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구직자의 산림일자리 취업 결정요인 분석 = Analysis on the Employment Determinants of Forest-part Job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161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olicy measures for the activation of employment in the forest sector by examining the forest job awareness of job-seekers and their willingness to work. The survey was conducted on 500 job-seekers nationwide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on the recognition of 20 forest jobs, willingness to work in forest jobs.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job seekers affecting the willingness to work forest jobs, a binary-logit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63.2% of the respondents wanted to work in full-time while 58.2% of the respondents intended to have a job in forest sector. The reasons for not being willing to work in forest jobs accounted for 54.5% because they think the forest jobs do not fit in with their aptitude and majo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seekers influencing their willingness to work in the forest sector were found that the willingness to work in the forest sector of re-employee job-seekers are 4.15 times higher than those of new workers and the willingness of full-time job seekers are 2.28 times higher than those of part-time workers. Therefore, promotions for increasing awareness of forest jobs and job creation strategies focusing on those who are reemployed are required for the activation of labor inflow into forest secto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olicy measures for the activation of employment in the forest sector by examining the forest job awareness of job-seekers and their willingness to work. The survey was conducted on 500 job-seekers nationwide 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olicy measures for the activation of employment in the forest sector by examining the forest job awareness of job-seekers and their willingness to work. The survey was conducted on 500 job-seekers nationwide and conducted an online survey on the recognition of 20 forest jobs, willingness to work in forest jobs.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job seekers affecting the willingness to work forest jobs, a binary-logit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63.2% of the respondents wanted to work in full-time while 58.2% of the respondents intended to have a job in forest sector. The reasons for not being willing to work in forest jobs accounted for 54.5% because they think the forest jobs do not fit in with their aptitude and majo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b-seekers influencing their willingness to work in the forest sector were found that the willingness to work in the forest sector of re-employee job-seekers are 4.15 times higher than those of new workers and the willingness of full-time job seekers are 2.28 times higher than those of part-time workers. Therefore, promotions for increasing awareness of forest jobs and job creation strategies focusing on those who are reemployed are required for the activation of labor inflow into forest secto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구직자를 대상으로 산림일자리의 인지도와 취업의향을 조사하여 구직자의 산림부문 취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전국의 구직자 500명을 대상으로 산림일자리 20개 부문의 인지도와 산림일자리 취업의향, 피설문자인 구직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대해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였다. 취업의향에 영향을 주는 구직자의 특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이항 로짓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피설문자인 구직자들은 전일제 근무를 원하는 응답자가 63.2%를 차지하였으며 산림일자리에 취업의향이 있는 구직자는 58.2%로 나타났다. 산림일자리에 취업의향이 없는 이유는 적성과 전공이맞지 않아서가 54.5%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림일자리 취업의향에 영향을 주는 구직자의 특성은 재취업자의 경우가 신규 취업자보다 4.15배, 전일제 근무희망자가 시간제 근무희망자보다 2.28배나 산림일자리취업의향이 높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산림부문 노동유입 활성화를 위해서는 재취업자 및 전일제근무희망자를 중심으로 산림일자리 창출과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구직자를 대상으로 산림일자리의 인지도와 취업의향을 조사하여 구직자의 산림부문 취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전국의 구직자 500명을 ...

      본 연구는 구직자를 대상으로 산림일자리의 인지도와 취업의향을 조사하여 구직자의 산림부문 취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전국의 구직자 500명을 대상으로 산림일자리 20개 부문의 인지도와 산림일자리 취업의향, 피설문자인 구직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대해 온라인조사를 실시하였다. 취업의향에 영향을 주는 구직자의 특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이항 로짓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피설문자인 구직자들은 전일제 근무를 원하는 응답자가 63.2%를 차지하였으며 산림일자리에 취업의향이 있는 구직자는 58.2%로 나타났다. 산림일자리에 취업의향이 없는 이유는 적성과 전공이맞지 않아서가 54.5%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림일자리 취업의향에 영향을 주는 구직자의 특성은 재취업자의 경우가 신규 취업자보다 4.15배, 전일제 근무희망자가 시간제 근무희망자보다 2.28배나 산림일자리취업의향이 높은 것으로 도출되었다. 따라서 산림부문 노동유입 활성화를 위해서는 재취업자 및 전일제근무희망자를 중심으로 산림일자리 창출과 홍보 전략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산림청, "임업통계연보"

      2 김준, "여성기업의 일자리 창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경제학회 15 (15): 73-103, 2018

      3 최열, "순서형 프로빗(Ordered Probit)을 이용한 주택규모 선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69-80, 2003

      4 산림청, "산림청 50년사"

      5 산림청, "산림일자리 종합 대책" 250-, 2018

      6 산림청, "산림일자리 종합 대책" 276-, 2019

      7 한희, "산림일자리 전망 및 정책 방향, 2018년 산림⋅임업전망" 국립산림과학원 2019

      8 신윤호, "산림분야 전문인력 수급 방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20-, 2012

      9 김기동, "산림노동자의 직무만족과 이직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과학회 98 (98): 690-695, 2009

      10 이학식, "SPSS 20.0 매뉴얼" 집현재 2013

      1 산림청, "임업통계연보"

      2 김준, "여성기업의 일자리 창출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경제학회 15 (15): 73-103, 2018

      3 최열, "순서형 프로빗(Ordered Probit)을 이용한 주택규모 선택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38 (38): 69-80, 2003

      4 산림청, "산림청 50년사"

      5 산림청, "산림일자리 종합 대책" 250-, 2018

      6 산림청, "산림일자리 종합 대책" 276-, 2019

      7 한희, "산림일자리 전망 및 정책 방향, 2018년 산림⋅임업전망" 국립산림과학원 2019

      8 신윤호, "산림분야 전문인력 수급 방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20-, 2012

      9 김기동, "산림노동자의 직무만족과 이직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과학회 98 (98): 690-695, 2009

      10 이학식, "SPSS 20.0 매뉴얼" 집현재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3-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단법인 한국산림경제학회 -> 한국산림경제학회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