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납노출지표와 적혈구내 protein kinase C 활성도의 연관성 = Associations between Lead Exposure and Dose and Protein Kinase C Activation in Erythrocytes Among Lead Work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318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Protein kinase C는 칼슘-인지질 의존형인산화 효소로 'H VJ'tfO에서 납에 의하여 활성화되지만, 납에 노출된 인체내에서 그 영향을 평가한 경우는 얼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납에 직업적으로 ...

      목적 : Protein kinase C는 칼슘-인지질 의존형인산화 효소로 'H VJ'tfO에서 납에 의하여 활성화되지만, 납에 노출된 인체내에서 그 영향을 평가한 경우는 얼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납에 직업적으로 노출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납 노출이 적혈구막의 단백질내에서 PKC 활성에 의한 인산화 수준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8년부터 국내 납 근로자를 대상으로 납에 의한 건강 영향조사가 4년간의 코호트 연구로 실행하였다. 1차년도에 630명의 납 근로자와 135명의대조군이 조사되었고 이들중 본 연구에서는 직업적노출이 되는 사업장에 근무하는 212명의 근로자를대상하였다. 156명의 남자와 56명의 여자 근로자를 대상으로 인구학적, 과거병력, 직업력 등을 구조화된 설문과 면접으로 조사되었고 납 노출 평가는 혈중 납농도 및 ZPP, 경골중 납농도를 측정하였다. PKC의 활성도는 적혈구막 단백질내 PKC 의존형인산화 수준으로 평가하였다. 적혈구막 단백질인spectrin과 band 4.9의 후인산화수준을 측정하여각 납 노출지표(혈중 납, ZPP, 경골중 납. 노출기간)와의 관련성은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 조사대상자의 평균(SD) 연령은39.1(10.0)세, 근무기간은 8.1(6.5)년 이었으며, 경골중 납농도는 범위가 0.8에서 290.8 trg Pb/gbone mineral로 평근(SD) 34.4(35.2) rig Pb/gbone mineral이었다. 적혈구막 단백질의 후인산화수준은 개인간 변이가 매우 컸으며, spectrin은 평균(SD) 540 7(304.1), band 4.9 SfkDa는198.6(78.2), 48 kDa는 247.7(83.3) PSL이었다.경골중 납농도와 노출 기간은 이들 후인산화 수준과역상관성을 보였으나(p(0.05), 혈중 납 농도와 ZPP는 상관성이 없었다(p)0.05). 가능성 있는 혼란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도 경골중 납 농도와 노출기간은 이들 후인산화수준과 유의한 회귀계수를 나타내었다.
      결론 : 만성적 납 노출에 의하여 적혈구내 PKC활성도는 영향을 받아 증가되어있는 것으로 평가되어 적혈구막 단백질의 인산화수준은 납의 노출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납의 신경독성은 부분적으로 PKC의 활성도왁 관련되어 있을 기전을 배제하기 어렵기 때문에 PfC 활성도와 신경행동학적 기능과의 관련성 평가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 Protein kinase C(PKC) , a calcium and phospholipid dependent enzyme, is activated by lead in vitro at picomolar concentrations. However, the effect of lead on PKC has never been studied in a human popul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

      Objectives : Protein kinase C(PKC) , a calcium and phospholipid dependent enzyme, is activated by lead in vitro at picomolar concentrations. However, the effect of lead on PKC has never been studied in a human popula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whether lead exposure was associated with PKC mediated-phosphorylation in erythrocytes among lead workers.
      Methods : Two hundred and twelve lead workers were studied. To determine the levels of phosphorylation ir vivo, an in vivo back phosphorylation technique was used by adding PKC and γ-32P to preparations of erythrocyte membranes. We measured back phosphorylations of erythrocyte membrane proteins, spectrin, and 52 kDa and 48 kDa, as an indirect measure of PKC activation if vivo.
      Results : The mean(SD) age and exposure duration was 39.1(10.0) years and 8.1(6.5) years, respectively. Tibial lead ranged from 0.8 to 290.8 μg Pb/g bone mineral with a mean (SD) of 34.4(35.2) μg Pb/g bone mineral. The means(SD) of back phosphorylation levels of the three proteins were 540.7(304.1), 198.6(78.2), and 247.7(83.3)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units (PSL), respectively, by phosphoimager. After adjustment for potential confounding factors, tibial lead and exposure duration were significantly and inversely associated with back phosphorylation levels. One unit of increase in tibial lead (1 μg Pb/g bone mineral) is associated with a decline in spectrin, band 4.9 52 kDa, and band 4.9 48 kDa back phosphorylation levels by 1.4(p〈0.05), 0.34(p〈0.05), and 0.47(p〈0.01), respectively However, there were no associations between the back phosphorylation levels and either blood lead or ZPP levels.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KC activity in erythrocytes is increased by chronic lead exposure and that erythrocyte membrane protein phosphorylation may be a biomarker of lead expos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대상 및 방법
      • 1.연구대상
      • 2.자료수집
      • 3.실험분석
      • 서론
      • 대상 및 방법
      • 1.연구대상
      • 2.자료수집
      • 3.실험분석
      • 4.통계분석
      • 결과
      • 고찰
      • 요약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