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제20대 총선에서 유권자의 계급투표를 그들의 정치지식 수준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유권자 투표결정에 있어서 선행연구들이 계급변인과 정치지식변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42576
2017
Korean
제20대 총선 ; 투표행태 ; 계급투표 ; 정치지식 ; 계급배반 ; the 20< ; SUP> ; th< ; /SUP> ; National Assembly Election ; Voting behavior ; Class voting ; Political Knowledge ; Class betrayal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153-180(2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제20대 총선에서 유권자의 계급투표를 그들의 정치지식 수준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유권자 투표결정에 있어서 선행연구들이 계급변인과 정치지식변인...
이 연구는 제20대 총선에서 유권자의 계급투표를 그들의 정치지식 수준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경험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유권자 투표결정에 있어서 선행연구들이 계급변인과 정치지식변인의 개별적 효과에 종종 주목하기는 하였으나, 정치지식 수준에 따른 계급투표의 차별적 현상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계급의 구분에 있어서도 선행연구들과 차별화를 시도하는데, 기존의 계급투표 논문들이 월소득으로 계급을 측정하고 있는 것과는 다르게, 우리는 여기에서 월소득과 자산을 결합한 지표를 구축하여 한국 유권자들의 계급을 보다 명확하게 확인하고자 하였다.
경험적 분석결과에 따르면 역설적이게도 한국 유권자들은 20대 총선에서 정치지식의 수준이 높을수록 계급배반 투표를 수행하는 경향을 보였다. 즉, 계급이 높은 유권자들은 정치지식이 높을수록 더불어민주당에 투표를, 계급이 낮은 유권자들은 정치지식이 높을수록 새누리당에 투표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제20대 총선에서 계급과 투표행태 간의 관계에 있어서 정치지식의 효과가 유의미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본 연구 결과는 한국에서 지금까지 미진했던 계급투표 또는 계급배반투표의 원인에 대한 논의가 유권자 그룹, 즉 수요자 중심으로 이루어지기보다는 다양한 시민들의 계급이나 지위를 대변하는 공급자, 즉 정당들의 정책적 차별화를 중심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empirically if class-based voting behavior exists among Korean voters and if class-based voting is conditioned on their level of political knowledge. In other words, we focus here 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voters’ class a...
This paper examines empirically if class-based voting behavior exists among Korean voters and if class-based voting is conditioned on their level of political knowledge. In other words, we focus here 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voters’ class and their level of political knowledge on their vote choices. In addition, as we test these empirical questions, we employ alternative measure of class that incorporating both index of monthly income and assets whereas most of previous researches estimate it only with income data.
Empirical finding shows that voters who have higher level of political knowledge tend to do ‘class betrayal voting’. The higher class voters have tendency to vote for the Minjoo party if they have higher level of political knowledge. However, the voting results of the lower class show that they vote for Saenuri party as they have higher level of political knowledge. This result presents the significant effects that the political knowledge ha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and voting behavior in the 20<SUP>th</SUP>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conclusion, this paper has implications that the class voting should be discussed both on the aspect of supply and demand of politics, voter’s political knowledge and class representing part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