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적선진화에 따른 국가공간정보의 이․활용 방향 = Directions of Use and Application of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according to Cadastral Advanc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358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적선진화의 의미 및 범위, 국가공간정보 이․활용 현황 및 한계를 검토하여 향후 바람직한 국가공간정보 이․활용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범위를 지적선진화와 국가공간정보 이․활용으로 한정하였으며, 조사방법은 문헌조사와 웹사이트조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접근방법은 서술적 접근방법과 제도적 접근방법을 병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견지에서 도출되었다. 첫째, 지적선진화와 국가공간정보의 진화는 지적선진화, 국가공간정보화의 진화, 선행연구 및 연구방향 차원에서 검토되었다. 둘째, 국가공간정보의 이․활용 실제 및 한계는 국가공간정보의 이․활용 여건변화, 이․활용 주체, 이․활용 객체, 한계 등의 검토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셋째, 바람직한 국가공간정보의 이․활용 방향 도출은 SES를 위한 지적선진화, 국가공간정보의 다양화 및 통합화, 국가공간정보서비스 참여경로의 다원화, 국가공간정보의 이․활용을 위한 제도적 보완 등의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적선진화의 의미 및 범위, 국가공간정보 이․활용 현황 및 한계를 검토하여 향후 바람직한 국가공간정보 이․활용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

      본 연구는 지적선진화의 의미 및 범위, 국가공간정보 이․활용 현황 및 한계를 검토하여 향후 바람직한 국가공간정보 이․활용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범위를 지적선진화와 국가공간정보 이․활용으로 한정하였으며, 조사방법은 문헌조사와 웹사이트조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접근방법은 서술적 접근방법과 제도적 접근방법을 병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견지에서 도출되었다. 첫째, 지적선진화와 국가공간정보의 진화는 지적선진화, 국가공간정보화의 진화, 선행연구 및 연구방향 차원에서 검토되었다. 둘째, 국가공간정보의 이․활용 실제 및 한계는 국가공간정보의 이․활용 여건변화, 이․활용 주체, 이․활용 객체, 한계 등의 검토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셋째, 바람직한 국가공간정보의 이․활용 방향 도출은 SES를 위한 지적선진화, 국가공간정보의 다양화 및 통합화, 국가공간정보서비스 참여경로의 다원화, 국가공간정보의 이․활용을 위한 제도적 보완 등의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for use and application of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NSI)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meaning and scope of cadastral advancement and the actual condition and restriction of use and application of NSI.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scope was limited into the cadastral advancement and use and application of NSI. Survey was carried on through collecting the research data by literature review and website search, and descriptive and systematic access are applied jointly as the access way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produced from 3 following aspects as follows: First, the cadastral advancement and evolution of NSI are examined in terms of concept of cadastral advancement, evolution of NSI, proceeding research and approach direction. Second, the actual condition and restriction of use and application of NSI is done by studying the change of given condition, subjective and objective, and restriction for use and application of NSI. Third, the desirable directions for use and application of NSI is accomplished in terms of cadastral advancement for Spatially Enabled Society, variety and integration of NSI, multiplicity of participation channel for NSIS, and systematic support for use and application of NSI.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for use and application of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NSI)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meaning and scope of cadastral advancement and the actual condition and restriction of use and application o...

      This study aims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s for use and application of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NSI)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meaning and scope of cadastral advancement and the actual condition and restriction of use and application of NSI.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scope was limited into the cadastral advancement and use and application of NSI. Survey was carried on through collecting the research data by literature review and website search, and descriptive and systematic access are applied jointly as the access way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produced from 3 following aspects as follows: First, the cadastral advancement and evolution of NSI are examined in terms of concept of cadastral advancement, evolution of NSI, proceeding research and approach direction. Second, the actual condition and restriction of use and application of NSI is done by studying the change of given condition, subjective and objective, and restriction for use and application of NSI. Third, the desirable directions for use and application of NSI is accomplished in terms of cadastral advancement for Spatially Enabled Society, variety and integration of NSI, multiplicity of participation channel for NSIS, and systematic support for use and application of NSI.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학, "토지조사사업에 따른 새로운 지적공부 작성방안 연구" 대한지적공사 37 (37): 57-86, 2007

      2 이보미, "지형정보 갱신전략 연구" 지적연구원 2008

      3 지적연구원, "지적정보 이․활용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모형 설계"

      4 지적연구원, "지적정보 이․활용을 위한 법제도 연구" 2005

      5 김용호, "지적정보 이․활용 패턴 분석을 통한 공간정보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지적연구원 2009

      6 양근우, "지적선진화방향" 한국지적학회․한국지적정보학회 16-, 2011

      7 국토해양부, "지적선진화 추진계획"

      8 지적연구원, "지적도를 활용한 위치정보 제공 사업화 연구" 2005

      9 국토해양부, "지적․가격․건축 등 18 종 부동산공부 하나로 통합"

      10 김영학, "정보환경변화에 따른 토지 관리 방향" 서울시립대학교 20 : 51-, 2005

      1 김영학, "토지조사사업에 따른 새로운 지적공부 작성방안 연구" 대한지적공사 37 (37): 57-86, 2007

      2 이보미, "지형정보 갱신전략 연구" 지적연구원 2008

      3 지적연구원, "지적정보 이․활용을 위한 서비스 시스템 모형 설계"

      4 지적연구원, "지적정보 이․활용을 위한 법제도 연구" 2005

      5 김용호, "지적정보 이․활용 패턴 분석을 통한 공간정보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지적연구원 2009

      6 양근우, "지적선진화방향" 한국지적학회․한국지적정보학회 16-, 2011

      7 국토해양부, "지적선진화 추진계획"

      8 지적연구원, "지적도를 활용한 위치정보 제공 사업화 연구" 2005

      9 국토해양부, "지적․가격․건축 등 18 종 부동산공부 하나로 통합"

      10 김영학, "정보환경변화에 따른 토지 관리 방향" 서울시립대학교 20 : 51-, 2005

      11 김현성, "유비쿼터스시대에서 지역정보화의 딜레마와 전자정부서비스 활성화방안"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2 (12): 103-129, 2009

      12 지적연구원, "연속지적도 이․활용 사 업화 방안 연구" 2008

      13 김영표, "시공자재의 세상을 향한 사이버국토 창조방안(Ⅰ)"

      14 김순태, "부동산관련정보의 공동활용을 위한 코드체계표준화 연구" 한국지적정보학회 11 (11): 149-165, 2009

      15 한국지적학회, "도로명주소 이력관리 기준 개발"

      16 정동훈, "국토정보 이․활용 및 유통서비스 방안" 지적연구원 2010

      17 김순태, "국토공간정보의 양방향서비스 구현방안" 한국지적학회 24 (24): 41-52, 2008

      18 김순태, "국토공간정보의 서비스 동향과 발전방향" 대한지적공사 38 (38): 3-23, 2008

      19 김순태, "국토공간정보의 기반역할 정립을 위한 지적의 발전방향" 대한지적공사 39 (39): 1-12, 2009

      20 김영학, "공공시설 등록을 위한 지적도 활용방안"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9 (29): 81-, 2007

      21 이보미, "공간지적정보 표준 체계 및 표준화 방안 연구" 지적연구원 2009

      22 국토해양부, "공간정보사업 분류기준 및 사전검토 제도개선 방안 연구" 5-10, 2010

      23 김영학, "공간적으로 이용가능한 사회에 지적행정의 새로운 역할" 한국지적학회 27 (27): 203-213, 2011

      24 김영학, "U-Lancer 지향 토지관리 방향" 한국지적학회 26 (26): 197-212, 2010

      25 정동훈, "U-City 구축에 따른 지적정 보 모델 연구" 지적연구원 2007

      26 정동훈, "U-City 구축에 따른 지적연 계정보 구축에 관한 연구" 지적연구원 2008

      27 Williamson I. P, "Spatially enabling government: A new vision for spatial information" 2006

      28 Williamosn I. P., "Spatially Enabled Society" 2010

      29 Watkins Warwick, "Spatially Enabled Government in New South Wales" 2010

      30 Rajabifard Abbas, "Spatially Enabled Government & Society-the Global Perspective" 2010

      31 행정안전부, "2011 국가정보화백서" 2011

      32 한국개발연구원, "2010년도 예비타 당성 보고서-지적재조사사업" 기획재정부 74-, 2010

      33 국토해양부, "2010년도 국가공간정 보정책에 관한 연차보고서" 62-66,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7-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국토정보공사 -> 한국국토정보공사
      영문명 :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KCI등재
      2015-06-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국토정보공사 -> 한국국토정보공사
      영문명 :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KCI등재
      2015-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KCI등재
      2015-04-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地籍(지적) -> 지적과 국토정보
      외국어명 : Journal of Cadastre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KCI등재후보
      2010-06-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Cadastre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6 0.16 0.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2 0.1 0.253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