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단행본] 판단력 비판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317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칸트 제3비판서 완역을 출간한다!
      과연 「판단력비판」은 무엇인가?

      『대우고전총서』24권《판단력비판》. 이 시리즈는 과거에 대한 반성과 당대의 화두, 미래에 대한 조망을 담고 있는 고전을 소개한다. 제24권은 독일의 철학자이자 '순수이성비판'을 비롯한 비판 철학으로 이름을 알린 임마누엘 칸트의 <판단력 비판>을 번역한 것을 엮은 것이다.

      이 책은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과 함께 칸트 철학을 대표하는 3비판서 중 하나이다. 번역은 40년에 걸쳐 칸트 철학 연구에 매진하면서, 『실천이성비판』(2002년), 『순수이성비판』(2006년)을 이미 번역하고, 주해한 바 있는 서울대학교 철학과 백종현 교수가 맡았다.

      본문은 <판단력 비판>해제와 역주로 구성하였다. 판단력 비판의 구성과 주요 내용은 어떤 내용인지 소개하고 판단력이란 과연 어떠한 것인지 설명한다. 칸트는 판단력 비판은 미감각적 비판과 목적론적 판단력 비판의 두 부분을 갖고 있음을 주장한다. [양장본]

      (출처: 네이버 책정보,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020433)
      번역하기

      칸트 제3비판서 완역을 출간한다! 과연 「판단력비판」은 무엇인가? 『대우고전총서』24권《판단력비판》. 이 시리즈는 과거에 대한 반성과 당대의 화두, 미래에 대한 조망을 담고 있는 ...

      칸트 제3비판서 완역을 출간한다!
      과연 「판단력비판」은 무엇인가?

      『대우고전총서』24권《판단력비판》. 이 시리즈는 과거에 대한 반성과 당대의 화두, 미래에 대한 조망을 담고 있는 고전을 소개한다. 제24권은 독일의 철학자이자 '순수이성비판'을 비롯한 비판 철학으로 이름을 알린 임마누엘 칸트의 <판단력 비판>을 번역한 것을 엮은 것이다.

      이 책은 『순수이성비판』, 『실천이성비판』과 함께 칸트 철학을 대표하는 3비판서 중 하나이다. 번역은 40년에 걸쳐 칸트 철학 연구에 매진하면서, 『실천이성비판』(2002년), 『순수이성비판』(2006년)을 이미 번역하고, 주해한 바 있는 서울대학교 철학과 백종현 교수가 맡았다.

      본문은 <판단력 비판>해제와 역주로 구성하였다. 판단력 비판의 구성과 주요 내용은 어떤 내용인지 소개하고 판단력이란 과연 어떠한 것인지 설명한다. 칸트는 판단력 비판은 미감각적 비판과 목적론적 판단력 비판의 두 부분을 갖고 있음을 주장한다. [양장본]

      (출처: 네이버 책정보,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020433)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연구는 칸트 비판기 철학의 모든 주요 저서를 대상으로 하여 문헌분석의 방법을 통

      해 칸트의 최고선 개념을 해명함으로써, 칸트에서 ‘선’과 ‘덕’, ‘행복’, ‘이성신앙’의

      개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의 도덕철학과 종교철학의 관계, ‘자연의 나라’와 ‘윤

      리의 나라’의 관계 또한 정확히 파악하였다. 더 나아가 그의 ‘합리적 이상주의’ 철학

      의 의의와 제한점을 드러내고자 위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번역하기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연구는 칸트 비판기 철학의 모든 주요 저서를 대상으로 하여 문헌분석의 방법을 통 해 칸트의 최고선 개념을 해명함으로써, 칸트에서 ...

      본 자료는 최종결과물(결과보고서)의 원자료이다.

      연구는 칸트 비판기 철학의 모든 주요 저서를 대상으로 하여 문헌분석의 방법을 통

      해 칸트의 최고선 개념을 해명함으로써, 칸트에서 ‘선’과 ‘덕’, ‘행복’, ‘이성신앙’의

      개념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의 도덕철학과 종교철학의 관계, ‘자연의 나라’와 ‘윤

      리의 나라’의 관계 또한 정확히 파악하였다. 더 나아가 그의 ‘합리적 이상주의’ 철학

      의 의의와 제한점을 드러내고자 위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찾아보기: p. 652-747 원저자명: Kant, Immanuel 원서명 : Kritik der Urteilskraft

      찾아보기: p. 652-747
      원저자명: Kant, Immanuel
      원서명 : Kritik der Urteilskraf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차
      책을 내면서 = 5
      제1부『판단력비판』해제
      『판단력비판』해제
      Ⅰ.『판단력비판』의 저술 및 출판 = 15
      Ⅱ.『판단력비판』의 구성 = 21
      Ⅲ.『판단력비판』의 주요 내용 = 22
      1. 서론 = 22
      2. 미감적 판단력 비판 = 31
      1) 미감적 판단력의 분석학 = 31
      (1) 미의 분석학 = 31
      (2) 숭고의 분석학 = 39
      (3) 순수한 미감적 판단의 연역 = 43
      (4) 예술과 천재 = 50
      2) 미감적 판단력의 변증학 = 53
      3) 취미의 방법론 = 57
      3. 목적론적 판단력 비판 = 58
      1) 목적론적 판단력의 분석학 = 58
      2) 목적론적 판단력의 변증학 = 63
      3) 목적론적 판단력의 방법론 = 66
      『판단력비판』관련 주요 문헌 = 75
      Ⅰ. 원전 Kritik der Urteilskraft의 주요 판본 = 75
      1. 주요 판본 = 75
      2. Erste Einleitung in die Kritik der Urteilskraft의 주요 판본 = 77
      3. kritik der Urteilskraft 관련 주요 원자료 = 78
      Ⅱ. 사전류 = 79
      Ⅲ. 학술지 = 79
      Ⅳ. 서지(書誌) = 80
      Ⅴ. 주석서 = 81
      Ⅵ. 국외 연구논저 = 81
      1. 개괄연구서 = 81
      2. 종합연구논저 = 87
      3. '미감적 판단력 비판' 관련 논저 = 93
      4. '목적론적 판단력 비판'관련 논저 = 103
      5. 영향사 관련 연구논저 = 108
      Ⅶ. 국내 연구논저(역서 포함) = 110
      제2부『판단력비판』역주
      역주의 원칙 = 117
      유사어 및 상관어 대응 번역어 = 120
      『판단력비판』번역 및 주석 = 135
      찾아보기
      일러두기 = 651
      인물 찾아보기 = 652
      개념 찾아보기 = 654
      「판단력비판 제1서론」찾아보기 = 738


      (출처: RISS, http://www.riss.kr/link?id=M11653000)
      번역하기

      목차 책을 내면서 = 5 제1부『판단력비판』해제 『판단력비판』해제 Ⅰ.『판단력비판』의 저술 및 출판 = 15 Ⅱ.『판단력비판』의 구성 = 21 Ⅲ.『판단력비판』의 주요 내용 = 22 1. ...

      목차
      책을 내면서 = 5
      제1부『판단력비판』해제
      『판단력비판』해제
      Ⅰ.『판단력비판』의 저술 및 출판 = 15
      Ⅱ.『판단력비판』의 구성 = 21
      Ⅲ.『판단력비판』의 주요 내용 = 22
      1. 서론 = 22
      2. 미감적 판단력 비판 = 31
      1) 미감적 판단력의 분석학 = 31
      (1) 미의 분석학 = 31
      (2) 숭고의 분석학 = 39
      (3) 순수한 미감적 판단의 연역 = 43
      (4) 예술과 천재 = 50
      2) 미감적 판단력의 변증학 = 53
      3) 취미의 방법론 = 57
      3. 목적론적 판단력 비판 = 58
      1) 목적론적 판단력의 분석학 = 58
      2) 목적론적 판단력의 변증학 = 63
      3) 목적론적 판단력의 방법론 = 66
      『판단력비판』관련 주요 문헌 = 75
      Ⅰ. 원전 Kritik der Urteilskraft의 주요 판본 = 75
      1. 주요 판본 = 75
      2. Erste Einleitung in die Kritik der Urteilskraft의 주요 판본 = 77
      3. kritik der Urteilskraft 관련 주요 원자료 = 78
      Ⅱ. 사전류 = 79
      Ⅲ. 학술지 = 79
      Ⅳ. 서지(書誌) = 80
      Ⅴ. 주석서 = 81
      Ⅵ. 국외 연구논저 = 81
      1. 개괄연구서 = 81
      2. 종합연구논저 = 87
      3. '미감적 판단력 비판' 관련 논저 = 93
      4. '목적론적 판단력 비판'관련 논저 = 103
      5. 영향사 관련 연구논저 = 108
      Ⅶ. 국내 연구논저(역서 포함) = 110
      제2부『판단력비판』역주
      역주의 원칙 = 117
      유사어 및 상관어 대응 번역어 = 120
      『판단력비판』번역 및 주석 = 135
      찾아보기
      일러두기 = 651
      인물 찾아보기 = 652
      개념 찾아보기 = 654
      「판단력비판 제1서론」찾아보기 = 738


      (출처: RISS, http://www.riss.kr/link?id=M11653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