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모국 출신 중심의 교우관계가 학업성취와 정서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homeland-oriented friendship on Chines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emotional adaptation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03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at higher education institutes in Korea has steadily increased from 10,000 to 140,000 over the past 15 years.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exposed to the new environment have difficulties in adapting to universities because they experience switching 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t the same time. Making friends in a new environment is understood as a way to overcome such difficulties. However, the perspective based on the ethic enclave theory allows us to expect that homeland-oriented friendship can hinder balanced college adaptation by delimiting the opportunity to get help from a diverse group of friends. With the aim of verifying this possibility, the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homeland-oriented friendship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emotional adaptation using data from 195 Chines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Seoul. The result showed that Chinese students whose friends were highly composed of Chinese tended to have low academic performance. They were also more likely to experience emotional difficulties. This results suggest that higher education institutes need to seek a way to diversify international students’ friendship to address their difficulties.
      번역하기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at higher education institutes in Korea has steadily increased from 10,000 to 140,000 over the past 15 years.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exposed to the new environment have difficulties in adapting to universit...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at higher education institutes in Korea has steadily increased from 10,000 to 140,000 over the past 15 years. International students who are exposed to the new environment have difficulties in adapting to universities because they experience switching 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at the same time. Making friends in a new environment is understood as a way to overcome such difficulties. However, the perspective based on the ethic enclave theory allows us to expect that homeland-oriented friendship can hinder balanced college adaptation by delimiting the opportunity to get help from a diverse group of friends. With the aim of verifying this possibility, the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homeland-oriented friendship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emotional adaptation using data from 195 Chines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in Seoul. The result showed that Chinese students whose friends were highly composed of Chinese tended to have low academic performance. They were also more likely to experience emotional difficulties. This results suggest that higher education institutes need to seek a way to diversify international students’ friendship to address their difficul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 고등교육기관의 외국인 유학생 수는 지난 15년간 1만여 명에서 14만여 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본국을 떠나 새로운 환경을 접하는 외국인 유학생은 상위교육기관으로 전환을 동시에 경험하기 때문에 대학적응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이때 교우관계는 외국인 유학생의 적응을 돕는 기제로 이해된다. 그러나 민족적 울타리(ethnic enclave)이론에 기반을 둔 관점은 교우관계의 구성이 모국인 친구집단에 편중될 때 특정한 영역의 대학적응에 관한 어려움이 강화될 수 있다는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 모국 출신 중심적 교우관계가 다양한 친구집단으로부터 각기 다른 방식으로 대학적응에 관한 도움을 받을 기회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능성을 검증할 목적으로 이 연구는 서울 소재의 한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195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모국 출신 중심의 교우관계와 학업성취 및 정서적 적응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우관계에서 모국인 친구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중국인 유학생의 경우 학업성취가 낮은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기관이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적응을 위해 그들의 교우관계를 다변화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국내 고등교육기관의 외국인 유학생 수는 지난 15년간 1만여 명에서 14만여 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본국을 떠나 새로운 환경을 접하는 외국인 유학생은 상위교육기관으로 전환...

      국내 고등교육기관의 외국인 유학생 수는 지난 15년간 1만여 명에서 14만여 명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본국을 떠나 새로운 환경을 접하는 외국인 유학생은 상위교육기관으로 전환을 동시에 경험하기 때문에 대학적응에 많은 어려움을 겪는다. 이때 교우관계는 외국인 유학생의 적응을 돕는 기제로 이해된다. 그러나 민족적 울타리(ethnic enclave)이론에 기반을 둔 관점은 교우관계의 구성이 모국인 친구집단에 편중될 때 특정한 영역의 대학적응에 관한 어려움이 강화될 수 있다는 추측을 가능하게 한다. 모국 출신 중심적 교우관계가 다양한 친구집단으로부터 각기 다른 방식으로 대학적응에 관한 도움을 받을 기회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능성을 검증할 목적으로 이 연구는 서울 소재의 한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인 유학생 195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모국 출신 중심의 교우관계와 학업성취 및 정서적 적응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우관계에서 모국인 친구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중국인 유학생의 경우 학업성취가 낮은 경향이 확인되었다. 또한, 정서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기관이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적응을 위해 그들의 교우관계를 다변화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통계개발원, "한국의 사회동향 2017: 국내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실태"

      2 왕려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동아리활동이 대인관계 임파워먼트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소 14 (14): 111-141, 2016

      3 임수진, "중국인 유학생이 겪는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 분석"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6 (6): 413-427, 2009

      4 배상훈, "중국인 유학생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 실태-한국인 대학생 집단과 비교-" 한국비교교육학회 23 (23): 59-82, 2013

      5 이재신,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 통합에 대한 영향 요인 탐구: 미디어와 대인 채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8 (58): 233-254, 2014

      6 임춘희,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문화에서의 스트레스와 적응" 한국생활과학회 18 (18): 93-112, 2009

      7 이경상,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사회 생활적응 및 한국사회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영향요인" 한국청소년학회 25 (25): 231-264, 2018

      8 강이화,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경험에관한 연구" 한국교육사상학회 21 (21): 65-88, 2007

      9 조혁수,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0 (20): 193-219, 2009

      10 나동석,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문화적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7 (17): 21-46, 2010

      1 통계개발원, "한국의 사회동향 2017: 국내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실태"

      2 왕려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동아리활동이 대인관계 임파워먼트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종합연구소 14 (14): 111-141, 2016

      3 임수진, "중국인 유학생이 겪는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사회-심리적 요인 분석"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6 (6): 413-427, 2009

      4 배상훈, "중국인 유학생의 학습참여(Student Engagement) 실태-한국인 대학생 집단과 비교-" 한국비교교육학회 23 (23): 59-82, 2013

      5 이재신,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 통합에 대한 영향 요인 탐구: 미디어와 대인 채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8 (58): 233-254, 2014

      6 임춘희,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문화에서의 스트레스와 적응" 한국생활과학회 18 (18): 93-112, 2009

      7 이경상,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사회 생활적응 및 한국사회 문화적응스트레스의 영향요인" 한국청소년학회 25 (25): 231-264, 2018

      8 강이화,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경험에관한 연구" 한국교육사상학회 21 (21): 65-88, 2007

      9 조혁수,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0 (20): 193-219, 2009

      10 나동석, "중국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문화적응 능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7 (17): 21-46, 2010

      11 하정희, "중국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473-496, 2008

      12 하채현, "중국 유학생의 학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어 요인과 교수학습 방법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35 : 7-32, 2016

      13 김선영, "중국 유학생들의 정서적, 사회적, 그리고 학업수행 측면에서의 문화적응과 만족도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32 (32): 131-157, 2014

      14 유효령,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자기노출, 문화적응 스트레스, 대학생활적응의 구조적 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소 14 (14): 55-83, 2016

      15 이홍직,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결정요인: 인구사회학적 특성, 한국어 능력, 사회적 지지 요인을 중심으로" 대한스트레스학회 19 (19): 183-194, 2011

      16 이민아, "이민 전·후의 연결망이 결혼이민자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우울도와 삶의 만족도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학회 (27) : 31-60, 2010

      17 SSK 다문화연구센터,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 대학생활과 적응 및 만족도에 관한 실태조사(원자료)" 한양대 SSK 다문화연구센터 2016

      18 김선남,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적응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29-46, 2007

      19 박순영,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 사회적 관계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학회 24 (24): 75-102, 2016

      20 권양이, "외국인 유학생의 국내 대학 초기 적응에 관한 질적 탐색" 안암교육학회 14 (14): 301-333, 2008

      21 김경미,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연결망과 한국생활 만족도:중국, 베트남, 일본 출신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5 (35): 185-208, 2012

      22 김우석, "스포츠를 통한 중국인 유학생들의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2 (22): 163-180, 2013

      23 김우성, "스포츠 활동 참가를 통한 중국유학생의 한국사회 적응기제 분석" 한국사회체육학회 (62) : 509-520, 2015

      24 김재우, "사회적 지지와 연결망 배태: 자아연결망 다층분석의 활용" 한국사회학회 49 (49): 43-76, 2015

      25 김미영, "베트남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어려움과 극복과정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소 24 (24): 481-503, 2018

      26 김민정, "다문화여성의 사회적 관계망 분석" 한국생활과학회 21 (21): 469-488, 2012

      27 전재은, "니하오? 국내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학생과의 교우관계 : 중국인 유학생의 경험과 인식" 안암교육학회 18 (18): 303-326, 2012

      28 전형권, "국제이주에 대한 이론적 재검토: 디아스포라 현상의 통합모형 접근" 한국동북아학회 13 (13): 259-284, 2008

      29 김현주, "국내 거류 외국인의 한국 사회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40 : 105-139, 1997

      30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서비스"

      31 대학알리미, "공시정보: 졸업생의 졸업성적 분포"

      32 김두섭, "거주지역의 인종 구성이 혼인이주여성의 출산력에 미치는주변효과: 한국과 대만 자료의 재검증" 한국인구학회 41 (41): 151-177, 2018

      33 김두섭, "거주지역의 민족구성이 혼인이주여성의 차별 경험과 주관적 건강인식에 미치는 주변효과" 한국가족학회 27 (27): 34-61, 2015

      34 김두섭, "거주지역의 민족구성이 혼인이주여성의 사회활동과 적응유형에 미치는 영향: 주변효과의 검증" 한국인구학회 37 (37): 1-29, 2014

      35 김두섭, "거주지역의 민족구성 특성이 혼인이주여성의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학회 27 (27): 130-156, 2015

      36 Wilcox, P., "‘It was nothing to do with the university, it was just the people’ : the role of social support in the first‐year experience of higher education" 30 (30): 707-722, 2005

      37 Rienties, B., "Understanding friendship and learning networks of international and host students using longitudinal Social Network Analysis" 41 : 165-180, 2014

      38 Falci, C., "Too many friends : Social integration, network cohesion and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s" 87 (87): 2031-2061, 2009

      39 Furnham, A., "The friendship networks of foreign students: A replication and extension of the functional model" 20 (20): 709-722, 1985

      40 Eder, Donna., "The cycle of popularity : Interpersonal relations among female adolescents" 58 (58): 154-165, 1985

      41 Rosenthal, D. A., "Social connectedness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at an Australian university" 84 (84): 71-82, 2007

      42 Yum, J. O., "Multidimensional analysis of international images among college students in Japan, Hong Kong, and the United States" 128 (128): 765-777, 1988

      43 Baker, R. W.,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31 (31): 179-189, 1984

      44 Kashima, E. S., "International students’ acculturation : Effects of international, conational, and local ties and need for closure" 30 (30): 471-485, 2006

      45 Sherry, M., "International students : A vulnerable student population" 60 (60): 33-46, 2010

      46 Bochner, S., "Friendship patterns of overseas students : A functional model 1" 12 (12): 277-294, 1977

      47 Hendrickson, B., "An analysis of friendship networks, social connectedness, homesickness, and satisfaction levels of international students" 35 (35): 281-295, 2011

      48 Smith, R. A., "A review of the acculturation experiences of international students" 35 (35): 699-713, 2011

      49 교육부, "2018년 국내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유학생 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4 1.74 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1 1.84 1.857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