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공동주택에 주된 가연물인 면섬유에 대한 훈소화재 시 발생되는 연기/에어로졸 및 연소생성물을 분석하고자 ISO 7240-7 면섬유 훈소화재를 진행한 연구이다. 섬유화재 실험결과 2종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74768
2024
-
500
KCI등재
학술저널
9-18(1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공동주택에 주된 가연물인 면섬유에 대한 훈소화재 시 발생되는 연기/에어로졸 및 연소생성물을 분석하고자 ISO 7240-7 면섬유 훈소화재를 진행한 연구이다. 섬유화재 실험결과 2종 ...
본 논문은 공동주택에 주된 가연물인 면섬유에 대한 훈소화재 시 발생되는 연기/에어로졸 및 연소생성물을 분석하고자 ISO 7240-7 면섬유 훈소화재를 진행한 연구이다. 섬유화재 실험결과 2종 연기감지기 화재감지 작동농도인 15 %/m농도기준 ODM과 ASD를 비교한 결과 ASD의 화재감지 시간이 약 2 min에서 4 min 정도의 지연시간이 발생되었다. 또한 면섬유 훈소화재의 경우 ASD1,2 화재감지 작동농도에서 CO농도가 37 ppm, 62 ppm이 나타나면서 고농도의 연소가스가 생성되었고, 유염화재보다 훈소화재의 경우 불완전연소에 의한 연기/에어로졸 및 가스가 대량 발생함에도불구하고 연기 자체의 부력힘이 부족하여 연기감지기 챔버 내부로 연기가 유입되지 않고, 천장에 분포되지 않아 화재감지까지 오랜 시간이 필요한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다양한 연기/에어로졸에 따른 연기감지기작동시험 테스트를 진행하여야 국제적 수준의 소방 기술에 부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a smoldering cotton fire test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ISO 7240-7 to analyze the smoke/aerosolsand combustion products that occur during a cotton fire that are crucial flammable components of multi-unit dwellings. Theresults of ...
In this study, a smoldering cotton fire test was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ISO 7240-7 to analyze the smoke/aerosolsand combustion products that occur during a cotton fire that are crucial flammable components of multi-unit dwellings. Theresults of the smoldering cotton fire experiment comparing ODM and ASD based on the concentration standard of 15 %/m,which are the operating concentrations of the fire detection of type-2 smoke detectors, indicated a delay of approximately 2∼4min in the ASD fire detection tim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smoldering fire, the CO concentrations appeared to be37 ppm and 62 ppm at the ASD1,2 fire detector operating concentrations, resulting in high concentrations of combustion gas. Furthermore, in the case of a smoldering fire rather than a flame fire, despite a large amount of smoke/aerosol and gas owingto incomplete combustion because of the lack of buoyancy, it did not flow into the smoke detector chamber and was notdistributed on the ceiling; this required a long time to detect the fire. Accordingly, smoke detector operation tests for varioussmoke/aerosols must be conducted in Korea to meet the international standards of firefighting technology.
목차 (Table of Contents)
복합형 고체 추진제의 비정상 폭발에 따른폭발압력 및 충격량을 이용한 위험성 평가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의 충전율 효과에 대한 모사연료 모델링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과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