 유럽의 중국문화 열풍-" 청계 2003

      7 조경란, "중국 근현대 사상의 탐색" 삼인 2003

      8 이만규, "조선교육사Ⅰ" 거름 1991

      9 권인호, "조선 중기 사림파의 사회정치사상" 한길사 1995

      10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전통과 현대, -동아시아 삼국의 근대성과 아시아적 가치 문제" 2005

      1 권오영, "혜강 최한기, -동양과 서양을 통합하는 학문적 실험-" 청계 2000

      2 박찬국, "하이데거와 나치즘" 문예출판사 2001

      3 박노자, "하얀 가면의 제국" 한겨레신문사 2003

      4 九鬼周造, "프랑스 철학 강의" 교보문고 1992

      5 주경철, "테이레시아스의 역사" 산처럼 2002

      6 朱謙之, "중국이 만든 유럽의 근대』-근대 유럽의 중국문화 열풍-" 청계 2003

      7 조경란, "중국 근현대 사상의 탐색" 삼인 2003

      8 이만규, "조선교육사Ⅰ" 거름 1991

      9 권인호, "조선 중기 사림파의 사회정치사상" 한길사 1995

      10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전통과 현대, -동아시아 삼국의 근대성과 아시아적 가치 문제" 2005

      11 역사학회, "을사조약과 20세기 초의 한반도" 2005

      12 박노자, "우승 優勝 열패 劣敗의 신화" 한겨레신문사 2005

      13 헬레나 노르베리 호지, "오래된 미래" 녹색평론사 1996

      14 야마무로 신이찌, "여럿이며 하나인 아시아" 창비 2003

      15 최익한, "실학파와 정다산" 청년사 1989

      16 윤사순, "신실학사상론" 예문서원 1996

      17 박홍규, "박홍규의 에드워드 사이드 읽기" 우물이 있는 집 2003

      18 권인호, "박종홍의 퇴계 철학 비판-황도 유교와 국가주의 철학의 원류" 비판철학회 2004

      19 홍윤기, "박종홍 철학 연구" 역사문제연구소 2001

      20 박재주, "동양의 도덕교육 사상" 청계 2000

      21 남상락, "동서철학과 한국실학사상의 탐구" 다운샘 2000

      22 이중원, "대한민국 아버지" 다산초당 2005

      23 김창숙, "김창숙문존" 성균관대 출판부 2003

      24 강재언, "근대한국사상사연구" 한울 1983

      25 이을호, "韓國의 實學思想 槪說(韓國의 實學思想)" 삼성출판사 1984

      26 금장태, "韓國實學思想硏究" 집문당 1993

      27 천관우, "韓國史의 再發見" 2 : 1952

      28 근대사연구회, "韓國中世社會 解體期의 諸問題(上)(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울 1987

      29 변규룡, "近代西歐思想의 形成과 東洋精神" 成大 大東文化硏究院 1975

      30 김하태, "東西철학의 만남" 종로서적 1985

      31 김익수, "東西哲學思想槪要" 수덕문화사 1983

      32 한우근, "李朝後期의 社會와 思想" (19) : 1958

      33 박종홍, "朴鍾鴻全集Ⅴ" 민음사 1998

      34 윤사순, "實學의 思想"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976

      35 정성철, "實學의 哲學思想과 社會政治的 見解" 한마당 1989

      36 정인보, "園國學散藁" 문교사 1955

      37 權仁浩, "南冥學派의 實學思想 硏究(한국의 사상가 10인, 조식)" 예문서원 2002

      38 김태길, "倫理學" 박영사 1986

      39 "『與猶堂全書』, 『仁政』, 『?宇集』, 『東儒學案』"

      40 "『朝鮮王朝實錄』, 『南冥集』, 『退溪集』『來庵集』, 『栗谷集』, 『東岡集』, 『星湖僿說』"

      41 "『易經』, 『書經』, 『詩經』, 『論語』, 『孟子』, 『禮記』, 『大學』, 『道德經』, 『南華經』, 『聖經』"

      42 유병구, "?中國의 哲學思想이 18世紀 佛蘭西 啓蒙主義思想에 미친 影響?, 成大 大學院, 1982"

      43 강호석, "17世紀에 있어서 儒敎와 基督敎 사이의 國際文化 交流" 68 : 199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5-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Asian Philosphy in Korea : SAPK KCI등재
      2007-01-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N PHILOSOPHY IN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9 1.246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