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투고논문 : <황부인전> 구조 연구 -과제 제시와 해결 구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Structure of Ms. Hwang`s Life(Hwang Buin Jeon) -With a focus on presenting tasks and solving structu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55441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작자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전소설, <황부인전>을 대상으로 그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황부인전>은 단편소설로 <삼국지연의>의 내용 중에서 일부분을 기초로 하여 재창작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황부인전>의 이본 중에서 <황부인전>의 내용을 가장 잘 표현한 것으로 보이며 선행 연구에서도 가장 널리 대상으로 삼고 있는 세창서관본 <황부인전>을 주된 자료로 하여 <황부인전>을 분석하였다. <황부인전>의 구조는 천상의 과제 제시와 지상의 과제 해결 구조로 분석할 수 있다. <황부인전>의 이야기 전개를 이끌어나가는 원리는 천상계에서 제시한 과제를 중간계나 지상계의 존재가 해결하는 방식이다. 천상계의 과제는 황부인과 제갈공명 두 사람에게 주어진다. 이러한 공간적 층위 속에서 황부인과 제갈공명 두 사람에게 몽조의 형태로 천상계의 과제가 주어졌다. 황부인의 과제는 전생의 죄에 대한 벌의 형태로 주어졌으며, 제갈공명의 과제는 전생에 채우지 못한 욕망에 대한 해결 형태로 주어졌다. 두 사람에게 주어진 천상의 과제 중 한 가지는 일치한다. 그것은 하늘이 정해 준 인연을 맺어야 한다는 것이다. 제갈량과 황부인의 공통 과제인 결연은 제갈공명의 소극적인 회피와 도주는 황부인의 적극적인 설득 및 방해로 인해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해결된다. 그 후제갈량은 남은 과제인 공명 성취를 위해 노력하기 시작하고, 황부인은 그를 돕는 보조역할을 맡는다. 이와 같이 <황부인전>은 천상계의 과제 제시와 인간계에서의 과제 해결이라는 과제 제시-과제 해결의 구조로 되어 있다. 특이한 것은 주인공 황부인의 과제 제시-과제해결은 단일한 것인 반면 제갈공명의 과제 제시-과제해결은 이중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황부인전>의 전체 내용은 남성인 제갈공명보다 여상인 황부인의 능력이 더 뛰어난 것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반해, 여성 주인공의 과제는 단일하고 남성 주인공의 과제는 이중적인 이유에 대해서는 후행 연구의 과제로 남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작자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전소설, <황부인전>을 대상으로 그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황부인전>은 단편소설로 <삼국지연의>의 내용 중에서 일부분을 기초로 하여 ...

      이 논문은 작자와 연대를 알 수 없는 고전소설, <황부인전>을 대상으로 그 구조를 분석한 것이다. <황부인전>은 단편소설로 <삼국지연의>의 내용 중에서 일부분을 기초로 하여 재창작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황부인전>의 이본 중에서 <황부인전>의 내용을 가장 잘 표현한 것으로 보이며 선행 연구에서도 가장 널리 대상으로 삼고 있는 세창서관본 <황부인전>을 주된 자료로 하여 <황부인전>을 분석하였다. <황부인전>의 구조는 천상의 과제 제시와 지상의 과제 해결 구조로 분석할 수 있다. <황부인전>의 이야기 전개를 이끌어나가는 원리는 천상계에서 제시한 과제를 중간계나 지상계의 존재가 해결하는 방식이다. 천상계의 과제는 황부인과 제갈공명 두 사람에게 주어진다. 이러한 공간적 층위 속에서 황부인과 제갈공명 두 사람에게 몽조의 형태로 천상계의 과제가 주어졌다. 황부인의 과제는 전생의 죄에 대한 벌의 형태로 주어졌으며, 제갈공명의 과제는 전생에 채우지 못한 욕망에 대한 해결 형태로 주어졌다. 두 사람에게 주어진 천상의 과제 중 한 가지는 일치한다. 그것은 하늘이 정해 준 인연을 맺어야 한다는 것이다. 제갈량과 황부인의 공통 과제인 결연은 제갈공명의 소극적인 회피와 도주는 황부인의 적극적인 설득 및 방해로 인해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해결된다. 그 후제갈량은 남은 과제인 공명 성취를 위해 노력하기 시작하고, 황부인은 그를 돕는 보조역할을 맡는다. 이와 같이 <황부인전>은 천상계의 과제 제시와 인간계에서의 과제 해결이라는 과제 제시-과제 해결의 구조로 되어 있다. 특이한 것은 주인공 황부인의 과제 제시-과제해결은 단일한 것인 반면 제갈공명의 과제 제시-과제해결은 이중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황부인전>의 전체 내용은 남성인 제갈공명보다 여상인 황부인의 능력이 더 뛰어난 것으로 묘사되어 있는데 반해, 여성 주인공의 과제는 단일하고 남성 주인공의 과제는 이중적인 이유에 대해서는 후행 연구의 과제로 남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wangbuinjeon reflects dual female consciousness and the dualistic view of the world. Toward domestic conflicts, Ms. Hwang was quite aggressive and did her utmost efforts to make successful marriage. With social conflicts, on the contrary, she was not in the front line. Rather, she tried to solve them in a detour. In this respect, the researcher analyzed duality from the introduction of Samgukji Yeoneui into Korea via Bakssijeon (17C) to Hwangbuinjeon (19~20C). Also, immersed in Hwangbuinjeon is a world view that the tasks of the heavenly world rule the lives of both the in-between and earthly worlds. This outlook grants inevitability to the story otherwise hard to understand. The fact that the perfect male character like Jegal Gongmyeong should marry an ugly woman like Ms. Hwang is difficult to accept unless based on a dualistic world view. The author makes use of `heavenly tasks` in order to let the readers understand the dual world view that heavenly principles govern the earthly world.
      번역하기

      Hwangbuinjeon reflects dual female consciousness and the dualistic view of the world. Toward domestic conflicts, Ms. Hwang was quite aggressive and did her utmost efforts to make successful marriage. With social conflicts, on the contrary, she was not...

      Hwangbuinjeon reflects dual female consciousness and the dualistic view of the world. Toward domestic conflicts, Ms. Hwang was quite aggressive and did her utmost efforts to make successful marriage. With social conflicts, on the contrary, she was not in the front line. Rather, she tried to solve them in a detour. In this respect, the researcher analyzed duality from the introduction of Samgukji Yeoneui into Korea via Bakssijeon (17C) to Hwangbuinjeon (19~20C). Also, immersed in Hwangbuinjeon is a world view that the tasks of the heavenly world rule the lives of both the in-between and earthly worlds. This outlook grants inevitability to the story otherwise hard to understand. The fact that the perfect male character like Jegal Gongmyeong should marry an ugly woman like Ms. Hwang is difficult to accept unless based on a dualistic world view. The author makes use of `heavenly tasks` in order to let the readers understand the dual world view that heavenly principles govern the earthly worl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유경, "한국의 여성 영웅소설" 태학사 2000

      2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77

      3 신기형, "한국소설발달사" 보고사 1991

      4 오출세, "한국서사문학과 통과의례" 집문당 1995

      5 정창권, "한국고전여성소설의 재발견" 지식산업사 2002

      6 최운식, "한국 고소설 연구" 보고사 2004

      7 양인실, "한국 고대여성 영웅소설의 연구" 11 : 1980

      8 반 헤네프, "통과의례" 을유문화사 2000

      9 김경미, "조선후기 소설론 연구" 이화여대 1993

      10 김연호, "영웅소설의 유형과 변모에 관한 연구" 고려대 1993

      1 이유경, "한국의 여성 영웅소설" 태학사 2000

      2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77

      3 신기형, "한국소설발달사" 보고사 1991

      4 오출세, "한국서사문학과 통과의례" 집문당 1995

      5 정창권, "한국고전여성소설의 재발견" 지식산업사 2002

      6 최운식, "한국 고소설 연구" 보고사 2004

      7 양인실, "한국 고대여성 영웅소설의 연구" 11 : 1980

      8 반 헤네프, "통과의례" 을유문화사 2000

      9 김경미, "조선후기 소설론 연구" 이화여대 1993

      10 김연호, "영웅소설의 유형과 변모에 관한 연구" 고려대 1993

      11 안기수, "영웅소설의 수용과 변화" 보고사 2004

      12 박일용, "영웅소설의 소설사적 변주" 월인 2003

      13 윤분희, "여성 영웅소설 연구" 32 : 2002

      14 "세창서관판 구활자본 황부인전"

      15 서대석, "군담소설의 구조와 배경" 이화여대출판부 1985

      16 인천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구할자본 고전소설전집"

      17 조희웅, "고전소설작품연구 총람" 집문당 2000

      18 김열규, "通過祭儀와 部落祭" 養英閣 1973

      19 김인회, "<황부인전> 연구" 단국대 어문학부 15 : 2001

      20 권순긍, "<삼국지연의>의 수용과 그 지향" 반교어문학회 9 :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7-01-23 통합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2-2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퇴계학과 한국문화 -> 퇴계학과 유교문화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퇴계학과 학국문화 -> 퇴계학과 한국문화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