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로마서의 핵심 주제로서의 “연합” : 로마서 4장의 “우리” 용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404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루터 이후 로마서의 주제는 오랫동안 ‘이신칭의(以信稱義)’로 이 해되어 왔다. 이에 따라 ‘아브라함’이 등장하는 로마서 4장 또한 대개 ‘이신칭의’의 관점에서 해석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로마서 4장이 ‘이신칭의’를 지지하는 동시에, 이를 통해 유대인과 이방인 의 ‘연합’을 드러내고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학계에서는 로마서의 주제를 ‘이신칭의’와 ‘연합’의 상호 연관성 속에서 이 해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을 바탕 으로 ‘이신칭의’와 ‘연합’이 로마서의 핵심 주제로 긴밀히 연결 되어 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구(舊)문학 비평을 통해 바울과 로마 교회의 역사적 상황 을 분석하였다. 유대적 배경과 헬라적 배경을 지닌 바울은 다메섹 회 심 사건을 통해 유대인과 이방인이 하나 되는 ‘연합’의 가능성을 깨달았으며, 이는 로마서 저술에도 반영되었다. 바울은 로마 교회에 유대인과 이방인 간의 갈등을 해결하고, ‘연합’된 공동체를 형성해 야 함을 강조하며 로마서를 저술하였다. 이러한 목적은 로마서의 ‘복음 전파’, ‘스페인 선교’, ‘예루살렘 교회 연보 전달’과도 밀접히 연결된다. 이어서 바울의 데살로니가전·후서와 고린도전·후서에서 나타나는 1인칭 복수 표현 ‘우리’의 용례를 분석하였다. 각 서신에서 ‘우 리’는 교회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지만, 로마서에서 는 발신자와 수신자를 포함하는 ‘우리’의 포괄적 사용이 두드러진 다. 이는 로마서에서 바울이 ‘연합’을 중요한 주제로 다루고 있음 을 뒷받침한다. 특히 로마서 4장의 주석을 통해 ‘우리’라는 표현이 유대인과 이 방인의 연합을 강조하는 방식과 그 신학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바울 은 ‘우리 모든 사람의 조상’인 아브라함을 인용하며, 유대인과 이 방인 모두가 동일한 믿음을 통해 하나로 연합될 수 있음을 역설하였 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로마서의 주제가 단순히 ‘이신칭 의’에 국한되지 않고, 구원론적 교리와 공동체적 연합이 상호 연결 되어 있음을 입증하였다.
      번역하기

      루터 이후 로마서의 주제는 오랫동안 ‘이신칭의(以信稱義)’로 이 해되어 왔다. 이에 따라 ‘아브라함’이 등장하는 로마서 4장 또한 대개 ‘이신칭의’의 관점에서 해석되었다. 그러나 본...

      루터 이후 로마서의 주제는 오랫동안 ‘이신칭의(以信稱義)’로 이 해되어 왔다. 이에 따라 ‘아브라함’이 등장하는 로마서 4장 또한 대개 ‘이신칭의’의 관점에서 해석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로마서 4장이 ‘이신칭의’를 지지하는 동시에, 이를 통해 유대인과 이방인 의 ‘연합’을 드러내고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학계에서는 로마서의 주제를 ‘이신칭의’와 ‘연합’의 상호 연관성 속에서 이 해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을 바탕 으로 ‘이신칭의’와 ‘연합’이 로마서의 핵심 주제로 긴밀히 연결 되어 있음을 논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구(舊)문학 비평을 통해 바울과 로마 교회의 역사적 상황 을 분석하였다. 유대적 배경과 헬라적 배경을 지닌 바울은 다메섹 회 심 사건을 통해 유대인과 이방인이 하나 되는 ‘연합’의 가능성을 깨달았으며, 이는 로마서 저술에도 반영되었다. 바울은 로마 교회에 유대인과 이방인 간의 갈등을 해결하고, ‘연합’된 공동체를 형성해 야 함을 강조하며 로마서를 저술하였다. 이러한 목적은 로마서의 ‘복음 전파’, ‘스페인 선교’, ‘예루살렘 교회 연보 전달’과도 밀접히 연결된다. 이어서 바울의 데살로니가전·후서와 고린도전·후서에서 나타나는 1인칭 복수 표현 ‘우리’의 용례를 분석하였다. 각 서신에서 ‘우 리’는 교회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지만, 로마서에서 는 발신자와 수신자를 포함하는 ‘우리’의 포괄적 사용이 두드러진 다. 이는 로마서에서 바울이 ‘연합’을 중요한 주제로 다루고 있음 을 뒷받침한다. 특히 로마서 4장의 주석을 통해 ‘우리’라는 표현이 유대인과 이 방인의 연합을 강조하는 방식과 그 신학적 의미를 분석하였다. 바울 은 ‘우리 모든 사람의 조상’인 아브라함을 인용하며, 유대인과 이 방인 모두가 동일한 믿음을 통해 하나로 연합될 수 있음을 역설하였 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로마서의 주제가 단순히 ‘이신칭 의’에 국한되지 않고, 구원론적 교리와 공동체적 연합이 상호 연결 되어 있음을 입증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time of Martin Luther, the theme of Romans has long been understood primarily through the lens of “justification by faith.” Consequently, Romans 4, which introduces Abraham, has often been interpreted from this perspective. However, this study proposes that Romans 4 not only supports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but also reveals the theme of “union” between Jews and Gentiles. Recent scholarship has increasingly sought to understand the theme of Romans in terms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justification by faith and union, and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se two themes are closely interconnected as central motifs of Romans. This study employs historical-critical analysis to examine the historical context of Paul and the Roman church. As a figure shaped by both Jewish and Hellenistic backgrounds, Paul came to realize the possibility of union between Jews and Gentiles through the Damascus event, a realization that profoundly influenced his writing of Romans. Paul emphasized the necessity of resolving conflicts between Jews and Gentiles and fostering a unified community within the Roman church. This purpose is closely linked to his broader objectives in Romans, such as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his mission to Spain, and the delivery of the collection to the Jerusalem church. Furthermore, the study analyzes the usage of the first-person plural pronoun “we” in Paul’s epistles, particularly 1 and 2 Thessalonians and 1 and 2 Corinthians. While the term “we” is employed in varying ways depending on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each letter, Romans prominently features an inclusive usage of “we” that encompasses both the sender and recipients. This usage underscores Paul’s emphasis on union as a key theme in Romans. In particular, the exegesis of Romans 4 investigates how the term “we” emphasizes the union of Jews and Gentiles and explores its theological significance. By referencing Abraham as “the father of us all,” Paul underscores that both Jews and Gentiles can be united through the same faith.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theme of Romans extends beyond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establishing a dynamic interconnection between soteriological doctrine and communal union.
      번역하기

      Since the time of Martin Luther, the theme of Romans has long been understood primarily through the lens of “justification by faith.” Consequently, Romans 4, which introduces Abraham, has often been interpreted from this perspective. However, this...

      Since the time of Martin Luther, the theme of Romans has long been understood primarily through the lens of “justification by faith.” Consequently, Romans 4, which introduces Abraham, has often been interpreted from this perspective. However, this study proposes that Romans 4 not only supports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but also reveals the theme of “union” between Jews and Gentiles. Recent scholarship has increasingly sought to understand the theme of Romans in terms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justification by faith and union, and this research argues that these two themes are closely interconnected as central motifs of Romans. This study employs historical-critical analysis to examine the historical context of Paul and the Roman church. As a figure shaped by both Jewish and Hellenistic backgrounds, Paul came to realize the possibility of union between Jews and Gentiles through the Damascus event, a realization that profoundly influenced his writing of Romans. Paul emphasized the necessity of resolving conflicts between Jews and Gentiles and fostering a unified community within the Roman church. This purpose is closely linked to his broader objectives in Romans, such as the proclamation of the gospel, his mission to Spain, and the delivery of the collection to the Jerusalem church. Furthermore, the study analyzes the usage of the first-person plural pronoun “we” in Paul’s epistles, particularly 1 and 2 Thessalonians and 1 and 2 Corinthians. While the term “we” is employed in varying ways depending on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each letter, Romans prominently features an inclusive usage of “we” that encompasses both the sender and recipients. This usage underscores Paul’s emphasis on union as a key theme in Romans. In particular, the exegesis of Romans 4 investigates how the term “we” emphasizes the union of Jews and Gentiles and explores its theological significance. By referencing Abraham as “the father of us all,” Paul underscores that both Jews and Gentiles can be united through the same faith.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he theme of Romans extends beyond the doctrine of justification by faith, establishing a dynamic interconnection between soteriological doctrine and communal un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A. 연구 목적과 의의 1
      • B. 연구 방법 및 범위 7
      • Ⅱ. 로마서의 역사적 배경과 저술 목적 11
      • A. 로마서의 역사적 배경 13
      • Ⅰ. 서론 1
      • A. 연구 목적과 의의 1
      • B. 연구 방법 및 범위 7
      • Ⅱ. 로마서의 역사적 배경과 저술 목적 11
      • A. 로마서의 역사적 배경 13
      • B. 로마서의 저술 목적 20
      • Ⅲ. “우리”의 용례 비교: 데살로니가전·후서, 고린도전·후서, 로
      • 마서 26
      • A. 데살로니가전·후서에서의 “우리” 용례 분석 27
      • B. 고린도전·후서에서의 “우리” 용례 분석 35
      • C. 로마서에서의 “우리” 용례 분석 42
      • D. 비교 분석: 다섯 서신에서 “우리”의 신학적 의미· 48
      • Ⅳ. 로마서 4장의 “우리”와 “연합”의 상관성 51
      • A. 본문 내용 주석 53
      • B. “우리”와 “연합”의 관계에 대한 신학적 해석 73
      • Ⅴ. 결론 81
      • 참고문헌 84
      • 부록: 1인칭 복수 표현 상세 데이터 89
      • Table of Contents 92
      • Abstract 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