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30년대 강소천의 동요,동시에 나타난 동심성(童心性) = The child`s mind in Pumpkin flower lanterns written by Kang, So-ch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476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30년대 강소천의 동요 · 동시에 나타난 동심성은 당대의 주요 문인집단이 지향했던 순수 관념의 아동문학적인 구체화였다. 1930년대의 주요 문인집단은 세상에 대한 판단중지를 통해 미와 ...

      1930년대 강소천의 동요 · 동시에 나타난 동심성은 당대의 주요 문인집단이 지향했던 순수 관념의 아동문학적인 구체화였다. 1930년대의 주요 문인집단은 세상에 대한 판단중지를 통해 미와 예술적인 열정에 심취한 순수 관념을 지향했는데, 1930년대에 출현한 주요 동요 · 동시시인들은 그러한 순수 관념을 아동문학적인 장르적인 특성에 맞게 어떻게 전유 · 형성하는가 하는 과제를 감당했다. 그 중에서 강소천은 그의 동요 · 동시시집 『호박꽃초롱』에서 당대의 동요 · 동시시인들이 감당했던 아동문학사적인 과제의 한 응답으로써 순수=동심의 문학을 잘 보여줬다. 강소천의 동요 · 동시시집 『호박꽃초롱』은 1930년대의 순수 관념을 동심으로 전유한 대표적인 작품집이었다. 무엇보다 그의 동요 · 동시시집에서는 사회적인 관계를 벗어난 사적인 아동과 세계를 형상화했다. 다만 이러한 형상화는 1920년대에 등단한 동요 · 동시시인들과 다른 순수한 아동 화자와 그 화자가 바라보는 세계를 재현해내는 데에 성공했지만, 사회 · 국가 · 민족의 이데올로기에 대해서 암묵적으로 동조 · 추종 · 무관심했다는 점에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그리고 그의 동요 · 동시시집에서는 순수한 언어의 관념을 전유해서 아동이 사용하거나 사용할 법한 언어를 탐구 · 제작했다. 언어의 물질성 · 기표성 그 자체에 대한 관심이 깊어졌고, 1920년대의 전통적인 율격에 대한 발전과 파격이 엿보였다. 1920년대의 동요 · 동시시인들과 비교해 볼 때에 이러한 강소천의 문학적인 변모는 분명히 1930년대의 새로운 문학적인 흐름에 동참하는 것이 아닐 수 없다. 1930년대에 순수 관념을 지향한 문학은 문학이 문학다워야 한다는 내향적이고 자기완결적인 주장을 하면서 미 자체에 대한깊은 관심을 보여주고 언어조형과 비(非)세속적인 순수 관념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놓았음에도, 그것이 근대자본주의의 중산층 · 부르주아 이데올로기와 특권의식을 보여줬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강소천의 아동문학 역시 이러한 공과를 함께 지니는 아동문학적인 한 현상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ild``s mind in Pumpkin flower lanterns written by Kang, So-cheon is relative to poetry-literature group who is Bak, Yongchel and Kim, Yeong-rang. They pursued the purity which is away desires and power and politics of world, and it is trademark ...

      The child``s mind in Pumpkin flower lanterns written by Kang, So-cheon is relative to poetry-literature group who is Bak, Yongchel and Kim, Yeong-rang. They pursued the purity which is away desires and power and politics of world, and it is trademark of poetry-literature group. Poets of 1930’s in field of children literature seek the purity that is insisted by poetry-literature group. The purity which is searched by Kang, So-cheon is the pure child``s mind. The pure child``s mind of Kang, So-cheon in the 1930’s is distinguish from Bang, Jeong-hwan and Yun, Seok-gung’s children’s verse. Kang, So-cheon’s children’s verse is new. His children in Pumpkin flower lanterns are away desires and power and politics of world, but Bang, Jeong-hwan and Yun, Seok-gung’s children in their children’s verses are social children. His world in the text is pure human, animal, and plant. Also Kang, So-cheon’s language is new from Bang, Jeong-hwan and Yun, Seok-gung’s children’s vers in the 1920’s. His poetic language is emphasized to matter itself of language. The meaning isn’t important. And His rhythm is odd than children’s rhythm, but characteristic.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용철, "효과주의적비평론강" 문예월간 1931

      2 T. Todrov, "환상문학서설" 일월서각 2013

      3 신현득, "호박꽃초롱" 교학사 319-326, 2006

      4 강소천, "호박꽃초롱" 박문서 1941

      5 이재철,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일지사 213-298, 1978

      6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성문각 1985

      7 이재철, "한국아동문학가연구(2)-강소천, 윤석중" 단국대국어국문학과 11 : 1983

      8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66-136, 1977

      9 김종헌, "한국 근대 아동문학 형성기 동심의 구성 방식" 현대문학이론학회 (33) : 57-83, 2008

      10 "학조 1, 1926.6"

      1 박용철, "효과주의적비평론강" 문예월간 1931

      2 T. Todrov, "환상문학서설" 일월서각 2013

      3 신현득, "호박꽃초롱" 교학사 319-326, 2006

      4 강소천, "호박꽃초롱" 박문서 1941

      5 이재철, "한국현대아동문학사" 일지사 213-298, 1978

      6 조연현, "한국현대문학사" 성문각 1985

      7 이재철, "한국아동문학가연구(2)-강소천, 윤석중" 단국대국어국문학과 11 : 1983

      8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66-136, 1977

      9 김종헌, "한국 근대 아동문학 형성기 동심의 구성 방식" 현대문학이론학회 (33) : 57-83, 2008

      10 "학조 1, 1926.6"

      11 "카톨릭 소년 1937.12"

      12 "종교교육 1931.1"

      13 "조선중앙일보 1934.10.15"

      14 이원수, "이원수아동문학전집: 아동문학입문(28)" 웅진 319-, 1988

      15 염희경, "이데올로기와 어린이의 불행한 만남; 친일아동문학과 반공아동문학" 창비 4 (4): 149-, 2006

      16 윤석중, "윤석중전집(24)" 웅진 131-, 1988

      17 윤석중, "윤석중동시시집제1집 잃어버린 댕기" 게수나무회 1933

      18 김용희, "윤동주 동요시의 한국 동시문학사적 의미" 한국아동문학연구원 3 (3): 31-52,

      19 이오덕, "어린이를 지키는 문학" 백산서당 151-, 1989

      20 "어린이 1923.9.-1926.12"

      21 근대문학 100년 연구총서 편찬위원회, "약전으로 읽는 문학사1(해방 전)" 소명출판 454-, 2008

      22 "아이생활 1931.7-1937.8"

      23 "아이동무"

      24 최태호, "아동문학전집 5" 교학사 305-, 2006

      25 이원수, "아동문학입문" 소년한길 273-, 2001

      26 신헌재, "아동문학의 숲을 걷다" 도서출판 박이정 26-39, 2014

      27 석용원, "아동문학원론" 학연사 29-, 1982

      28 이지호, "아동문학교육론: 동심(童心) 문제를 중심으로" 문학교육연구회 8 : 1999

      29 "신여성 2.6, 1924.6"

      30 "신소년 1931.1-3"

      31 이오덕, "시정신과 유희정신" 굴렁쇠 18-, 2005

      32 "시원 1935.2-1935.12"

      33 "시문학 1930.3-1931.10"

      34 노경수, "소천 시 연구: 호박꽃초롱을 중심으로" 한국아동문학학회 15 : 189-212, 2008

      35 마성은, "북한에서 발표한 강소천의 소년시ㆍ동요" 285-302, 2012

      36 김준오, "문학사와 장르" 문학과 지성사 2000

      37 A. E. Housman, "문학 2"

      38 "문학 1934.1-1934.4"

      39 "문예월간 1931.11-1932.3"

      40 "동화 1936.6-1937.5-6"

      41 "동아일보 1935.4.14.-1937.11.7"

      42 "농민생활 1935.7-1936.9"

      43 박목월, "강소천 아동문학 독본" 을유문화사 2-3, 1961

      44 조태봉, "강소천 동화에 나타난 전쟁 체험과 꿈의 상관성 연구" 한국문예창작학회 6 (6): 373-397, 2007

      45 장수경, "강소천 동화에 나타난 월남의식과 서사의 징환" 한국문학연구학회 (48) : 253-283, 2012

      46 박금숙, "강소천 동요 및 동시의 개작 양상 연구- 초기 작품 중심으로 -" 한국아동문학학회 (25) : 37-76, 2013

      47 Robert Penn Warren, "Pure and Impure poetry" An Introduction to Literary Criticism 1968

      48 진순애, "<시문학파> 연구― 순수성을 중심으로" 한국시학회 (8) : 11-, 2003

      49 선안나, "1950년대 동화·아동소설 연구 : 반공주의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원 2006

      50 황수대, "1930년대 강소천 동시 세계와 문학사적 의의" 한국아동청소년문학학회 (11) : 169-209,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5-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0.9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9 1.801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