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공공연구기관의 연구상용화 과정에서의 위험관리 방법론과 전략수립에 관한 연구: 동태적 접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643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수과제는 대학 등 공공연구기관에서의 연구상용화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위험관리 프레임워크를 구축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3단계로 진행된 본 과제는 최초 단계로서 연구상용화 프로세스의 동적모형을 문헌연구를 통해 확립한다. 실제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거동을 반영하기 위하여 여러 단계에서 피드백과 피드포워드 루프를 포함시켰고, 연구과제의 특성에 따라 비상업적 메카니즘인 확산이 선택될 수 있도록 ‘판단’ 단계도 포함시켰다. 또한, 실제로 상당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는 ‘비공식 기술이전’ 단계도 포함시켰다. 각 단계별로 관련되는 투입요소, 산출요소, 측정/통제요소, 자원요소, 이슈요소도 모두 제공하여 동적모형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다음 단계에서는 연구상용화의 성과를 결정짓는 3가지 하위목표 즉 기술개발, 사업개발, 상용화 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을 문헌연구로 파악하고, 10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를 통해 위험요인의 영향도 지수를 정량적으로 산출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술개발’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은 7개, ‘사업개발’에는 12개, ‘상용화 효율성’에는 15개가 도출되었다. 영향도 지수는 위험의 크기와 위험의 빈도 속성을 승법한 값으로 산정하되, 이 두 가지 속성을 각각 3단계(높음=1.0, 중간=0.5, 낮음=0.1)로 설정하였다. ‘기술개발’과 ‘상용화 효율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은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이후 상용화 기술지원 부족’으로 나타났으며, ‘사업개발’에는 ‘기술이전 이후 상용화를 위한 기술금융 부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단계로는 위험관리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앞의 두 단계에서 도출된 결과들을 토대로 관련주체별, 연구상용화 단계별로 위험요인들을 재구성하여 분석하였다. 관련주체별로 공공연구기관(기술이전전담조직)은 15개, 공공연구기관 소속직원(연구자)은 8개, 기술도입기업은 5개, 외부주체 및 환경(정부, 투자자, 시장 등)도 5개로 나타났으며, 3가지 하위목표에 모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은 ‘공공연구기관 소속직원의 이해상충의 갈등’과 ‘공공연구기관과 기술도입기업간의 상호이해 부족’으로 나타났다. 연구상용화 단계별로는 재구성시에는 최초 단계에서 제시한 각 단계에서의 측정/통제요소와 이슈요소를 고려하였으며 그 결과 기술이전 이후의 ‘사업화’ 단계에서 가장 많은 위험요인이 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3가지 다른 단계에서 지속 출현하는 위험요인으로는 ‘상용화에 대한 공공연구기관 경영진의 의지 부족’과 ‘연구상용화 기여자에 대한 불충분한 보상제도’ 등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연구상용화의 위험관리 전략 수립을 위한 경영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차례로 ①기술이전 이후 상용화를 위한 기술금융 공급과 공공연구기관의 상용화 기술지원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 ②연구상용화 관련주체 중에서 기술도입기업에 비하여 공공연구기관 측에 더 많은 위험요인이 집중되어 있다는 것 ③연구상용화 단계 중에서 기술이전 이후의 ‘사업화’ 단계에서 가장 많은 위험이 나타난다는 것 ④상용화에 대한 공공연구기관 경영진의 의지 부족과 연구상용화 기여자에 대한 불충분한 보상제도 등이 3가지의 상이한 단계에서 지속적으로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공연구기관 등에
      번역하기

      본 연수과제는 대학 등 공공연구기관에서의 연구상용화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위험관리 프레임워크를 구축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3단계로 진행된 본 과제는 최초 단계로서 연...

      본 연수과제는 대학 등 공공연구기관에서의 연구상용화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위험관리 프레임워크를 구축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3단계로 진행된 본 과제는 최초 단계로서 연구상용화 프로세스의 동적모형을 문헌연구를 통해 확립한다. 실제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거동을 반영하기 위하여 여러 단계에서 피드백과 피드포워드 루프를 포함시켰고, 연구과제의 특성에 따라 비상업적 메카니즘인 확산이 선택될 수 있도록 ‘판단’ 단계도 포함시켰다. 또한, 실제로 상당 수준으로 발생하고 있는 ‘비공식 기술이전’ 단계도 포함시켰다. 각 단계별로 관련되는 투입요소, 산출요소, 측정/통제요소, 자원요소, 이슈요소도 모두 제공하여 동적모형을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다.

      다음 단계에서는 연구상용화의 성과를 결정짓는 3가지 하위목표 즉 기술개발, 사업개발, 상용화 효율성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을 문헌연구로 파악하고, 10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를 통해 위험요인의 영향도 지수를 정량적으로 산출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술개발’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은 7개, ‘사업개발’에는 12개, ‘상용화 효율성’에는 15개가 도출되었다. 영향도 지수는 위험의 크기와 위험의 빈도 속성을 승법한 값으로 산정하되, 이 두 가지 속성을 각각 3단계(높음=1.0, 중간=0.5, 낮음=0.1)로 설정하였다. ‘기술개발’과 ‘상용화 효율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은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이전 이후 상용화 기술지원 부족’으로 나타났으며, ‘사업개발’에는 ‘기술이전 이후 상용화를 위한 기술금융 부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 단계로는 위험관리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앞의 두 단계에서 도출된 결과들을 토대로 관련주체별, 연구상용화 단계별로 위험요인들을 재구성하여 분석하였다. 관련주체별로 공공연구기관(기술이전전담조직)은 15개, 공공연구기관 소속직원(연구자)은 8개, 기술도입기업은 5개, 외부주체 및 환경(정부, 투자자, 시장 등)도 5개로 나타났으며, 3가지 하위목표에 모두 영향을 주는 위험요인은 ‘공공연구기관 소속직원의 이해상충의 갈등’과 ‘공공연구기관과 기술도입기업간의 상호이해 부족’으로 나타났다. 연구상용화 단계별로는 재구성시에는 최초 단계에서 제시한 각 단계에서의 측정/통제요소와 이슈요소를 고려하였으며 그 결과 기술이전 이후의 ‘사업화’ 단계에서 가장 많은 위험요인이 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3가지 다른 단계에서 지속 출현하는 위험요인으로는 ‘상용화에 대한 공공연구기관 경영진의 의지 부족’과 ‘연구상용화 기여자에 대한 불충분한 보상제도’ 등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연구상용화의 위험관리 전략 수립을 위한 경영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차례로 ①기술이전 이후 상용화를 위한 기술금융 공급과 공공연구기관의 상용화 기술지원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 ②연구상용화 관련주체 중에서 기술도입기업에 비하여 공공연구기관 측에 더 많은 위험요인이 집중되어 있다는 것 ③연구상용화 단계 중에서 기술이전 이후의 ‘사업화’ 단계에서 가장 많은 위험이 나타난다는 것 ④상용화에 대한 공공연구기관 경영진의 의지 부족과 연구상용화 기여자에 대한 불충분한 보상제도 등이 3가지의 상이한 단계에서 지속적으로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공연구기관 등에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a framework for risk management in the research commercialization at public research organizations such as university and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

      The first section of the study establishes a dynamic process of the research commercialization by reviewing extensively existing literature.

      The second section of the study identifies the risk factors of each project objective, which affects the success of research commercialization and includes technology development, business development, and process efficiency. The section also calculates the significance index of each risk factor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objective based on an expert survey.

      The last section rearranges the identified risk factors in terms of stakeholder and stage of research commercialization, irrespectively. Based on those rearrangements, the study creates several management implications for risk managemen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e study would be exploited for the preventive risk management in the research commercialization at public research organizat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a framework for risk management in the research commercialization at public research organizations such as university and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 The first section of the study establishes a dy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a framework for risk management in the research commercialization at public research organizations such as university and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ion.

      The first section of the study establishes a dynamic process of the research commercialization by reviewing extensively existing literature.

      The second section of the study identifies the risk factors of each project objective, which affects the success of research commercialization and includes technology development, business development, and process efficiency. The section also calculates the significance index of each risk factor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objective based on an expert survey.

      The last section rearranges the identified risk factors in terms of stakeholder and stage of research commercialization, irrespectively. Based on those rearrangements, the study creates several management implications for risk management.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 of the study would be exploited for the preventive risk management in the research commercialization at public research organization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