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콘크리트의 강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대상부위에서 코어를 채취하여 코어의 압축강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이는 구조물의 손...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콘크리트의 강도를 평가하는 방법으로는 대상부위에서 코어를 채취하여 코어의 압축강도를 측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이는 구조물의 손상을 초래하게될 뿐만 아니라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비파괴시험법에 의한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비파괴시험법은 구조물 안전진단 및 공사관리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외국에서 제안된 강도추정 기법을 그대로 사용하므로 사용하는 재료 및 환경이 다른 국내에서는 적합하지 않으며, 비파괴시험의 영향인자를 고려하면 부재의 두께가 얇은 벽식구조물에 적용할 경우에는 그 형상의 차이로 인하여 신뢰도가 더욱 떨어진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반발도법, 초음파전파속도법 및 반발도와 초음파전차속도의 복합법에 대하여 강도추정식을 제안하고, 벽식구조물에 대한 적용방법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주요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콘크리트구조물의 각종 비파괴검사 기술의 현황 및 문헌을 고찰 ' 압축강도, 재령, 슬럼프, 재령 등을 달리한 공시체를 이용한 실험실 실험을 통한 반발도법, 초음파 전파속도법과 복합법에 의한 콘크리트 강도 추정식을 제안 ' 현장 콘크리구조물의 강도 추정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는 재령보정계수를 도출 ' 현장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강도 추정식의 적용성을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